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그램개발과 평가의 중요성
-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의 중요성 및 필요성 강조, 증대
- 모든 대학교에서 주요 교과목으로 자리잡게 됨
- 주된 이유 : 책임성(책무성)의 시대, 사회복지적 개입의 효과성, 근거기반실천,경쟁적 예산 배분,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2. 책임성의 시대
1) 책임성
(1) 사회복지 영역의 역할
- 사회문제 해결, 완화, 클라이언트 복지 향상 위한 최적 서비스 제공의 사회적 역할 위임 받음
- 사회복지조직은 프로그램 통해 → 사회적으로 주어진 자원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적, 목표(클라이언트의 욕구 충족, 문제 해결)를 효과적, 효율적 으로 달성했는지 → 객관적으로 증명할 것 요구받음
2) 사회복지영역의 책임성
- 사회복지영역에서 책임성 논의
→ 서구 복지국가 : 1970년대 후반부터 → 우리나라 : 1990년대 후반부터
- 사회복지기관 책임성 강조 배경
① 기존 사회복지기관의 비효과적 행태 문제 삼는 세력 등장
② 사회복지 서비스의 민영화 경향
③ 사회복지기관, 시설이 정기적 평가 통해 책임성 입증 제도화
3. 사회복지적 개입의 효과성
1) 효과성
- 의도된 목적 성취 정도와 서비스 질 보여주는 지표
- 프로그램 선택 및 지속 여부 결정의 준거
- 프로그램 기획단계부터 효과적 프로그램 제공하기 위해 노력
①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한 효과성을 기획단계부터 고려 → 수행 이후 실제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세분화된 체계 구성
② 효과성 평가 필요한 이유
- 클라이언트 및 가족과 관리자 및 재정지원자가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됨 → 효과성 평가로 프로그램 지속, 확대, 축소, 폐지 등 의사결정
- 사회복지의 가치, 기술, 지식 등에 대한 과학적 기반을 축척하고 확충하는데 기여 → 경험적으로 입증된 사회복지실천 강화
학습정리
1. 책임성의 시대
- 사회문제 해결∙완화, 클라이언트 복지 향상 위한 최적 서비스 제공의 사회적 역할 위임 받음
- 클라이언트 욕구 충족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달성했는지 객관적 증명 요구 받음 → 정기적 평가 제도 시행
2. 사회복지 개입의 효과성
- 효과성 : 의도된 목적 성취 정도와 서비스 질 보여주는 지표, 프로그램 기획단계부터 고려
-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 사회복지실천 강화
부산디지털대학교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0) | 2022.07.12 |
---|---|
사회복지와 프로그램 (0) | 2022.07.12 |
프로그램의 개념 (0) | 2022.07.12 |
프로포절 - 개발2 (0) | 2022.06.11 |
프로포절 - 개발1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