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사회복지학 개론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728x90

○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 자선조직협회의 탄생 배경


- 영국이 산업화로 도시 다양한 문제발생 


- 1800년대 많은 자선단체들이 생겨남


- 서비스의 중복과 누락 등 비효율적으로 운영


- 자선의 과학적 , 합리적 제공의  필요성 제기 


- 1869년 민간기관 활동을 조정하기 위한 자선조직협회 결성

 


▶ 자선조직협회의 활동 목적


- 자선단체 간 협력을 도모하는 것

 
- 적절한 조사를 통해 빈민들에게 알맞은 원조를 제공하는 것


- 빈민의 구걸 행위를 방지함으로써 빈민의 생활조건을 개선하는 것

 


▶ 자선조직협회의 빈곤관


자선조직협회는 빈곤의 원인을 나태하고 게으르다는 개인의 성격적 결함에서 찾는 개인주의적 빈곤관을 취했음 

 


▶ 자선조직협회의 활동 내용


- 자선조직협회의 주 활동자 : 우애방문원


- 빈민의 가정을 방문, 면담, 기록, 자산조사 등 수행, 도덕성 향상을 위해 노력

 

-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은 구빈법에 기초함  


- ‘열등처우의 원칙’ 적용 


- 빈민층 교화를 위한 활동, 욕구조사, 문제 원인의 규명, 문제해결 방법을 알려줌 

 

 

▶ 인보관운동의 탄생 배경


- 자선조직협회의 비효율적인 운영 및 한계로 탄생 

 

- 19세기말 영국에서 발생된 사회개혁 성향을 띈 활동


-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대학생들과 빈민과 결합으로 주변환경 개선, 빈민의 도덕적 교화활동에 힘씀


- 1884년 영국에 최초의 인보관인 토인비홀, 1898년 헐하우스 설립


- 인보관운동 참여자들은 주택의 개선, 공중보건의 향상, 빈민착취의 방지 및 해결 등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을 강조

 


▶ 인보관운동의 빈곤관


- 인보관운동의 활동가들은 빈곤의 원인을 산업화의 결과로 보았음 

 

- 빈곤을 개인의 책임이 아닌 환경적인 문제라고 보았음


- 빈곤의 원인을 사회구조적 요인, 환경적 요인에서 찾았음

 

 

▶ 인보관운동의 활동 내용


- 빈곤문제를 사회적 요소로 보고 사회개혁적 접근을 시도


- 빈곤문제 해결을 자선의 형태, 개인적 접근보다는 사회적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 것 


- 주택개선, 공중보건 향상 , 고용주의 빈민 착취 방지를 위한 활동을 함 


- 빈곤문제를 사회구조적 문제라고 정의하고 빈민의 도덕성 개선보다는 사회개혁을 위한 노력에 초점을 맞추었음

 

 

 

 

▶ 보수체계 정립과 유급 사회복지사 등장


- 자선조직협회 활동의 전문화에 따른 전문적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 


- 1900년 전후로 우애방문원은 보수를 받았으며 단순한 자원봉사자에서 전문가로 전환하는 계기


- 1905년  미국 매사추세츠 병원에서 의사 카보트가 의료사회복지사를 채용하면서 각 분야에서 사회복지사를 유급으로 채용

 


▶ 사회복지실천 기초 이론 구축


- 사회복지계는 정신의학 중심의 개별 사회복지를 실천하면서 전문직화를 촉진함 

 

- 메리 리치몬드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연결시켜 사회복지의 전문화에 기여 

 

- <사회진단>(1917), <개별사회복지실천이란 무엇인가?>(1922)라는 책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이론 구축 


- 사회복지계의 전문직화 움직임으로 인해 생긴 경향: 정신의학 중심의 개별 사회복지 실천을 강조

 

 

 

 

▶ 사회복지실천 3대 방법론 분화 및 확립


☞ 개별 사회복지실천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방법론 정착
• 사회복지사는 아동상담소, 병원 등에서 전문화된 사회복지를 실천했음

 


▶ 집단 사회복지실천 발달


☞ 1930년대 이후 집단사회복지실천이 사회복지실천 방법으로 인식됨

 


▶ 지역사회 조직 발달


☞ 미국은 1920년대 부터 공공 복지기관을 설치, 지역사회 복지실천으로 전환, 사회복지사의 수가 늘어나면서 전문화되었음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발달


- 1930년대 이후 집단사회복지실천이 사회복지실천방법으로 인식 

 

- 1936년 집단사회복지실천연구회가 발족


- 1946년 미국 집단사회복지실천협회로 발전


- 1945년 이후 참전용사들을 대상으로 정신의학적 집단사회복지실천이 시작되었음 

 

- 아동, 정신장애인 등과 같은 대상층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 활발히 도입되기 시작함 

 

-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가족에 대한 개입에도 집단사회복지실천이 활용됨

 


▶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갈등


- 1930년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중심으로 한 ‘진단주의 학파’ 와 랭크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 ‘기능주의 학파’ 사이에 논쟁이 일어남


- 고든 해밀튼, 홀리스, 메리 리치몬드의 진단주의는 사회환경에 대한 퍼스널리티의 적응력을 강화하는 것을 실천의 과제로 삼음


- 타프트, 로빈슨, 스몰리의 기능주의는 개인의 ‘의지’의 힘을 강조, 개인의 현재의 경험과 위커가 속한 기관의 기능을 자유롭게 활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실천의 중심과제로 함


- Ct의 성장, 인간에 대한 낙관적 견해를 가짐

 

 

 


▶ 새로운 관점, 이론, 모델의 발전 및 다양화


- 1970년대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수용,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하려는 노력하는 시기 

 

- 일반체계이론, 생태체계관점 등이 제시되었고, 생태체계관점에 입각한 새로운 접근이 이루어짐


- Ct의 관점에 관심을 두고 개인의 강점에 초점을 맞추는 개입전략의 다중성 중시 

 

- 새로운 모델과 이론 및 관점 : 과제중심모델, 강점관점, 역량강화이론 등이 있음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 개론 강의정리 : 오주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