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과정
: 지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 및 충족되지 않은 욕구 발견 → 효과적인 대응책 수립 → 이를 실천에 옮기는 일련의 과정
- 실천의 일반적 과정
: 문제발견 및 분석 →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 실천 → 평가의 순환 과정
1. 문제발견 및 분석
1) 문제규정의 중요성
① 첫 단계 : 충족되지 않은 욕구, 해결 필요한 문제 발굴
② 문제 → 해결 방안 수립하고 실천에 옮겨질 수 있도록 규정되어야 함
③ 문제 규정이 문제해결 과정에 영향 미침
④ 문제특성 파악 시 고려 사항
ⓐ 문제의 복잡성 정도
ⓑ 문제의 강도 정도
ⓒ 문제의 확산 정도
ⓓ 문제의 긴급성
ⓔ 문제의 지속성
2) 사회문제와 가치관 고려
① 문제의 규정 고려 사항 → 현존 서비스, 기관, 전문분야, 이익집단이 규정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수용할 것인지, 일단의 자료를 토대로 보다 객관적으로 규정할 것인지 고려
② 문제와 관련된 가치관 분석 필요
ⓐ 누가 문제로 보며, 문제로 보지 않는가 분석
ⓑ 문제 파생, 존속시키는 가치관과 제도 분석
ⓒ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 지배계층의 사고방식 분석
ⓓ 사회복지사 속해 있는 기관, 단체의 견해 분석
ⓔ 전문 분야가 갖는 견해와 가치 분석
3) 사회문제와 관련 이론 검토
① 전문 사회복지사의 문제분석 작업 → 가치관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없고, 결정되어서도 안됨
② 사회문제와 관련된 객관적인 자료 수집, 분석해야 함
③ 자료 수집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
ⓐ 문제와 관련된 특수집단 및 지역에 대한 통계자료, 실태보고서 등 분석
ⓑ 특정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회과학 이론 활용
4) 사회문제의 조작화
① 사회문제 : 구체적인 해결방안 및 일련의 활동을 위해 → 구체적으로 조작화되어야 함
② 사회문제 조작화 → 그 개념을 측정, 실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체화시키는 것
2. 정책 및 프로그램의 개발
① 정책 수립 : 대안 중에서 선택되는 확고한 행동노선, 장래의 결정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이 되는 기본계획 → 정책선택이라 할 수 있음
② 정책 선택 : 관련되는 행동체계의 문제 해결에 대한 견해가 중요한 요건 됨
③ 행동 체계 : 정부기관, 사회복지기관, 클라이언트 집단, 문제해결과 이해관계에 있는 정치인, 기업인, 전문 분야 등의 관련 집단으로 구성
3. 프로그램의 실천
-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행하게 되는 일련의 활동
1) 홍보활동
① 지역 주민에게 지역사회복지 실천 계획에 대한 이해나 인식을 넓히는 활동
② 실시방법 : 매스컴 및 개인적인 의사소통
2) 주민참가의 촉진
① 주민조직, 단체 강화, 육성함
② 지역 내에 존재하는 조직, 기관, 단체, 각종 전문직과의 연계 중요
3) 연락․조정활동
① 지역 내의 조직, 집단, 주민의 협동과 협력이 필요
② 지역의 연대나 협동체제 유지 :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임
③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 필요
4. 평가
1) 첫 번째 목적
① 프로그램 실천과정에서 수립된 정보 입수 → 실천에 반영 및 실천 궤도 수정
② 프로그램 전 과정에 영향을 주는 계속적인 활동
2) 두 번째 목적
① 문제해결 전 과정이 이룩한 결과와 최종산물 평가
②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영향을 측정
3) 평가방법
- 평가 방법으로 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 : 실험조사방법
- 사회복지조사방법 활용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핵심기술 - 동원/조직화/네트워킹 (0) | 2022.07.08 |
---|---|
사회복지사의 역할 (0) | 2022.07.08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2) (0) | 2022.07.08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1) (0) | 2022.07.08 |
웨일과 갬블의 모델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