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후 미국의 복지국가 확대
1) 빈곤의 재발견과 복지국가 확장기 : 1945~1970
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적 번영과 풍요 속에 빈곤문제에 주목하지 않음
나. 갤브레이스(GaLbraith)와 해링턴(Harrington)등이 빈곤문제를 재발견함
- 갤브레이스는 『풍요로운 사회(The Affluent Society)』(1958)에서 ‘풍요 속의 빈곤'을 다룸
- 핼링턴은『또 하나의 미국(The Other America: Poverty in the United States)』 (1962)에서 부유한 미국인과 달리 그 반대편에는 수천만의 빈민이 있다는 사실을 알림
2) 케네디(John F.Kennedy) 대통령
가. 부양아동부조(ADC)를 부양아동가족부조(Aid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ren: AFDC)로 개혁
- 편모 뿐 아니라 편부가정까지 확대함
- 양부모가 있는 가정도 주 소득원이 실업상태에 있을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함
나. 「사회보장법」 개정
- 전문가에 의한 재활(상담)서비스 제공을 규정하도록 함
- 예산 : 연방정부 75% 보조, 주 정부는 자유롭게 계약 할 수 있도록 함
3) 존슨(Johnson) 대통령
가. 1964년 미국의 새로운 비전으로 ‘위대한 사회(The Great Society)‘의구상을 제시함
- 1964년 1월 8일 첫 연두교서에서 ‘무조건적인 빈곤과의 전쟁(unconditional war on poverty)’을 선언함
나. 「경제기회법(Economic Opportunity Act: EOA)」 제정(1964. 8.)
- Head Start : 취학 전 아동의 훈련과 저소득 가정과 이주노동자 등 자녀의 조기 교육 프로그램
- Job Corps : 학교중퇴자 대상의 직업훈련 프로그램
- Upward Bound : 빈곤한 슬럼지역의흑인 어린이를 대학에 보내기 위한 장학사업
- Neighborhood Youth Corps : 직업이 없는 10대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 지역사회행동프로그램 (Community Action Program)
: 직업훈련, 성인교육, 농촌주민에대한 부조, 법률원조, 보건, 주택, 소비자교육 등에서 지역사회의 자치활동을 권장하는 프로그램
- VISTA(Volunteers in Service to America)
: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역에 자원봉사자들을 보내서 지역주민들의 훈련과 사회화를 돕는 프로그램
다. 「식품권(Food Stamp Act: FSA)」 제정(1964)
- 저소득층을 위한 식품부조 프로그램을 실시함
교육 | 소득보장 | 일자리 창출 |
-Head Start -Upward Bound |
-Food Stamp Act | -Job Corps -Neighborhood Youth Corps |
라. 「사회보장법」 개정(1965)
- 노인을 대상으로 한 공적 의료보장제도인 ‘의료보험(Medicare)’ 제도가 법제화 됨
- 공공부조 수급자 등 일정 소득 이하의 저소득층 대상으로 의료보장제도인 ‘의료부조(Medicaid)’가 도입됨
4) 복지국가로부터의 후퇴 : 1970~1980
가. 시대적 배경
- 1968년 보수성향의 닉슨(Richard Nixon) 대통령이 당선됨
- 1960년대 후반 미국 대도시들에서 인종차별 폭동이 발생함
→ 원인 : 존슨 대통령의 사회복지정책을 인종 분쟁의 근원으로 평가하기 시작함
나. 닉슨(Richard Nixon) 대통령
(1) 가족부조계획(Family Assistance Plan: FAP) 제안
- 부의 소득세(NIT)방식을 적용하여 모든 저소득가구에게 최소한의 연소득을 보장하는데 목적을 둠
- 한 가구의 소득이 일정 수준에 미달하는 경우 그 차액의 일정 비율을 조세환급 형태로 정부가 지급하는 제도임
- 입법화 되지 못함
(2) 보충적 소득보장제도 (Supplemental Security Income: SSI) 도입
- 노인부조(OA), 시각장애인부조(AB), 영구장애인부조(APTD)를 통합하여 연방정
부 차원에서 단일화한 것임
- 고용이 불가능한 성인빈민을 위한 것임
- 연방정부가 관할함
- 수혜대상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산조사를받아야 함
