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1) 설립목적 및 연혁
① 법적 근거 및 설립목적
-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와 시행령 제12조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ㆍ연구와 각종 복지사업을 조성하고, 각종 사회복지사업과 활동을 조직적으로 협의ㆍ조정하며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의 참여를 촉진시킴으로써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증진과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② 연혁
- 1952년 : 사단법인 한국사회사업연합회 설립
- 1970년 : 사회복지법인 한국사회복지협의회로 개칭
- 1983년 :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법정법인
- 1998년 : 시∙도 사회복지협의회 독립법인 설립
- 2003년 :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시∙군∙구 협의회 법정단체화
- 2012년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창립 60주년 기념행사 및 CI ‘SSN(Social Service Network)’ 선포
2)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주요 기능 및 사업
1) 주요 사업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 및 정책 건의
-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복지증진
- 사회복지에 관한 자료 수집, 각종 간행물 발간 및 홍보
- 시∙도 사회복지협의회 업무지원 및 협력 증진
- 국제사회복지단체와의 교류협력
- 자원봉사활동의 진흥
- 사회복지 자원개발 및 정보화 사업의 진흥
- 사랑 나눔 실천 「1인 1나눔 계좌 갖기 운동」전개
- 소아암∙백혈병 및 희귀∙난치병 질환 환아 진료비 지원사업
- 보건복지부 장관이 위탁하는 사회복지에 관한 업무 등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1) 회원
① 중앙협의회 회원 : 시·도 협의회의 장 /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사업과 관련 있는 비영리법인의 대표자 / 경제계, 언론계, 종교계, 법조계, 문화계, 교육계 및 보건의료계 등의 대표자 / 기타 사회복지사업 수행에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중앙협의회의 장이 추천하는 자
② 시∙도 협의회 회원
③ 시∙군∙구 협의회 회원
(2) 임원
- 임원은 대표이사 1인을 포함한 15~30인 이하의 이사와 감사 2인을 둠, 임기는 3년으로 연임 가능
(3) 이사회
- 이사로 구성,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협의회의 업무에 관한 중요사항 심의∙의결, 의장은 대표이사
(4) 전문위원회
- 주요 업무 심층적 수행 위한 조직으로 정책조정위원회, 국제협력위원회, 편집위원회, 시설직능단체장위원회 등
(5) 실무부서
- 상근부회장 아래 사회복지연구평가원, 사회공헌정보센터, 기획사업본부, 나눔사업본부 등
학습정리
1.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주요 사업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 및 정책 건의
-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복지증진
- 사회복지에 관한 자료 수집, 각종 간행물 발간 및 홍보
- 국제사회복지단체와의 교류협력
- 자원봉사활동의 진흥 / 식품자원 기부촉진 기반 사업
- 사랑 나눔 실천 「1인 1나눔 계좌 갖기 운동」전개 등
2.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 회원 : 중앙협의회 회원 / 시∙도 협의회 회원 / 시∙ 군∙ 구 협의회 회원
- 임원 : 대표이사 1인 포함 15~30인 이사, 감사 2인
- 이사회 : 이사로 구성, 협의회 업무에 관한 중요사항 심의∙의결, 의장은 대표 이사
- 전문위원회 : 정책조정위원회, 국제협력위원회, 편집위원회, 시설직능단체장위원회 등
- 실무부서 : 사회복지연구평가원, 사회공헌정보센터, 기획사업본부, 나눔사업본부등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기능과 구조 (0) | 2022.08.10 |
---|---|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개념과 특성 (0) | 2022.08.10 |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0) | 2022.08.10 |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과 기능 (0) | 2022.08.10 |
재가복지사업과 원칙(2)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