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역동모델
1. 정신역동모델의 주요 개념 1) 정신역동모델의 개요 (1) 프로이트와 정신결정론 • 성격발달에 대한 모형, 인간본성에 대한 철학, 정신치료의 한 방법을 개척 • 인간행동을 동기화하는 요소로 정신역동적 힘과 정신역동적 힘의 근원으로 무의식을 강조함 • 기본적인 성격구조를 이해하고 수정하는 치료절차에 관심을 둠 •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정치학, 예술학, 사회복지, 미술, 문학, 영화 등 여러 분야에 영향 미침 (2) 정신역동모델 • 인간행동의 원인으로 마음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서로 다른 다양한 힘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입장 • 1900년대 초 사회복지가 전문적인 훈련을 시작하게 되면서 이론적 근거를 모색하게 되었을 때 사회과학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을 제공함 •..
관찰기술/의사소통 기술
1. 원조 기술 : 관찰기술 1) 관찰기술 • 가장 기본적인 면접기술로, 클라이언트가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 그를 이해하는 것 • 비언어적 행동의 이해 - 클라이언트의 언어적 표현뿐 아니라 비언어적 행동에 대해서도 주의 깊게 관심을 기울여야 함 (1) 무엇을 관찰할 것인가?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행동 사회복지사의 비언어적 행동 • 냄새 : 술, 담배, 위생 상태, 대소변가리기 등 • 보기 : 자세, 몸짓, 얼굴표현, 차림새, 외모 • 소리 : 말의 톤과 명확성,속도,성량,호흡,울음 및 웃음소리 • 거리 : 가까이 혹은 멀리 • 자세와 거리 • 얼굴표현 • 목소리와 언어 • 침묵의 활용 • 접촉 2) 원조 기술 : 의사소통 기술 • 관찰기술, 경청기술, 반응기술, 질문기술, 표현기술, 해석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