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가치와 윤리의 개념
▶ 가치(value)
· 어떤 행동이 좋고 나쁘며, 바람직하고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바람직스러움 (desirability)의 기준”(Ritzer, Kammeyer, 1979)
· 행동 판단의 일반적 지침으로, 개인이나 집단에도 영향을 미쳐 개인이나 집단구성원들이 특정한 행동을 선택하는 지표 제공
▶ 윤리(ethics)
· 사물의 이치나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가’에 관한 판단기준(Lowenberg & Dolgoff(1988))
- 가치와 조화를 이루어야 함
[ 가치와 윤리 ]
가치 | 윤리 |
- 무엇이 좋고(good) 바람직한지(desirable)에 관심을 둠 - 믿음 또는 신념과 같은 것으로 인간의 선호 또는 선택하는 것에 대한 기준 - 궁극적 가치 / 수단적 가치 / 차등적 가치 |
- 무엇이 옳고(right) 그른가(incorrect)에 관심을 둠 - 가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행동지침 - 일반 윤리 / 전문가 윤리 |
▶ 윤리란 무엇인가?
·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관한 철학적, 종교적 해답
·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
· 옳다고 믿는 행동규범 혹은 기준
· 윤리는 법과 다름
· 순수한 윤리는 그 자체로서 각 개인의 내면의 세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언어 및 행동
(1) 상대적 중요성에 따른 가치체계
① 궁극적 가치
· 다수에게 쉽게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가치
· 자유, 인간의 존엄성, 정의, 평등과 같은 추상적인 목적을 가지는 가치
② 수단적 가치
· 궁극적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 가치
· 자기결정권, 비밀보장, 고지된 동의 등과 같은 궁극적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행위
③ 차등적 가치
· 궁극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의 중간에 위치한 가치
· 사회/ 문화/ 종교적 영향이나 개인적 경험에 따라 찬성 또는 반대를 할 수 있음
예) 낙태, 동성애, 사형제도, 유전자 복제 등
(2) 차원에 따른 분류
· 개인적 가치
· 기관의 가치
· 사회의 가치
· 전문직 가치
(3)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
① 사람우선가치
· 전문직 수행의 대상인 사람에 대해 전문직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 가치
· 개인의 타고난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믿음, 건설적 변화 의지와 능력에 대한 믿음, 독특성, 일반적인 인간적 욕구 등을 인정하는 가치
예)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 존중, 개별성 인정 등
② 결과우선가치
· 사람에 대해 서비스 제공 시 초래되는 결과에 대한 가치
· 바람직한 결과 성취를 위해 가져야 하는 가치
· 사회는 개인적 성장과 발달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의무를 가지는 것
예) 인간의 기본 욕구 충족, 부적절한 교육이나 주택문제 등의 사회문제 제거, 평등한 기회부여와 차별 금지 등
③ 수단우선가치
·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과 수단, 도구에 대한 가치
· 존중과 존엄성을 가지고 사람을 대하는 것, 자기결정의 권리를 가지는 것, 독특한 개인으로 인정
예) 자기결정권 존중, 비심판적 태도, 비밀보장 등
학습정리
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가치와 윤리의 개념
· 가치
- 인간의 선호 또는 선택하는 것에 대한 기준
- 무엇이 좋고(good) 바람직한지(desirable)에 관심
· 윤리
- 가치를 바탕으로 행동이 표출되었을 때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일반윤 리와 전문가 윤리로 분류
- 무엇이 옳고(right) 그른가(incorrect)에 관심
2) 사회복지실천과 가치 분류
· 상대적 중요성에 따른 분류 : 궁극적 가치, 수단적 가치, 차등적 가치
·차원에 따른 분류 : 개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기관의 가치, 전문직 가치
· 레비의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 : 사람 우선 가치, 결과 우선 가치, 수단 우선 가치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실천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1사회복지 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과의 윤리적 딜레마와 윤리적 의사결정 (0) | 2022.07.08 |
---|---|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2) (0) | 2022.07.08 |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0) | 2022.07.08 |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2) (0) | 2022.07.08 |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1)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