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체계의 주요 관점
① 항상성
· 체계가 안정된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경향을 가진 균형 상태
· 체계가 생존을 위해 환경과 성공적으로 타협하는 능력
· 항상성 상태에서는 구조가 크게 달라지지 않음
· 개방체계의 속성
▶ 안정상태
· 부분들 간의 관계를 유지시키고 쇠퇴해서 붕괴되지 않도록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상태
· 환경과의 교류뿐 아니라 변화하는 여건에 적응하기 위해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는 개방체계에 존재함
▶ 균형
· 외부 환경의 에너지를 새로 가져오는 일 없이 현상을 유지하려는 속성
· 폐쇄체계에 존재함
▶ 투입 – 전환 – 산출
· 체계가 외부로부터 정보나 에너지를 받아들여 필요로 하는 자원을 만들어 내는 과정
· 투입 : 체계가 환경으로부터 에너지, 사물, 정보 등을 받아들이는 과정
· 전환 : 체계 내부로 투입이 이루어지고 나서, 체계가 투입된 에너지를 자신에게 적절하게 변형시키게 되는 재조직화 과정
· 산출
- 투입된 것이 전환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결과물
- 체계 내에서 변형된 에너지를 환경으로 방출하는 것
· 피드백(환류)
- 행동을 수행한 개인에게 행동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 행동의 결과를 더욱 개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행위를 만들어 내거나 기존의 행위를 수정함
- 일련의 정보 투입이 일어나는 의사소통 장치
정적 환류(positive feedback) | 부적 환류(negative feedback) |
- 기존의 행위를 강화하여 현재의 행위가 지속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해지는 피드백 - 체계에 급진적이고 불연속적인 변화를 통하여 체계 전체를 변화시키는 환류 |
-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고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환류 - 기존의 행위를 수정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피드백 - 체계 내의 부분만을 변화시키고 체계 전체는 유지시키는 기능을 함 |
▶ 동귀결성 / 다중귀결성
· 동귀결성
출발 조건이 다르고 방법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개념으로, 투입이나 전환에 관계없이 산출은 동일하다는 의미
“다양한 출발에서 시작해서 동일한 결과에 이름”
· 다중귀결성
처음의 조건과 수단이 비슷해도 다른 결과가 나타남을 의미 “똑같은 출발에서 다양한 결과에 이름”
▶ 일반체계관점에 대한 평가
·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단선적 인과관계 관점의 의료적 모델에서 다원론적 관점으로 전환시킴
· 총체성을 강조하는 체계적 사고를 강조함으로써 사회복지실천이 클라이언트와 체계들 간의 상호작용을 향상하도록 함
· 인간이 상호작용하는 많은 체계를 고려하게 하여 사회복지실천의 사정과 개입영역을 확대시킴
학습정리
2) 체계와 관련된 개념
· 항상성 : 체계가 균형을 위협받을 때 안정적으로 균형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
· 안정상태 : 쇠퇴해서 붕괴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상태
· 균형 : 외부환경의 에너지를 새로 가져오는 일 없이 현상을 유지하려는 속성
· 투입-전환-산출-피드백 : 체계가 외부로부터 정보나 에너지를 받아들여 필요로 하는 자원을 만들어 내는 과정
· 동귀결성 : 출발 조건이 다르고 방법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결과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개념
· 다중귀결성 : 처음의 조건과 수단이 비슷해도 다른 결과가 나타남을 의미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실천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1사회복지 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점관점(1) (0) | 2022.07.08 |
---|---|
생태체계의 관점 (0) | 2022.07.08 |
일반체계관점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의 초점(2)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의 초점(1)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