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애인복지에 대한 전환점
1) 세계
가. 2차 세계대전 :전쟁 상해자에 대한 구호와 재활에 긍정적
- 인간의 권리와 의무 개념
- 사회연대와 평등
- 국가의 책임에 대한 가치관 변화
나. 이후 변화
- 1960년대 : 장애인 권리에 대한 논의 전개
- 1975년 : 장애인 권리선언 결의(UN)→ 회원 국가들에게 권고 →각 국 특성에 맞는 장애인복지정책 발전
2) 우리나라
- 1988년 올림픽
- 1989년 :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장애인복지대책위원회 설치・ 심신장애자복지법 → 장애인복지법으로 개정
- 1990년 :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 2008년 : 장애인복지법 개정
- 2015년 : 발달장애인 권리 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편견 그리고 교유, 경제, 사회, 문화, 정치에 참여기회 등의 차별 존재
2. 장애의 개념과 분류
1) 장애의 개념
가. 의료 모델
- 장애문제발생 : 개인의 질병, 외상, 혹은 건강상태에 의해 직접적으로 야기됨
- 장애문제 해결 : 전문가의 의료적 처치나 개입. 개인적 치료나 개인적 대응 강조
나. 사회적 모델
- 장애문제 발생 : 사회적으로 야기됨
- 장애문제 해결 : 정치적 대응, 사회행동과 사회변화 강조
※ 장애의 개념 : 개별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 따라 다르며 환경에 의해서도 변화할 수 있는 상대적 개념임
다. WHO(세계보건기구)의 장애분류모델(ICIHD), 1980
- 질병 →손상→장애→사회적 불리
- 손상(Impairment) : 심신의 구조적・ 기능적 손상 자체
- 장애(Disability) : 손상으로 인한 개인적 차원의 기능장애와 능력장애
- 사회적 불리(Handicap) : 장애의 사회적 결과로 편견과 차별
- 단점 :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형성되어 있는 사회환경의 장벽인 사회적 장애가 누락되어 있음
라. WHO(세계보건기구)의 장애분류모델(ICIHD-2), 1997
- 환경과 개인이라는 상황적 요인을 포함
- 질병이나 손상만을 전제로 기능장애, 사회적 불리가 발생하지 않음
- 환경과의 상호관계성 속에서 발생
- 전문영역별 서비스 제공에 용이, 각 영역별 통합 어려움
마. WHO(세계보건기구)의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 2001
- 기능과 장애(건강장애)vs배경요인(환경요인, 개인요인)
- 다양한 전문영역과 실천현장에 기여하기 위한 복합적 목적
- 보편적인 적용이 가능한 틀
2) 장애의 분류
가. 신체적 장애
-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
- 신장장애인, 심장장애인, 호흡기 장애인, 간장애인, 안면장애인, 장루・요루장애인, 간질 장애인
나. 정신적 장애
- 지적장애인, 정신장애인, 자폐성장애인
<요약>
1. 장애인복지에 대한 전환점
- 세계 : 2차세계대전
- 한국 : 1988년 올림픽
2. 장애의 개념과 분류
- 장애의 개념 : 의료모델, 사회적 모델, 세계보건기구의 ICIDH-1, ICIDH-2, ICF
- 장애의 분류 :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문제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문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소수자 문제에 대한 현행 사회정책 및 프로그램 (0) | 2022.06.09 |
---|---|
다문화주의와 사회적 소수자 문제의 현황 (0) | 2022.06.09 |
사회적 소수자의 개념 (0) | 2022.06.09 |
장애인복지 문제 해결방안과 사회복지적 대안 (0) | 2022.06.09 |
장애인복지의 현황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