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동모금회의 모금 방법
1) 모금 시기에 따른 구분
- 연중 모금
- 연말 집중모금
2) 모금 방법에 따른 구분
- 일반기부
: 일시 혹은 수시로 이루어지는 개인기부, 저금통 기부, ARS∙문자기부, 정기기부 등
- 착한가정
: 가족구성원이 함께 2만원 이상 정기 기부, 착한가정 인증패 및 스티커 증정
- 착한가게
: 중소규모 자영업자, 매출/수익의 일정액 지속 기부, 착한가게 현판 증정
- 착한일터
: 직장인들이 매달 급여에서 약정한 기부금 자동 기부, 2014년 기준 약 720여 기업 24만명 참여
- 계획기부
: 희망자산나눔(부동산, 증권 등), 유산기부, 연금나눔 등
- 기업기부
: 기업사회공헌 활동, 기부, 현물기부, 기업물품기부, 공익연계마케팅 등
- 아너 소사이어티
: 사회 지도층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 고액기부자 클럽, 2016년 10월 기준 회원수는 1,324명, 약정금액은 약 1,411억원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배분방법
1) 배분대상
- 사회복지사업 기타 사회복지활동을 행하는 법인.기관.단체 및 시설(개인신고 시설 포함)
-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개인
2) 배분제외대상
- 동일한 사업으로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다른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았거나 받기로 확정된 사업
- 법령상 금지된 행위에 사용되는 비용
- 정치·종교적 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 경우
- 수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
-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는 경우
- 모금회의 제재조치에 따른 배분대상 제외기간에 배분 신청한 경우
- 모금회 배분분과실행위원회의 심의결과 배분대상 제외 필요성이 인정되는 사업 또는 비용
3) 배분사업의 종류
구 분 | 사 업 내 용 |
신청사업 | - 사회복지 증진을 위하여 자유주제 공모형태로 복지 사업을 신청 받아 배분하는 사업 |
기획사업 | - 모금회가 주제를 정하여 배분하는 사업 - 시범적이고 전문적인 사업 |
긴급지원사업 | - 재난구호 및 긴급구호, 저소득층 응급지원 등 - 긴급히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배분하는 사업 |
지정기탁사업 | - 기부자가 기부금품의 배분지역·배분대상자 또는 사용용도를 지정한 경우 - 지정 취지에 따라 배분하는 사업 |
4) 심사기준 및 과정
①심사기준
- 기관평가 : 신뢰성, 사업수행능력
- 사업평가 : 적합성, 실현가능성, 투입요소 적절성, 투입비용
- 기타평가 : 홍보노력 및 지역자원 활용, 자구계획
②심사과정
: 예비심사 → 서류심사 → 면접심사 → 현장심사
학습정리
1. 공동모금회의 모금 방법
- 모금 시기 : 연중, 연말집중
- 모금 방법 : 일반기부, 착한가정, 착한가게, 착한일터, 기업기부, 계획기부, 아너 소사이어티 등
2. 공동모금회의 배분 방법
- 배분 대상
.사회복지사업 기타 사회복지활동을 행하는 법인, 기관, 단체 및 시설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개인
- 배분사업 종류 : 신청사업, 기획사업, 긴급지원사업, 지정기탁사업
- 심사기준 : 기관, 사업, 기타 평가
- 심사 과정
.예비심사 → 서류심사 → 면접심사 → 현장심사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제공기관(1) (0) | 2022.08.10 |
---|---|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원칙 (0) | 2022.08.10 |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기능과 구조 (0) | 2022.08.10 |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개념과 특성 (0) | 2022.08.10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