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업재활의 이해
1) 직업재활의 개념
가. 협의 개념
- 직업재활을 목표로 실시되는
-> 취업준비(사정)과정, 직업훈련과정, 구직과정, 취업 초기 적응·유지 과정, 직업재활 성과
나. 광의 개념
- 직업재활 준비과정으로서의
-> 취업 준비 (사정)과정 및 훈련과정, 구직과정, 직업 적응 및 유지 지원 포함 -> 정신장애인의 취업 목표 달성을 위한 정신장애인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서비스
2) 직업재활의 정의
가. 학자들의 정의
엔서니 & 리버만 (Anthony & Liberman) | 정신장애로 인해 정상인이 수행하고 있는 사회적 역할을 충족할 수 없는 불리(handicap)를 지닌 정신장애인에게 ->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직업을 갖게 하여 일을 통해 사회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치료적 접근 |
최희수 | 정신장애인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 적절한 직업상의 원조를 하여 취업과 직업유지, 나아가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며 -> 지역사회에 통합하도록 하는 것 |
블랙(Black) | 정신장애인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도록 돕는 과정이며, - 환자의 장점을 개발하여 최대한 지역사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과정 |
=> 직업재활은 장애를 유발하는 정신적 불능(disability)을 가진 채로 취업을 하여 장애상태를 최소화하여 사회통합과 자립을 하기 위한 원조과정.
나. 초점
- 질환의 제거 or 줄이기보다는 건강을 극대화하여 정신장애인의 능력 향상
3) 직업재활이 정신장애인의 재활에 기여하는 요인
가. 자아존중감 및 자아개념의 향상
- 쉽게 ‘환자 역할’ 수행 예방
- 직업활동 통해 자신의 병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나. 정신장애인 총체적 기술 척도로 활용
- 직업 구하기 & 유지 위해 광범위한 기술 요구
ex) 사회기술 & 직업기술 & 증상 및 약물관리 등
→ 결함시 직업상실 초래
다. 정신과적 증상 감소
- 활동적 & 생산적 일(직업) 종사 시
→ 증상 재발감소(특히,음성증상) & 재입원율 감소
why, 직업 경험 & 생활구조 & 사회 관계망 확대 등
- 다른 생활 사건에서의 스트레스 예방 및 중화 효과 & 대처능력 증가 증상재발의 보호요인으로 작용
라. 사회적 지위의 변화
- 경제적 자립(종속자 → 기여자)
- 지역사회의 생산적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마. 사회적응능력의 지표
- 지역사회에 머무를 수 있는 지표 -> 독립적 생활 가능여부 판단기준
2.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서 필요기술
1) 자기관리기술
- 위생 · 청결 · 외모 및 옷차림 · 시간 준수
2) 기본관리기술
- 교통편 · 전화 · 물건구입
3) 대인관계기술
- 난폭한 행동자체·동료와의 우호적 관계 · 감독자의 지시파악 · 감독자에 대한 순응, 비판 및 지지적 태도 · 도움 요청 기술
4) 건강관리기술
- 규칙적인 약 복용 · 부작용 · 재발경고징후 관리 · 음주 조절 · 규칙적인 식사 및 수면
5) 작업기술
- 작업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기술
- 작업 시 집중력, 작업 속도, 생산품 질적수준, 일에 대한 책임감, 자율적으로 일 하는 것, 일에 대한 의욕 및 적극성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직업재활의 동향 (0) | 2022.07.14 |
---|---|
직업재활의 저해요인과 단계 (0) | 2022.07.14 |
가족교육적 접근(2) & 가족교육의 실제 (0) | 2022.07.14 |
조현병 환자의 가족교육 및 가족교육적 접근(1) (0) | 2022.07.14 |
정신장애인 가족의 이해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