(3) 가족부조계획 VS 보충적 보장소득
- 미국의 전통적으로 자유주의에 기초하여 가치있는빈민과 가치없는 빈민을 엄격
히 구별하였으며 이 전통의 연속이라고 봐야함
ex) 노인 →가치 있는 빈민/요보호아동의 어머니 →가치 없는 빈민
- 부의 소득(NIT)에 대해서 공화당과 민주당 두 정치세력 모두 비판적인 시각이 컸음
: 공화당 - 가치 없는 빈민에 대한 조세 지원이라고 반발함
: 민주당 - 부의 소득세가 최저소득보장 수준이 낮고 근로 연계 복지 강조한다고 반발함
- 이익단체들의 영향력 : 노인(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있는 정치적 이익단체)
2. 보수주의 등장과 복지국가 위기 이후의 복지제도
1) 시대적 배경
- 석유파동(1973)과 높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증가 및 생산력이 감소함
- 베트남 전쟁 (1967~1975)
- 1970년~1980년까지 실업률이 10%에 달하는 등 대공황 이후 가장 심각한 경기불황을 겪게 됨
2) 레이건(RonaLd Reagan) 대통령
가.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
- 큰정부를 반대하고 자유로운 기업활동을 보장하고 이를 위한 감세 정책을 추진하는 것
- 사회복지철학 : 개인이나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의 책임이라는 원칙을 갖고 있었음
나. 신연방주의(New FederaLism)
- 국내소비를 절약함
- 연방정부의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함
- 연방세금을 감면함
다. 「총괄예산조정법」(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OBRA)」 (1981)
- 54개의 범주적 프로그램이 9개의 포괄적 보조금으로 통합됨
- 부양아동가족부조(AFDC), 식품권(Food stamp), 의료부조(Medicaid)가 각각 14.3%, 13.8%, 2.8% 삭감됨
- 노령,유가족 그리고 장애인 및 건강보험(OASDHI)이 4.6%, 의료보험(Medicare)과 실업보험(UI)이 6.8%, 17.4% 감소함
- 공적 부조 수급자에 대한 재활(상담)서비스도 포괄적 보조금에 묶여 주 정부의 재량사업으로 변경됨으로써 안정적인 시행이 어렵게 되었음
라. 빈민들의 사회복지 수급자격에대한 엄격한 기준을 세움
- 개인의 가소득(보유재산의 일부를 소득으로 인정)을 고려하고 자산조사를 실시함
- 새로운 기준 마련 : 소급예산편성, 연령 제한, 대상자의 소득상한선을 하향조정
ex)부양아동가족부조(AFDC) :임신여성에 대한 지원 기준을 6개월로 제한,지원받을 수 있는 연령을 21세에서 18세로 낮춤
마. 근로연계강화
- 「가족지원법(Family Support Act)」 제정 : 부양아동가족부조(AFDC) 수요를 줄이고 직업훈련 등을 통하여 근로연계를 강화하는 목적이 있었음
- 직업기회및 기초기술 훈련프로그램(Job Opportunities and Basic Skills Training Program:JOBS)
: 수혜자에게 일을 하거나 학교에 가거나 직업훈련에 참여할 것을 요구
: 요구를 거절할 경우 수혜대상에서 제외하기도 함
3) 부시(George H. W. Bush) 대통령
가. 레이건정부와 별 차이 없이 ‘평화와 번영‘ 정책을 계속 추구함
나. 사회복지정책은 보충적 관점의 보수주의적 정책을 동일하게 펼쳐 나감
다. 결과
- 사회문제가 더욱 심각해짐
- 집 없는 사람이 증가하기 시작함
- 인종차별이 심해짐
- 교도소 내 범죄자들이 급증함
<요약>
1. 전후 미국의 복지국가 확대
- 빈곤의 재발견과 복지국가 확장기 : 케네디대통령, 존슨대통령
- 복지국가로부터의 후퇴 : 닉슨대통령
2. 보수주의 등장과 복지국가 위기 이후의 복지제도
- 레이건대통령 : 레이거노믹스, 신연방주의
- 부시대통령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역사 강의정리 : 김봉균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사회복지 역사 - 개혁 (0) | 2022.06.09 |
---|---|
독일 사회복지 역사 - 확립과 발달 (0) | 2022.06.09 |
독일 사회복지 역사- 초기 (0) | 2022.06.09 |
미국의 사회복지 - 복지개혁의 시기 (0) | 2022.06.09 |
미국의 사회복지 - 초기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