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재가복지서비스의 구성 요소
1) 운영 주체
- 기존 주요 운영주체 : 사회복지관∙노인복지관∙장애인복지관 부설 재가센터, 재가노인복지기관
- 운영주체
①정부기관 : 복지사무소, 아동상담소 등
②사회복지법인 :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등
③복지공사, 협동조합, 기업 등으로 확산
2) 전문 인력
①가정봉사원 → 요양보호사 등
②사회복지사
③전문 인력 : 의사, 간호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등
④지역 자원 : 가족, 지역주민 등
3) 재정
①가장 중요한 재원 : 정부보조금
②기타 : 후원금, 이용자 부담금
4) 프로그램
방문간호 | - 보건의료 분야의 재가간호서비스와 같은 방법 - 간호사 또는 요양보호사 - 65세 이상 노인 및 노인성 질환을 가진 65세 미만 국민 |
가사원조 | - 가정봉사원에 의해 실시 - 노인, 장애인 가정 등 가사 지원 - 재가복지사업의 큰 비중 자치함 |
식사제공 서비스 | - 영국에서 시작 - 거동 불편 노인 대상 정기적 식사서비스 제공 - 식사배달 + 건강 상담 - 밑반찬배달서비스, 도시락배달서비스 등 |
목욕 서비스 | - 목욕 동행서비스, 방문목욕 서비스 - 가정봉사원 방문 제공 - 집 또는 목욕차량 - 비용과 인력 소모 큼 |
세탁서비스 | - 고령 또는 장애 노인 주대상 - 방문 세탁 또는 수거 세탁 - 세탁 + 상담 |
기타 서비스 | - 주택 개량 및 개선 서비스 - 복지 전화 서비스 - 재활 보조기구 제공 및 대여 - 외출 서비스 - 심부름 서비스 등 |
학습정리
1.재가복지서비스의 구성요소
- 운영주체 : 정부기관, 사회복지법인, 복지공사, 협동조합, 기업 등으로 확산
- 전문인력 : 가정봉사원,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등
- 재정 : 정부보조금, 후원금, 이용자 부담금 등
- 프로그램 : 방문간호, 가사원조, 식사서비스, 목욕서비스, 세탁서비스 등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0) | 2022.08.10 |
---|---|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과 기능 (0) | 2022.08.10 |
재가복지사업과 원칙(1) (0) | 2022.08.10 |
재가복지의 등장배경과 개념 (0) | 2022.08.10 |
사회복지관의 사업(2)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