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Report
1. 사회복지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의 관계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의 개념
- 목적 : 전체 기관 내에서 일어나는 활동의 중심점이 되며 기관의 모든 프로그램, 서비스 목표를 포괄하는 기능을 한다.
- 목표 : 사회복지서비스들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어 개별 클라이언트가 바람직한 미래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갖는 변화.
2)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의 관계
목 적 | 목 표 |
거시적 | 미시적 |
포괄적이고 추상적 | 부분적이고 구체적 |
장기적 방향의식 | 단기적 방향의식 |
- 목적과 목표는 위 관계와 같이 상하의 위계적 관련성을 가진다.
즉,설정의 순서는 목적--->목표 와 같이 생각할 수 있으며, 성취의 순서는 그 반대로 실행이 된다.
- 각각의 목적과 목표는 특정 행동만을 기술하고 중복되지 않기 때문에 배타적인 관계이다.
-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이다.
2. 노인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
1) 노인 정보화 교육의 필요성
- 급변하는 디지털시대에 맞춰 노인이 계속해서 창조적인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평생교육이 요구됨.
- 지식정보화시대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 환경에 적응해야함.
- 노인은 정보격차 취약층으로 다양한 정보화 교육이 필요함.
2) 노인 정보화의 실태
- 정보통신 기술 교육 부족과 노년층 관련 콘텐츠의 부재
- 정보격차로 인한 세대간 분리의 가속화.
3) 프로그램 활동 내용
목적 | |||
지역사회 내 노인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및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개인의 정보화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사회에서 정보 격차로 인한 사회적 소외를 극복하며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의 적응을 돕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 |||
목표1 | 목표2 | ||
노인들의 컴퓨터 교육을 통하여 이를 활용한 정보화 시대의 사회성을 향상한다 |
노인들의 스마트폰 활용 능력 향상 교육을 통하여 노인들 및 세대간의 의사 소통의 격차를 해소한다 | ||
하위목표1 | 하위목표2 | 하위목표1 | 하위목표2 |
개인 블로그를 개설하여 일상 생활의 글들을 게시하고 공유 한다 |
지역 카페를 개설하고 회원 가입 및 활동을 통하여 디지털 커뮤니티에 대한 적응을 돕는다 |
스마트 폰을 이용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기법을 익히고 이를 편집하고 지역 커뮤니티에 게시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활용방법을 익혀 실생활에 적응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 계획 수립 (0) | 2022.07.12 |
---|---|
프로그램 활동내용 선정 및 작성 방법 (0) | 2022.07.12 |
프로그램 활동내용 구성 (0) | 2022.07.12 |
목표 설정의 방법 (0) | 2022.07.12 |
목표의 유형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