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의의와 개념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개념
- 주민의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도출해내는 지역공동모금
- 1999년에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정
- 민간단체가 성금을 직접 모금, 배분 및 관리 → 자율성 보장, 민간 참여 활성화
2) 나라별 공동모금 비교
- 미국공동모금연맹(United Way of America)
: 기부자, 납세자,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들의 하나의 비영리법인으로서 캠페인, 홍보, 기획, 배분, 관리 등의 5가지 기능 수행
- 일본
: 법률에 의한 민간모금활동, 국민 각계 각층의 자발적 협력에 따라 갹출한 민간사회복지사업을 위한 기부금의 일원화, 민간사회복지에 계획적∙합리적 배분
2. 공동모금회의 설립배경
1) 영국
- 1873년 영국 리버풀에서 자선가의 기부금으로 자선단체를 구성했던 것이 최초의 시작 → ‘자선의 시대’
- 20세기 초 국민의 생활에 대한 정부역할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지역공동모금의 성장발전 약화됨
2) 미국
- 1887년 덴버에서 조직된 자선조직협회 최초
- 제1차 세계대전 공동모금제의 발전 촉진, 확대
- 1919년 뉴욕 주의 로체스터 : 지역공동모금 용어 최초 사용 : ‘Community Chest’→ ‘United Way of America’
3) 우리나라
- 민간복지 분야의 기금조성이 제도화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에서 비롯됨.
- 1975년 : 정부에 의해 ‘불우이웃돕기 성금’과 ‘장애인 성금’을 통합한 사회복지사업기금이 보건복지부에 설치, 관 주도에 의한 민간성금의 모집 및 배분 틀 형성
- 1999년 :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개정, 시행
전국 16개 특별시·광역시·도에 시·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회 설립
3. 공동모금의 목적과 특성
1) 공동모금의 목적
- 지역사회 주민 자원봉사 활동을 활성화
- 지역사회 자원 배분 합리성 향상
- 창조적, 수준 높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지원
2) 공동모금의 필요성
- 신뢰할 수 있는 민간 모금단체 등장
- 지역주민 자원봉사정신 함양, 사회사업 과학화에 기여
-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국민 스스로 기여할 수 있는 방편
- 사회복지서비스의 책임성과 서비스 수준 향상
- 일반국민의 인식 개선, 정부와 민간의 동반자 관계 형성
3) 공동모금의 특성
- 자원봉사활동의 민간운동 : 사회연대, 상부상조의 정신
- 지역사회 중심 : 지역사회 단위로 설립, 운영
- 효율성과 일원화 : 기부금 모집 위한 노력, 시간, 경비 절약
- 공표 : 모금활동에 관한 모든 것을 투명하게 운영
- 전 국민적 참여
학습정리
1. 공동모금의 개념
- 주민 참여 도출, 지역공동모금
- 민간단체가 성금을 모금, 배분, 관리
2. 공동모금의 설립배경
- 영국 : 1873년 리버풀, 자선단체 구성
- 미국 : 1887년 덴버, 자선조직협회 조직
1919년 로체스터 : 지역공동모금 최초 사용 Community Chest → United Way of America
- 우리나라 : 1999년 →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개정, 시행
3. 공동모금의 목적
- 지역사회 주민의 자원봉사 활동을 활성화
- 지역사회 자원 배분의 합리성 향상
- 창조적, 수준 높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지원
4. 공동모금의 특성
- 자원봉사활동의 민간운동
- 지역사회 중심
- 효율성과 일원화
- 모금 활동 등 공표
- 전 국민적 참여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모금과 배분방법 (0) | 2022.08.10 |
---|---|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기능과 구조 (0) | 2022.08.10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0) | 2022.08.10 |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0) | 2022.08.10 |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과 기능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