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속의 인간관점
· 리치몬드(1917)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1917) 속에 함축
- 1950년대 이후부터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개념 틀로 자리잡기 시작
- 이후 사회복지실천 이론가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강조됨
· Gordon(1969)
- 사회복지사 활동의 초점
- 환경이 제공하는 자원과 개인이 갖고 있는 욕구나 성장 잠재력과의 조합을 이루어내는 것
▶ 사회복지실천의 공통 기반
· 개인과 환경에 대한 이중 초점➡사회복지사는 개인이 가진 대처능력과 그 개인에 대해 환경이 요구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함(Bartlett(1970))
· 개인변화와 사회개혁의 두 측면을 동시에 개입하는 실천 강조 개인과 환경 사이의 역기능적 교환에 개입해야 함
▶ 사회복지실천의 초점을 어디에 맞추어야 할 것인가?
- 개인과 환경 간 상호작용 증진의 책임을 개인과 환경 모두에게 두는 것
▶ 환경 속의 인간 관점
- 개인, 가족 또는 집단체계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체계들이 그들 주변의 다른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와 어떻게 상호작 용하는가에 관심을 둠
▶ ‘환경 속의 인간’ 틀 내의 사회복지사의 활동
· 개인과 사회환경의 교류 공간에서 일어나는 욕구들 사이의 조합이 원만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돕는데 초점을 둠
· 개인의 성격, 역기능, 능력 및 기술 부족 등에 대한 치료를 위주로 개입하는 개인 변화 촉매인의 역할
· 사회의 자원과 기회가 공정하게 배분되도록 각종 사회복지정책 및 행정의 변화 및 개혁을 시도하는 사회변화 촉매인의 역할
1) PIE의 기본 구조
·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의 변화
-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
- 정신의학적인 문제에 대해 질병 및 병리적 개념에서 문제 정의
· 환경 속의 인간(PIE)
- 개인의 역할 기능 수행과 개인 주변으로 부터의 지지 상황 모두를 고려하여 문제를 분류
▶ PIE(Person In Environment) 분류체계
· 1970년대 초 환경 속의 인간 시각(Person In Environment : PIE)에서 문제를 분류할 수 있는 체계 개발
· PIE 체계는 개인과 환경 모두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회복지실천에 부합되는 문제 분류 체계를 갖기 위한 사회복지 전문직의 노력의 결과
· PIE는 개인의 역할 기능 수행과 아울러 개인 주변으로부터 지지 상황 모두를 고려하여 문제를 분류하는 체계
▶ 등장배경
·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 체계에 대한 불만의 결과
· DSM이 정신의학적인 문제들에 대해 질병 및 병리적 개념에서 문제를 정의하는 것에 한계
▶ 분류
· 제 1 축과 제 2 축 : 사회복지실천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된 고유의 축
· 제 3 축 : DSM-Ⅳ의 제 1 축(임상적 증세)과 제 2 축(성격 및 발달상 장애들)
· 제 4 축 : DSM-Ⅳ의 제 3 축과 ICD-9을 그대로 빌려와 사용
[PIE 문제 분류체계의 기본 구조]
분류기준 | 내용 |
제1축 사회적 기능 수행상의 문제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역할 문제를 확인하고 묘사 |
제2축 환경상의 문제 | 사회복지사는 1축(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주고 있는 환경 상의 문제를 묘사 |
제3축 정신건강상의 문제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와 개입과 관계가 있는 현재의 정신적, 성격적 장애나 상태, 발달상의 장애나 상태를 표시 |
제4축 신체건강상의 문제 |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역할 수행과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 및 유지에 관련 가능성이 있는 현재의 신체장애나 상태를 표시 |
[PIE 문제 분류체계의 기본 구조]
▶ 1축 : 사회기능상 문제
· 클라이언트가 호소하는 문제가 네 종류의 사회역할 군들 중 어떤 역할상의 어려움에 해당되는지 가려내는 일
· 앞서 분류해 낸 역할 속성의 유형을 판단
· 역할수행 상 문제의 심각성 정도를 판단
· 문제의 지속기간 파악
· 개인의 대처능력 판별하여 기록
▶ 2축 : 환경상 문제
· 여섯 가지 사회체계 중 클라이언트가 경험하고 있는 문제 속에서 확인되는 환경체계 문제를 가려냄
경제/기초욕구체계, 교육/훈련체계, 사법/법률체계, 건강/안전/ 사회서비스체계, 자발적 참여 조직체계, 정서지원체계
· 해당 사회체계가 갖고 있는 구체적 문제 유형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기술
· 문제의 심각성과 문제의 지속기간을 제1축에서 제시된 기준에 따라 판단하여 기술
▶ 3축 : 정신건강상 문제
· 임상적 증상들(Clinical syndromes) : DSM-IV의 제1축
: 정신장애, 물질관련 장애, 정신분열 및 신경증, 기분장애, 불안장애, 섭식장애, 수면 장애 외 여러 정신, 신경, 정서장애 등
· 성격 및 발달상 장애(Personality and developmental disorders) : DSM-IV의 제2축
: 편집 성격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경계 성격장애, 회피 성격장애, 의존 성격장애 등
▶ 4축 : 신체건강상 문제
· 의사에 의해 진단된 질병명이나 상태
: 순환기 장애, 호흡기 장애, 소화기 장애, 혈관 및 조혈 기관 장애, 신경계 및 감각 기관 장애 등
· 환자나 타인이 보고하는 기타 신체건강상 문제
2) 개인에 대한 관점
▶개인에 대한 관점 : 정서, 신체, 지능, 사회성, 영적 상태를 모두 고려해야 함
3) 환경에 대한 관점
▶ 환경
· 개인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여건
· 인간과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의 물리/사회적 구조, 물리/사회적 세력, 이들의 운동과정 등 포함
· 클라이언트의 주변 환경 : 미시환경, 중간환경, 거시환경
학습정리
1 사회복지실천의 초점
1) 환경 속의 인간 관점
개인·환경 간 상호작용 증진의 책임을 개인과 환경 모두에게 두는 것
-개인, 가족 또는 집단체계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체계들이 그들 주변의 다른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관심을 둠
2) 실천의 초점 : 환경 속의 인간
(1) PIE의 기본 구조
· 제1축 : 사회기능상 문제
· 제2축 : 환경상 문제
· 제3축 : 정신건강상 문제
· 제4축 : 신체건강상 문제
(2) 개인에 대한 관점
(3) 환경에 대한 관점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실천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1사회복지 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체계관점 (0) | 2022.07.08 |
---|---|
사회복지실천의 초점(2)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 현장(2) ,사회복지사의 역할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 현장(1) (0) | 2022.07.08 |
윤리적 의사결정모델과 윤리강령 (1)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