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그램 개발
1) 문제(욕구) 확인
(1) 문제분석 방법
-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됨 → 깊이 고려하고, 통계적 자료 뒷받침.
- 문제정의와 원인 : 선행연구, 경험적 근거, 자료에 의해 논리적으로 제시
-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 제시
(2) 문제분석의 내용
- 문제 및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의
- 문제의 경향, 심각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자료 사용
- 문제상황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특징
- 문제를 다루고 있는 기존 서비스 분석
-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될 수 있는가
- 문제를 욕구로 전환시키는 작업
2) 대상자 선정
(1) 표적집단 추정방법
- 표적집단을 먼저 찾아 계산한 뒤,
- 그 분포를 분석하는 방법
(2) 대상자 선정
- 대상집단 표집 깔대기
① 일반집단 : 대상집단이 속한 커다란 일반 인구집단
② 위험집단 : 문제에 노출된 인구집단
③ 표적집단 : 문제에 노출되어 프로그램이 해결대상으로 삼는 인구집단
④ 클라이언트 집단 : 신청 프로그램이 서비스 대상으로 삼은 인구
(3) 대상자 선정의 유의점
- 지리적 범위를 유일한 기준으로 점차 축소시키는 방법은 잘못된 표적집단 추출방법임
- 문제와 욕구를 중심으로 축소시켜 표적집단 추출
3)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1) 목적 세우기
- 목적 :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궁극적인 결과를 의미
- 논리적으로 측정되기 어려운 상태로 진술됨
(2) 목적의 특성
① 구체적 표적집단(누구)
② 현재의 문제영역(어떤 문제)
③ 바람직한 미래상태(어떻게 변화
(3) 목표 세우기
- 구체적으로 측정 가능한 형태로 진술
- 프로그램 목적의 측정 지표
- 목표 설정의 기준
① 클라이언트를 중심에 두고 목표 설정
② 기관의 미션, 프로그램의 목적과 논리적으로 연관성 유지
③ 성취가능한 형태, 측정 가능하도록 설정
- 하위목표 분화 방법
① 목표에서 문제나 욕구와 관련된 핵심요소를 2-3개로 나누어 작성
② 성과목표를 중심으로 몇 가지 과정목표 또는 활동목표로 나누어 작성
- 목표 설정에서의 유의점
: 목표는 프로그램 자체가 아니라 프로그램의 예상되는 결과 서술하는 것
<요약>
1. 문제(욕구) 확인
-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됨 → 깊이 고려하고, 통계적 자료 뒷받침.
- 문제분석의 내용
.문제 및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의
.문제의 심각성 보여주는 다양한 자료
.문제상황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특징
.문제를 다루고 있는 기존 서비스 분석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될 수 있는가
.문제를 욕구로 전환시키는 작업
2. 대상자 선정
- 대상집단 표집 깔대기
.일반집단 : 대상집단 속한 일반 인구집단
.위험집단 : 문제에 노출된 인구집단
.표적집단 : 해결대상으로 삼는 인구집단
.클라이언트 집단 : 서비스 대상 인구
- 문제와 욕구를 중심으로 표적집단 추출
3. 목적과 목표
- 목적의 특성 : 표적집단, 현재 문제, 바람직한 미래
- 목표 설정의 기준
: 클라이언트 중심 / 미션, 목적과 논리적 연관성 / 성취, 측정 가능하도록 설정
- 하위목표 분화 방법
.문제(욕구) 관련 핵심요소로 나누어 작성
.과정목표 또는 활동목표로 나누어 작성
- 목표 설정에서의 유의점 : 프로그램의 예상되는 결과 서술하는 것
부산디지털대학교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의 개념 (0) | 2022.07.12 |
---|---|
프로포절 - 개발2 (0) | 2022.06.11 |
프로포절 - 작성 기법 (0) | 2022.06.11 |
프로포절 - 삼성복지재단 (0) | 2022.06.11 |
프로포절 작성 사례 - 공동모금회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