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적 소수자의 개념
1) 개념
- 사회의 제반 영역에서 성, 나이, 종교, 인종, 사상, 경제력, 성적 취향 혹은 기타의 측면에서 특정 사회 혹은 국가의 주류사회의 지배적 가치를 달리한다는 이유로 차별의 대상이 되는 사람
- 소수종교, 소수인종, 문화적・ 도덕적 ・경제적 약자 등
- 숫자는 중요한 결정 요인이 아니며, 사회의 주류 세력으로부터 차별과 배제를 당하고 있는 집단
2) 적용개념
- 식별가능성 : 어떤 신체적, 문화적 특성에 의해 다른 집단과 구별
- 권력의 열세 : 경제력, 사회적 지위, 정치권력, 자원동원 능력에서 차이가 남
- 차별적 대우 : 한 개인이 그 집단의 성원이라는 이유만으로 사회적 차별의 대상이 됨
- 집단의식 : 차별적 관행의 반복을 통해 소수자 집단성원이라는 연대의식 발생
3) 중첩적, 상대적, 동적 개념
- 중첩적 개념 : 한 가지 분류에만 속하지 않음. 소수인종이면서 여성, 여성이면서 다수인종 등
- 상대적 개념 : 국가 전체 차원 다수자, 소수자 한쪽에 속하지만 같은 분류 내에서 상대적인 다수자와 소수자로 다시 나누어짐
- 동적인 개념 : 시간과 공간에 따라 소수자의 지위가 달라짐
라. 우리사회의 소수자 : 편견과 사회적 차별의 대상이 되는 사회적 약자집단
- 이주노동자
- 결혼이민자
- 북한이탈주민
- 동성애자 등
2. 다문화주의와 사회적 소수자 문제
1) 다문화주의의 개념
- 다민족・다문화 사회 : 한 국가 체제에 다양한 인종이 살고 있을 경우, 사회 분열과 갈등의 정치적 위기에서 비롯됨. 국민을 통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사회정치적 이데올로기
- 국가, 인종, 민족 등 거시적인 차원 뿐 아니라 사회 내 소외계층, 소수인종, 세대 간의 갈등, 성역할 차이 등 미시적인 문제도 포함하는 개념
2) 다문화주의의역사
가. 다른 나라
- 다문화주의 대두 : 1970년대
- 미국 : 1960년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시민권 운동 등
- 캐나다 : 영국계 위주의 국가정책에 대한 프랑스계의 요구
- 호주 : 1970년대 급증하는 인구 압력에 의한 백호주의에 대한 문제
- 정치통합에 순기능 인식 : 이민, 난민, 이주노동자 등의 증가, 주변 민족집단과의 공존정책 수립 등으로 급속히 확산됨
나. 우리나라
- 증가추세
- 새로운 문제
연도별 체류외국인 현황 | |||||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체류외국인 | 2,049,441 | 2,180,498 | 2,367,607 | 2,524,656 | 2,036,075 |
장기체류 | 1,530,539 | 1,583,099 | 1,687,733 | 1,731,803 | 1,610,323 |
단기체류 | 518,902 | 597,399 | 679,874 | 792,853 | 425,752 |
불법체류자 | 208,971 | 251,041 | 355,126 | 390,281 | 392,196 |
<요약>
1. 사회적 소수자의 개념
- 개념
- 개념의 적용
- 중첩적 · 상대적 · 동적 · 개념
- 우리 사회의 소수자
2. 다문화주의와 사회적 소수자 문제
- 다문화주의의 개념
- 다문화주의의 역사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문제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문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소수자 문제에 대한 현행 사회정책 및 프로그램 (0) | 2022.06.09 |
---|---|
다문화주의와 사회적 소수자 문제의 현황 (0) | 2022.06.09 |
장애인복지 문제 해결방안과 사회복지적 대안 (0) | 2022.06.09 |
장애인복지의 현황 (0) | 2022.06.09 |
장애의 개념과 분류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