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 및 목적
1) 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
- 사회복지와 관련된 시설 및 단체들의 연합체
- 직접서비스 제공기관이 아니라 간접적 서비스 제공하는 지원기관
- 사회복지 증진과 효과적 서비스 전달 위한 협의와 조정
⇒ 시설, 단체 연합체 / 간접서비스 제공 지원 기관 / 협의와 조정
▶ 김영모의 정의
- 지역사회조직의 가장 대표적인 기관, 연맹형태
- 지역사회조직의 모든 기능 수행
- 사회행동에 참여
- 지역사회복지 추진 중간집단
-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 동원∙조정 효과적으로 추진 ⇒ 지역사회 주민 복지욕구 충족을 위한 조정기관
2) 사회복지협의회의 목적
- 지역사회 주민의 욕구와 문제 다루어, 보건, 복지 등에 대한 계획과 조정을 실시.
→ 개인 또는 기관 대표 참여, 사회복지사업 계획, 기관 역할 조정, 주민 삶의 질 향상 위한 사회행동 실천
2. 사회복지협의회의 배경 및 원칙
1) 사회복지협의회의 배경
- 1869년 영국에서 시작한 자선조직협회(COS)에서 기원 찾을 수 있음
- 1908년 피츠버그에서 설립된 ‘자선연합회’와 ‘중앙협의회’를 최초로 들고 있음 : 던햄
- 1918년 미국지역사회조직협의회 결성 → 이 단체의 회원 조직이 됨
2) 사회복지협의회의 원칙
- 주민욕구 중시 원칙
: 주민 생활실태 및 사회복지 욕구 파악 / 욕구 충족 위한 활동 수행
- 주민참가 원칙
: 주민의 사회복지활동 참가 유도 /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 고조시킴 / 개방된 조직구조, 민주적 합의 과정
- 전문성의 원칙
: 복지활동 계획 및 심사, 점검∙평가, 조직 / 조사, 교육, 홍보 등의 전문성 발휘
- 민간성의 원칙
: 공공적 성격 지닌 민간단체 특성 / 복지과제 대응 적응성, 유연성 등 발휘
- 공·사 협력 원칙
: 공사의 사회복지, 보건∙의료, 교육, 노동, 환경 등 / 관계 기관, 단체, 주민 등과 협력 및 역할분담
- 지역특성 존중 원칙
: 조직과 구조 지역사정에 따라 결정 / 지역특성에 적절한 사업 내용과 방법 사용
학습정리
1. 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
- 시설, 단체 연합체
- 간접서비스 제공 지원 기관
- 지역사회 주민 복지욕구 충족을 위한 조정기관
2. 사회복지협의회의 목적
- 지역사회 주민의 욕구와 문제 다루어, 보건, 복지 등에 대한 계획과 조정을 실시
3. 사회복지협의회의 원칙
- 주민욕구 중시 : 주민 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 파악
- 주민참가 : 주민의 사회복지활동 참가 유도
- 전문성 : 복지활동 계획 및 심사, 조사, 교육 등의 전문성 발휘
- 민간성 : 공공적 성격 지닌 민간단체 특성
- 공사협력 : 기관, 단체, 주민 등과 협력 및 역할분담
- 지역특성 존중 : 지역특성에 적절한 사업 내용과 방법 사용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0) | 2022.08.10 |
---|---|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0) | 2022.08.10 |
재가복지사업과 원칙(2) (0) | 2022.08.10 |
재가복지사업과 원칙(1) (0) | 2022.08.10 |
재가복지의 등장배경과 개념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