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2)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화
· 전문적 교육 - 전문교육 체계의 등장 - 대학교육 체계 - 전문가협회 설립 - 기초이론 구축 |
(3) 전문적 교육
① 전문교육 체계의 등장
▶ 자선조직협회의 자원봉사자들의 전문교육 필요성에서 출발 : 기준 및 지침서의 필 요성이 교육의 필요성으로 연결
· 1987년 자선 및 교정학회 : Mary Richmond가 전문교육의 필요성 역설
· 1898년 뉴욕자선조직협회 : 6주간의 훈련프로그램 시행
- 1917년 뉴욕사회사업학교로 개칭
- 1963년 콜럼비아대학교 사회사업대학으로 발전
② 대학교육체계
·1907년 시카고 대학에서 사회복지교육 프로그램 개설
· 1919년 미국에 17개의 사회복지대학 생겨남
· 실천에 바탕을 둔 현장중심적 교육 : 의료사회사업, 정신의료사회사업, 아동복지 분야
· Richmond의 “Social Diagnosis(1917)”가 교재로 활용됨
[ 사회진단(Social Diagnosis, 1917) ] · 사회복지실천 내용 및 활동과정을 종합하여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이론과 방법 체계화 - 빈민이 처한 상황을 체계적으로 기술 - 사례연구, 진단, 문제상황 예측단계, 개입계획 단계, 실행단계 등 - 사회복지실천에 대한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정리한 최초의 서적 |
③ 전문가협회 설립
▶ 사회복지사들 간 유기적인 협조와 의사소통을 위해 조직화의 필요성 대두로 전문 적인 협회 설립
· 1918년 : 미국병원사회사업협회
· 1921년 : 미국사회복지사협회
· 1924년 : 미국정신의학사회복지사협회
④ 기초이론 구축
▶ Mary Richmond
· ‘사회진단’에서 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방법을 체계화
· “What is Social Case Work?”(Richmond, 1922) : ‘person-in-environment’ 개념 출현
· 케이스워크에 대한 정의 : 개인과 개인, 인간과 환경 간의 적절한 조화와 조절을 통해서 인격발달을 이루어가는 과정
▶ 정신의학 중심의 개별사회복지 실천 강조
· 정신의학 중심의 개별사회복지 실천으로 전문직화 촉진함
· 개인의 부적응 문제와 치료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실천의 초점이 개인의 행동, 태도, 대인관계 등에 집중됨
3) 사회복지실천 전문직 분화기
· 사회복지 3대 방법론으로 분화 · 진단주의 대 기능주의 학파 대립 |
(1) 3대 방법론으로 분화
(2) 진단주의 학파 대 기능주의 학파의 대립
① 진단주의 학파
· 1920년대 초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중심
· 개인의 과거 경험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접근
· 인간을 이해하는 관점 : 질병의 심리학
· 민간중심의 기관에서 가정방문 또는 환경조정 등의 서비스 제공
· 홀리스의 심리사회모델로 발전함
· 학자 : 홀리스, 고든 해밀튼, 메리 리치몬드 등
② 기능주의 학파
· 오토 랭크 중심의 이론중심
· 진단주의 학파를 비판하면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개인의 문제가 사회환경에 있음을 인식하면서 등장
· 과거에 얽매이지 않은 개인의 성장 가능성과 의지(will)에 초점을 두고 인간을 창의적, 의지적 존재, 낙관적인 시선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 주장함
· 인간을 이해하는 관점 : 성장의 심리학
· 전문가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중시 : ‘치료’라는 용어대신 ‘원조과정’이라는 표현 을 사용
· 기관의 기능과 서비스 체계 중시 :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 조직이나 기관 중심으로 정부 차원의 빈민 구제 프로그램 제공
· 문제해결모델과 클라이언트 중심모델에 영향을 미침
· 학자 : 오토 랭크, 로빈슨, 태프트, 스멀리 등
4) 사회복지실천 방법 통합기
(1) 사회복지실천의 통합화 노력
· 등장 배경 : 기존의 전통적인 3대 실천방법론의 한계와 문제점 대두
· 통합화 노력 : 1929년 밀포드회의에서 시작하여 1950년대 이후 통합적 방법에 관한 이론 구축을 위한 노력 전개됨
(2) 통합적 방법론 등장
· 1950년내 후반부터 1970년대 전후 통합적 방법론 등장함
·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방법에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공통적인 역할과 요소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등장
· 사회복지사가 개인, 집단, 지역사회에서 제기되는 사회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된 하나의 원리나 개념을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의 통합화
→ 공통된 지식, 가치, 기술에 기반함을 의미
▶ 통합적 방법론 활용 모델
· 펄만의 문제해결모델(1957), 핀커스와 미나한의 4체계 모델(1973), 콤튼과 갤러웨이의 6체계 모델(1994), 골드스타인의 단일화모델(1973), 생활모델(1980) 등
(3) 현장 접근방법의 발달
· 클라이언트를 찾아가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웃리치’ 서비스 시도
(4) 기타 변화
· 2차 세계대전 이후 귀향 군인들 대상의 정신의학적 집단사회사업이 증가
· 개별사회사업가가 가족에 대한 개입을 집단형태로 개입하면서 개별사회복지실천과 집단사회복지실천이 하나로 통합되기 시작
5)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화, 확장기
· 다양한 실천모델의 활용, 절충주의, 사례관리의 등장 · 관리의료의 등장 ·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회복지실천의 강조 |
▶ 새로운 모델과 관점 : 과제중심모델, 강점관점, 역량강화이론 등
· 전통적 방법론으로부터 생태체계론적 관점에 입각한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됨
· 빈곤뿐 아니라 비행, 장애, 보건, 정신건강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루게 됨
· 병리보다 개인의 강점에 초점을 맞추어 클라이언트의 상황에 맞는 역할 및 개입 전략의 다양성을 중시함
학습정리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화기
· 전문성 논란에 따라 전문적 교육, 전문가협회 설립, 기초이론 구축 등의 노력 시도, 정신분석 이론의 영향
2) 사회복지실천 전문직 분화기
· 3대 실천방법론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대립
3) 사회복지실천 방법 통합기
· 사회복지사가 개인, 집단, 지역사회에서 제기되는 사회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된 하나의 원리나 개념을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의 통합화
4)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화, 확장기
· 다양한 실천모델의 활용, 절충주의, 사례관리의 등장
· 관리의료 등장
·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회복지실천의 강조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실천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1사회복지 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1) (0) | 2022.07.08 |
---|---|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0) | 2022.07.08 |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1)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의 유형과 전문적 기반 (0) | 2022.07.08 |
사회복지실천의 이념과 철학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