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원
1) 개념
- 흩어져있는 인적, 물적 자원들을 한데 모으는 일
- 인적 동원 : 문제해결의 주체로서 주민 조직 필요
- 물적 동원 : 지역사회 구성원의 관심과 참여 이끌어내는 수단
2) 인적자원 동원 전술
- 기존 조직의 활용 : 집단 지도자 접촉, 동참 권유 → 조직 자율성 유지,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
- 개별적 접촉 : 주민 개별적 접촉하여 동참 유도 → 반대자 아니라 잠재적 지지자에 집중
- 네트워크의 활용 : 네트워크 내부 동료 통해 접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 쟁점을 따라 접촉할 네트워크 달라야 함
3) 물적자원의 모금원칙과 방법
① 모금원칙
- 단순히 돈 모으는 것 아님 → 지역사회 구성원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되어야 함
② 모금방법
- 회비 : 조직 자율성 유지 But 충분한 자금 모으기 어려움
- 조직 홍보와 마케팅 : 지역사회 기부 극대화시키는 방법
- 외부 지원금 신청 : 큰 규모의 자금 필요로 할 때
- 모금을 위한 특별 이벤트 : 지역사회 결속력 강화 기회
2. 조직화
1) 개념
- 지역사회 단위로 발생하는 주민의 당면문제 → 지역사회 스스로가 조직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복지의 실천 방법
2) 조직화의 원칙
① 사적 이익에 대한 관심을 조직화에 활용하라
② 조직화는 동적인 과정이다
③ 갈등과 대결에 익숙해지는 법을 배워야 한다
④ 쟁점은 명확해야 한다
3) 지역조직화의 문제해결과정
: 욕구파악 → 공동계획 수립 → 계획의 실시 → 평가
3. 네트워킹
1) 개념
- 상호공유하고 있는 공통 목적 성취 및 사회적 변화 위해 → 개인 및 조직, 기관 간의 상호작용 통하여 → “자원 교환하는 사회적 체계”
2) 네트워크의 차원
협 력(cooperation) | - 독립적 프로그램 기획, 실행할 때 형성 - 정보 공유 및 조직 이익, 중복 회피 - 최소한의 상호작용 |
조 정(coordination) | - 조직간 중복 및 갈등과 낭비 회피 차원 - 함께 프로그램 기획, 상호작용 - 많은 대화와 기획 요구됨 |
합 작(collaboration) | - 단일 프로그램 참여 목적으로 연계 - 조직 정체성 유지하며 자원 공유 - 운영위원회, 조정위원회가 리더십 발휘 |
3) 네트워크의 구축원칙
네트워크의 주체 | - 다양한 복지관련조직의 참여구조 - 수요자 특성 고려하여 서비스 공급조직을 주체로 선정 - 참여조직 상호 조정∙협력 |
네트워크의 대상 및 구성 | - 행정 지원, 서비스 제공, 자원 제공조직 등 포괄 구축 - 복지, 보건, 노동영역 등 활동 구성원으로 참여 |
네트워크의 운영구조 | - 이원화 구조 - 운영위원회와 운영위원회 산하 실무위원회 구성 |
네트워크의 활동내용 | - 지역사회 욕구 파악, 복지계획 수립, 이슈 분석 등 - 서비스 조정, 중복 방지, 의뢰 및 프로그램 개발 등 활동 |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과 필요성 (0) | 2022.07.08 |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핵심기술 - 사회행동/역량강화/옹호 (0) | 2022.07.08 |
사회복지사의 역할 (0) | 2022.07.08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0) | 2022.07.08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2)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