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현병 환자 가족교육의 이해
1) 가족교육의 정의
- 가족(or client)을 대상으로 질병에 대한 정보(information), 지식(knowledge), 대처기술(coping skill), 상담(counselling), 지지(support)를 제공하는 가족 지원기법
- 정신교육적 가족치료, 가족역량강화 심리교육
2) 가족교육의 목적
- 지식과 정보 전달 & 죄책감 감소
- 심리적 지지망 구축 : 비슷한 입장의 다른 가족들과 문제공유
- 원활한 협력체계 구축 : 치료진 & 환자 & 가족간
-> 가족 스트레스 감소 & Client 보호제공자 역할수행지원
2. 가족교육적 접근법으로의 전환(1)
1) 원인론(치료)적 관점 : 1930년대~1960년대
가. 1930년대
- 질병에 대한 가족의 영향 관심
- 20년간 조현병 Client 가족치료(정신분석이론 근거)
-> 증상 : 가족 내 문제 벗어나기 위한 시도
-> 초점 : 가족 내 상호작용 (가족갈등)
-> 목표 : 가족체계 재정립 : 올바른 의사소통 & 정서적 접촉
- 이후 가족치료적 접근 감소
-> 적용대상 제한적 : 치료비 & 장기성 & 중산층 이상
정신분석에 능통한 치료자 부족
-> 과학적 입증 어려움 : 병의 원인보다 결과 (가족갈등) 재발문제 => 문제 : 가족의 죄책감 유발
나. 1950년대
- 항정신병 약물(chlorpromazine)의 발견
- 정신과적 증상 통제 가능
다. 1960년대
- 탈시설화 정책
- Client 가족의 보호 부담 & 고통 가중
- 가족 : 여전히 비난의 대상
- 발병원인 (정신병리적 관점), 죄책감 강화
2) 지원적 관점 : 1970년대부터 새로운 가족접근 시작
- 정신질환의 생물학적 중요성 강조
- 가족불만 표출 & 실질적 도움 요구 -> 치료방법 & 병의 정보 요구
- 새로운 형태 가족치료프로그램 등장 -> 매주 1회 : 2~3명 치료자 & 4~8가족
ex) 질병에 대한 교육적 정보제공, 가족 서로간의 경험 & 조언 교류
- 1979년 미국 조현병환자 가족협회 결성 (NAMI; National Alliance for the Mentally ill)
-> 정신질환의 발생에 대해 가족 비난 금지
-> 치료방법에 대해 교육받을 권리
=> Client & 가족 위한 실제적 & 실용적 가족치료 프로그램 개발 시작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재활의 이해와 필요기술 (0) | 2022.07.14 |
---|---|
가족교육적 접근(2) & 가족교육의 실제 (0) | 2022.07.14 |
정신장애인 가족의 이해 (0) | 2022.07.14 |
사회기술훈련 (2) (0) | 2022.07.14 |
사회기술훈련 (1)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