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관점
▶ “환경 속의 인간 관점”에 영향을 미친 관점 : 일반체계관점, 생태체계관점 |
1) 일반체계관점
▶ 일반체계관점
· Bertlanffy가 1940년대 일반체계이론을 전개하여 1970년대 주목 받음
· 유기체와 환경 간의 체계적인 상호작용, 상호관련성에 대해 전체성, 상호성, 개방성의 개념으로 설명
· 개인과 사회의 문제는 원인-결과의 관계로 해석되기보다 상호 연결된 전체로 파악
·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잘 부합되고, 문제의 파악 및 개입의 초점을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주고받는 전체에 둠
· 사회복지실천에서 개인행동에 초점을 두던 것에서 벗어나 체계 성원들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게 됨
· 사회복지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많은 변화를 일으킴
(1) 체계의 기본 성격
▶ 체계(system)란?
· 상호의존적이며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부분들로 구성된 전체
· 목적이 지향하는 바에 따라 항상성과 규칙을 유지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체
▶ 체계의 속성
· “The whole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 한 구성원의 변화는 전체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
· 체계의 한 부분의 변화는 전체로서의 체계, 그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모두에게 영향을 미침
(2) 체계와 관련된 개념
① 경계
· 체계의 정체성을 규정/상호의존체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분하는 경계선
· 명확성, 투과성, 유연성의 속성을 가짐
· 주위 환경과의 내적, 외적 교환을 통해 통제
· 사회체계의 경계는 물리적 구조가 아닌 사회적 구조로 경계를 유지하는 행동을 통해 드러남
예) 가족체계의 경계 : 가족 구성원 또는 가족 내 하위체계가 가족 구성원과 아닌 사람에게 어떻게 대하는지를 정하는 내재된 규칙
③ 개방체계와 폐쇄체계
· 개방체계 : 환경과의 에너지(정보와 물질) 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체계 사회체계가 성장하고 변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체계들로부터의 투입에 어느 정도 개방적이어야 함
건전한 체계는 반투과성의 경계를 가지며 이 경계를 잘 유지함. 보다 목적지향적이고, 적응능력이 높음
· 폐쇄체계 : 환경과의 활발한 상호교환이 적은 체계
목적지향성이 낮고, 행동을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낮은 특성을 지님 불투과성의 경계를 가짐
다른 체계와 서로 에너지나 정보를 주고받지 않음 엔트로피가 아주 높음
개방체계 | 폐쇄체계 |
- 어느 정도 투과성이 높은 경계를 가지고 있는 체계 - 외부로부터 성장 및 발달에 필요한 정보나 에너지를 자유롭게 받아들임으로써 체계 자체의 기능을 유지, 발전시킴 |
- 다른 체계와 상호 교류가 없는 체계 정보나 에너지 투입이나 산출이 거의 없음 - 구성원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동질성을 띠게 됨 |
부적(역) 엔트로피(negentropy) | 엔트로피(entropy) |
· 개방체계의 속성 · 체계가 성장하고 발달하는 방향으로 진행 하는 과정 · 체계가 개방적이어서 체계의 조직과 질서가 유지되고 발달하게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 |
· 폐쇄체계의 속성 · 체계가 무질서와 혼란 상태로 향해 가면서 쇠퇴, 해체되는 것 · 체계가 폐쇄적이면 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요소들이 유사해지면서 결과적으로 체계에 효과적인 기능 상실 초래 |
▶ 폐쇄적인 가족체계의 예
· 엄격한 스케줄을 정확하게 지킬 것을 강요
· 가정에서 누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또는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엄격하게 정하고 지키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얻고자 함
④위계
· 층을 이루는 체계의 배열
· 모든 체계의 기본 단위는 활동이나 에너지 기능을 위해 그 상위체계에 의존하며, 그 하위체계에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함
⑤ 홀론(holon)
· 어떤 체계가 그 체계를 구성하는 작은 체계보다는 상위체계이고, 그 체계를 둘러 싼 큰 체계보다는 하위 체계가 되는 현상으로, 어떤 한 체계가 동시에 상위체계 와 하위체계가 되는 현상
→ 어떤 한 체계는 하위체계를 대표하는 동시에 상위체계의 영향을 받음
· 사회복지사는 문제를 진단하고 개입할 때 초점체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
· 초점체계를 중심으로 그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체계들의 기능, 상위체계들의 기능을 파악하고 변화를 모색해야 함
학습정리
1.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1) 일반체계관점
개인과 사회의 문제는 원인-결과의 관계로 해석되기보다 상호 연결된 전체로 파악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잘 부합되고, 문제의 파악 및 개입의 초점을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주고받는 전체에 둠
(2) 체계와 관련된 개념
체계의 속성 : 체계의 한 부분의 변화는 전체로서의 체계, 그 체계를 구성하고 있 는 요소들 모두에게 영향을 미침
경계 : 상호의존체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분하는 경계선
개방체계와 폐쇄체계 : 층을 이루는 체계의 배열로, 상위체계와 하위체계 사이의 관계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실천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1사회복지 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체계의 관점 (0) | 2022.07.08 |
---|---|
일반체계관점(2)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의 초점(2)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의 초점(1)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 현장(2) ,사회복지사의 역할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