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월 19일 보도자료 붙임>
붙임 2 심리부검 분석 주요 결과 (2015~2021년 누적)
1. 자살사망자 사회·인구학적 분석
➤ 자살사망자 성별 ·생애주기별* 현황
※ 청년기(20~34세), 중년기(35~49세), 장년기(50~64세), 노년기(65세 이상)
➤ 자살사망자 교육수준
➤ 자살사망자 고용상태
2. 자살상황 분석
➤ 사망 방법
➤ 사망 당시 음주 여부
➤ 유서 여부 및 유서 내용
3. 사망 전 언어·행동·정서 변화
➤ 자살 경고신호* 및 유족의 인지
* 자살사망자가 자살에 대해 생각하고 있거나 자살을 할 의도가 있음을 드러내는 징후
[사망전 3개월 이내] ① 감정 상태의 변화(243명, 32.3%) : 수치심, 외로움, 절망감, 무기력감, 무가치함 등을 느끼거나 표현함,평소보다 화나 짜증을 잘 냄, 멍하게있음 ② 무기력, 대인기피, 흥미상실(185명, 24.6%) :평소 기쁨을 느끼던 활동을 더이상 즐기지 않고 타인과의 관계를 피함 ③ 식사상태의변화(184명,24.4%) :평소보다 덜 먹거나 더 먹음, 체중이 감소하거나 증가함 |
< 자살사망자 사망 3개월 전 자살 경호 신호 >
4. 자살사망자의 정신건강
➤ 정신과 질환(추정*)
*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단받았거나 유족 대상으로 보충적으로 실시한 평가결과로 추정
➤ 치료 및 상담경험
5. 자살 유족 분석
➤ 사별 후 변화
➤ 자살 유족의 정신건강 문제
728x90
반응형
'복지정보 > 자살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광역자살예방센터 채용 공고 (0) | 2022.07.21 |
---|---|
붙임 3 코로나19 영향 관련 자살사망자의 자살 경로 유형 및 사례 (0) | 2022.07.19 |
붙임 1 심리부검 면담 개요 (0) | 2022.07.19 |
자살 심리부검, 죽음으로 삶을 이야기하다 (0) | 2022.07.19 |
미디어환경 자살예방 인식 개선 (0)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