1. 중·장년기에서의 개입실천
1) 중·장년기의 일반적 특징
① 신체적 기능 쇠퇴 및 인지적 기능 변화시기 (40세 ~ 64세)
② 사회적 활동 왕성한 시기
✔ 경제적 안정 & 명예 획득 및 유지
✔ 사회적 역할수행을 통해 자아를 성취해 가는 시기
③ 자녀의 양육, 노부모 부양, 실직 등 스트레스 높은 시기
✔ 변화에 적응 & 경쟁에 대한 육체적 피로와 스트레스 최고조 시기
✔ 가정, 사회, 직장 내 책임감 증가 & 과도한 책임감으로 우울감 증가
④ 노년기를 준비하는 전환기적 성격
2) 중·장년기에 질병이 미치는 영향
가. 생리학적 측면
· 신체적 측면의 기능 약화
- 신진대사 변화로 인한 건강상 문제가 발생하는 시기, 만성질환 증가
- 체중증가, 체형변화, 피부, 주의집중력 감소, 피부 및 시력 감소, 당뇨, 고혈압, 천식, 류마티스 관절염 등
- 호르몬 감소, 여성의 경우 폐경, 골다공증, 유방암, 홍조, 혈압 상승, 두근거림 등
나. 심리적 측면
사회적 활동이 왕성한 시기 – 질병발생 – 심리적 위축
· 만성질환의 경우
- 평생 생활 관리(식사 & 운동 등)에 대한 압박 & 우울감
· 영속적 장애 상태의 경우
- 장애로 인한 우울감 & 신체 이미지 손상에 따른 자존감 저하 & 의존성 문제
· 가족 : 간병인 역할 & 지속적 관리에 대한 긴장감 & 질병의 원인에 대한 죄책감 & 걱정 & 불안 & 역할 변화 적응 문제 & 기능 상실에 대한 염려 등
다. 사회적 측면
· 질병 발생으로 인한 환자 & 가족의 역할 변화
- 환자가 주수입원일 경우 : 진료비 & 가족의 생계문제
- 육체적 기능 상실로 인한 실직
- 부부관계 & 자녀관계 등 역할 수행상의 어려움
- 보호자의 경우 : 환자 간병으로 인한 사회적 활동 위축
여가 부족 스트레스 등
3)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과 역할
가. 생의학적 측면
① 질환 및 치료과정에 대한 이해 증진
② 예상되는 심리·사회적 가족 환경적 어려움 및 대처방법 교육
③ 생활교육 & 일상생활 관리 지도
④ 재활문제에 대한 상담 & 교육
나. 심리적 측면
① 환자, 가족의 동기부여 & 치료의지 강화 위한 정서적 지지
- 심리적 고립감 &, 우울 & 불안 등
② 개별상담, 집단치료
다. 사회적 측면
① 필요한 자원의 발굴 & 연계
② 적절한 정보제공
③ 사회성 기술훈련 & 사회적응훈련
④ 경제적 지원
⑤ 가족 성원 간의 욕구와 갈등 조정
⑥ 퇴원 교육(주거문제 & 복지문제 등)
2. 노년기에서의 개입실천
1) 노년기의 일반적 특징
① 노년기의 가장 특징적인 변화 : 신체적 노화, 인지적 기능 쇠퇴
② 신체적 기능 상실로 인한 사회적 활동의 폭 제한 (은퇴)
③ 경제적 빈곤, 사회적 역할
④ 자존감 저하, 심리적 고립, 우울감
2) 노년기에 질병이 미치는 영향
가. 생리학적 측면
① 노년기에 흔한 질환의 종류
✔ 감각기관의 변화 (백내장 & 난청)
✔ 골다공증으로 인한 척추측만증
✔ 치아의 손상
✔ 위장기능의 약화
✔ 만성질환의 증가(심장병,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신경통, 천식, 폐렴 등)
✔ 인지기능 손상 (뇌졸증)
✔ 각종 암의 증가
② 노년기에 흔한 정신질환의 종류
✔ 치매 - 알츠하이머형 치매 & 다발성 경색(혈관성) 치매
③ 사회복지사가 주로 개입하는 환자군
✔ 여러 질환으로 인하여 임종을 앞둔 환자군
✔ 질병에 따른 개입 < 가족이 취약하거나 지지체계가 없는 환자들의 문제에 개입
나. 심리적 측면
① 신체 기능 쇠퇴함에 따라 심리적 위축 현상
② 자신감 결여, 고독 & 우울한 감정, 죽음에 대한 불안감과 공포
③ 장기보호에 따른 심리적 좌절감
다. 사회적 측면
① 질병에 대한 치료비, 경제적 부담, 간병과 보호부담
② 역할의 축소 & 사회적 활동 위축 (경로당, 여가활동 등)
③ 가정, 요양원에서 장기적인 생활로 인한 역할 변화 & 사회적 지원 감소
3)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과 역할
가. 생의학적 측면
① 질환 및 치료과정에 대한 이해 증진
② 장기보호에 따른 역할부담과 대응방법교육
나. 심리적 측면
① 질병의 수용 원조
② 사별 & 죽음의 수용 & 정서적 순화
③ 심리적 고립감 & 우울 & 불안 등 원조
다. 사회적 측면
① 장기적 요양과 보호에 필요한 자원의 연계 & 정보제공
② 경제적 지원과 보장구 지원
③ 변화된 사회적 역할에 적응토록 원조
④ 보호자의 지원과 지지
⑤ 가족, 보호자에 대한 지원을 통한 가족체계의 강화
⑥ 퇴원계획
학습정리
.1. 중·장년기에서의 개입실천
· 신체적 기능 쇠퇴 및 인지적 기능 변화시기
· 사회적 활동 왕성 & 스트레스 높은 시기
(자녀양육, 노부모 부양, 실직)
· 치료과정 이해 증진 & 치료동기부여 & 일상생활관리지도 & 재활
2. 노년기에서의 개입실천
· 상실의 시기 : 신체적 노화 & 인지기능 쇠퇴 & 사회적 역할 상실
- 치매 & 임종환자
· 치료과정 이해 증진 & 장기보호에 따른 대응방법 교육
· 질병, 사별, 죽음의 수용 & 심리적 고립감 & 우울 & 불안 원조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과의 특성에 따른 개입 (정신과 & 재활의학과) (0) | 2022.08.10 |
---|---|
임상과의 특성에 따른 개입 (내과 & 외과) (0) | 2022.08.10 |
생애발달단계에 따른 개입(아동·청소년기) (0) | 2022.08.10 |
요양원 & 호스피스 (0) | 2022.08.10 |
병원 & 재가건강보호서비스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