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2-1사회복지 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초점(1)

728x90

 

환경 속의 인간관점


· 리치몬드(1917)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1917) 속에 함축
- 1950년대 이후부터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개념 틀로 자리잡기 시작 

- 이후 사회복지실천 이론가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강조됨

 


· Gordon(1969)


- 사회복지사 활동의 초점
- 환경이 제공하는 자원과 개인이 갖고 있는 욕구나 성장 잠재력과의 조합을 이루어내는 것

 

 

▶   사회복지실천의 공통 기반


· 개인과 환경에 대한 이중 초점➡사회복지사는 개인이 가진 대처능력과 그 개인에 대해 환경이 요구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함(Bartlett(1970))


· 개인변화와 사회개혁의 두 측면을 동시에 개입하는 실천 강조 개인과 환경 사이의 역기능적 교환에 개입해야 함

 


▶ 사회복지실천의 초점을 어디에 맞추어야 할 것인가?


- 개인과 환경 간 상호작용 증진의 책임을  개인과 환경 모두에게 두는 것 

 

 

▶ 환경 속의 인간 관점


- 개인, 가족 또는 집단체계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체계들이 그들 주변의 다른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와 어떻게 상호작 용하는가에 관심을 둠

 

 

 

 

▶ ‘환경 속의 인간’ 틀 내의 사회복지사의 활동


· 개인과 사회환경의 교류 공간에서 일어나는 욕구들 사이의 조합이 원만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돕는데 초점을 둠


· 개인의 성격, 역기능, 능력 및 기술 부족 등에 대한 치료를 위주로 개입하는 개인 변화 촉매인의 역할    

                         
· 사회의 자원과 기회가 공정하게 배분되도록 각종 사회복지정책 및 행정의 변화 및 개혁을 시도하는 사회변화 촉매인의 역할

 

 

1) PIE의 기본 구조


·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의 변화

 

-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
- 정신의학적인 문제에 대해 질병 및 병리적 개념에서 문제 정의


· 환경 속의 인간(PIE)

 

- 개인의 역할 기능 수행과 개인 주변으로 부터의 지지 상황 모두를 고려하여 문제를 분류

 

 

▶ PIE(Person In Environment) 분류체계


· 1970년대 초 환경 속의 인간 시각(Person In Environment : PIE)에서 문제를 분류할 수 있는 체계 개발


· PIE 체계는 개인과 환경 모두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회복지실천에 부합되는 문제 분류 체계를 갖기 위한 사회복지 전문직의 노력의 결과 


· PIE는 개인의 역할 기능 수행과 아울러 개인 주변으로부터 지지 상황 모두를 고려하여 문제를 분류하는 체계 

 


▶ 등장배경


·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 체계에 대한 불만의 결과


· DSM이 정신의학적인 문제들에 대해 질병 및 병리적 개념에서 문제를 정의하는 것에 한계

 


▶ 분류
· 제 1 축과 제 2 축 : 사회복지실천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된 고유의 축


· 제 3 축 : DSM-Ⅳ의 제 1 축(임상적 증세)과 제 2 축(성격 및 발달상 장애들)


· 제 4 축 : DSM-Ⅳ의 제 3 축과 ICD-9을 그대로 빌려와 사용

 

 

[PIE 문제 분류체계의 기본 구조]

 

분류기준 내용
    제1축  사회적 기능 수행상의 문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역할 문제를 확인하고 묘사
    제2축  환경상의 문제    사회복지사는 1축(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주고 있는 환경 상의 문제를 묘사
    제3축  정신건강상의 문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와 개입과 관계가 있는 현재의 정신적, 성격적 장애나 상태, 발달상의 장애나 상태를 표시
    제4축 신체건강상의 문제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역할 수행과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 및 유지에 관련 가능성이 있는 현재의 신체장애나 상태를 표시

 

 

[PIE 문제 분류체계의 기본 구조]

 

▶ 1축 : 사회기능상 문제


· 클라이언트가 호소하는 문제가 네 종류의 사회역할 군들 중 어떤 역할상의 어려움에 해당되는지 가려내는 일


· 앞서 분류해 낸 역할 속성의 유형을 판단


· 역할수행 상 문제의 심각성 정도를 판단


· 문제의 지속기간 파악


· 개인의 대처능력 판별하여 기록

 


▶ 2축 : 환경상 문제


· 여섯 가지 사회체계 중 클라이언트가 경험하고 있는 문제 속에서 확인되는 환경체계 문제를 가려냄
­ 경제/기초욕구체계, 교육/훈련체계, 사법/법률체계, 건강/안전/ 사회서비스체계, 자발적 참여 조직체계, 정서지원체계


· 해당 사회체계가 갖고 있는 구체적 문제 유형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기술


· 문제의 심각성과 문제의 지속기간을 제1축에서 제시된 기준에 따라 판단하여 기술

 

 

▶ 3축 : 정신건강상 문제


· 임상적 증상들(Clinical syndromes) : DSM-IV의 제1축

: 정신장애, 물질관련 장애, 정신분열 및 신경증, 기분장애, 불안장애, 섭식장애, 수면  장애 외 여러 정신, 신경, 정서장애 등


· 성격 및 발달상 장애(Personality and developmental disorders)  : DSM-IV의 제2축
: 편집 성격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경계 성격장애, 회피 성격장애, 의존 성격장애  등

 


▶ 4축 : 신체건강상 문제


· 의사에 의해 진단된 질병명이나 상태 
: 순환기 장애, 호흡기 장애, 소화기 장애, 혈관 및 조혈 기관 장애, 신경계 및 감각  기관 장애 등


· 환자나 타인이 보고하는 기타 신체건강상 문제 

 


2) 개인에 대한 관점


▶개인에 대한 관점 : 정서, 신체, 지능, 사회성, 영적 상태를 모두 고려해야 함

 


3) 환경에 대한 관점


▶ 환경


· 개인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여건


· 인간과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의 물리/사회적 구조, 물리/사회적 세력, 이들의 운동과정 등 포함


· 클라이언트의 주변 환경 : 미시환경, 중간환경, 거시환경

 

 

 

학습정리 


1 사회복지실천의 초점


1) 환경 속의 인간 관점
개인·환경 간 상호작용 증진의 책임을 개인과 환경 모두에게 두는 것
-개인, 가족 또는 집단체계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체계들이 그들  주변의  다른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관심을 둠


2) 실천의 초점 : 환경 속의 인간 
(1) PIE의 기본 구조
· 제1축 : 사회기능상 문제
· 제2축 : 환경상 문제
· 제3축 : 정신건강상 문제
· 제4축 : 신체건강상 문제
(2) 개인에 대한 관점
(3) 환경에 대한 관점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실천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