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사업
1) 사업개요
▪ 사업 목적
∙ 입국초기 결혼이민자의 초기 정착 단계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 문제해결6)을 위한 통번역서비스 지원을 통해 한국사회 조기 적응에 기여
-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에게 가족・사회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통역・번역 서비스 제공
∙ 통・번역 인력채용 등 사회적 일자리 확대로 결혼이민자의 자립능력 및 주체적 역량 강화 - 결혼이민자의 언어능력을 통한 전문 직업군으로의 사회진출로 자긍심 고취
- 안정적인 경제활동 지원을 통한 사회 통합 기여
▪ 사업 대상
∙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족을 직・간접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
▪ 사업 기간
∙ 2020년 1월 ~ 12월(12개월)
▪ 이용 방법
∙ 내방, 전화, 이메일, 팩스, 출장(외부) 등
▪ 서비스 유형
∙ 통역, 번역, 정보제공 등
▪ 서비스 내용
∙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의 가족・사회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통・번역 서비스 제공
- 가족생활 및 국가 간 문화차이 등 입국 초기 상담 통번역
- 결혼이민자 정착 지원, 국적・체류 관련 정보 제공 및 사업 안내 통번역
- 임신・출산・양육 등 생활 정보 안내 및 상담 내용 통번역
- 학령기 자녀 생활 지원
- 교육과정 통번역 지원
- 가족 간 의사소통 통역
- 행정・사법 기관 이용 시 통번역
- 병원, 보건소, 결찰서, 학교 등 공공기관 이용 시 통번역
- 위기 상활 시 긴급지원 통번역
- 기타 다문화가족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에서 의뢰하는 통번역 업무 등
▪ 서비스 언어
∙ 결혼이민자 주요 출신국 언어
- 베트남어, 중국어, 필리핀어(영어, 타갈로그어), 몽골어, 태국어, 러시아어, 인도네시아어, 캄보 디아어, 일본어, 네팔어 등 센터별 1~4개 언어
▪ 통번역 전담인력 배정 현황
2) 사업운영 현황
가. 통번역서비스 사업 운영 현황
▪ 2020년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사업(이하 통번역서비스 사업)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209개소 에서 284명의 통번역 전담인력이 활동함
'복지정보 > 한부모,다문화가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목적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0) | 2022.07.02 |
---|---|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업(2020년) (0) | 2022.07.02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2020년) (0) | 2022.07.02 |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2020년) (0) | 2022.07.02 |
건강가정사란?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