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3-1사회복지 정책론

복지국가의 개념 및 기원

728x90

1.  복지국가의  개념  및  기원

 

 

1)  복지국가의  개념

-  복지국가: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복지  향상을  도모하는  국가
-  학자별  복지국가의  개념

 

구분 복지국가의  개념
윌렌스키(Wilensky)   복지국가의  핵심은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최소한의  수입,  영양,  건강,주택, 교육을 보장, 복지제공은 정치적 권리에 대응하여 주어지는 것
헥셔(Heckscher)   자국 내 거주국민,  시민권 갖고 있지 않은 거주자의 삶에 대한 집합적  책임을 지는 국가
미쉬라(Mishra)   국민의  삶과  관련된  국민적  최소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의  책임을  제도화함
코르피(Korpi)   복지국가 발전 정도는 정치적 민주주의와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사회보장을  전제,  상대적  빈곤이  어느  정도  감소되는가,  결과의  평등이  어느정도 실현 되는지에 의해 결정
에스핑-엔더슨
(Esping-Andersen)
  자유주의적,  조합주의적,  사회민주주의적  복지국가가  존재,  복지국가의  발전 정도는 계층화, 탈상품화로 파악
브릭스(Briggs)   시장에서의 가치,  지위,  계급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에게 최소한의 수입보장,  사회적  위험들로부터 국민의  삶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회적 서비스를 가능한 최고수준으로 제공하는 국가

 

2)  복지국가의  기원과  전개과정

가.  복지국가  탄생  이전의  복지제공

-  잔여적  복지제공:  구빈법과  더불어  체계화

①  엘리자베스  빈민법(구빈법)(The  POOr  Law,  1601)

 

-  빈민을  노동능력자,  노동무능력자로  분류하여  노동이  가능한  사람에게는  강제로  작업을  시키고,  노동이  불가능한  사람에게는  구빈원에서  보호(최저한의  구제제공)함.


-  특징  :  국가가  최초로  빈민의  문제에  개입하여  정부의  차원에서  이를  해결하려고  시도함.


-  구빈의  책임소재를  교회에서  지방정부로  이전(지방세에  의해  지방관리가  빈민을  감독)


-  빈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빈민을  그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대책을  마련

 


②  정주법(SettLement  Act,  1662)

-  각  교구는  자기  교구  내에서  출생한  법적  거주권의  소지자에  한해서  책임을지려  하였지만  빈민들은  교구이동으로  구빈비용이  증가함.  빈민의  자유로운  이동을  금지하기  위해  제정된  법,  빈민의  주거선택과  이전의  자유를  침해한것으로  비판받음

 


③  길버트법(1782)

-  노동이  불가능한  빈민을  위해  작업장을  따로  설치하고,  일자리가  없는  노동능력자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였으며  임금이  생계비에  미달하면  미달금액을  가구원   수에  따라  보조금형식으로  지급함.


-  특징  :  빈민을  근원적으로  구제하기  위해  빈민의  고용을  촉진함
시설에  수용되지  않은  빈민에게도  임금원조와  고용알선의  적용,  즉‘원외구제’를  인정함
빈민법보다는  진보적이고  인도적인  방법으로  평가받음

 


④  스핀햄랜드법(1795)

-  길버트법의  확장으로서,  최저생활비의  수준을  정하여  이  수준에  못  미치는  경우  가족  수에  따라  임금을  보충하여  수당을  지급하는  임금보조제도  도입.


-  특징  :  길버트법의  주된  관심이  빈민이라면,  스핀햄랜드법은  저임금노동자를  그  관심대상으로  함


-  국가가  빈민들에게  재정적  혜택을  주기  위해 개인단위의  근시적인  시각에서  가족단위로  그 대상의  범위를  확대함


-  경제적  요인을  국가시책의  변수로  고려하여  노동자의  가족  수와  물가수준의  상관관계  속에서  최저생계선의  수준을  설정함


-  산업혁명이후의  최저임금보장제도와  실업보장제도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음

 


⑤  개정  구민법(신구빈법;  1834)

-  빈곤의  원인이  개인의  성격결함에  있다고  생각하는  자유주의자들의  영향과  개인주의적  사고방식이  비용을  절감하려는  국가의  정책과  맞물려  빈민법의  개정으로  이어짐


-  특징  :  빈민을  ‘구제가치가  있는  빈민’과  ‘구제가치가  없는  빈민’으로  구분하여,  구제가치가  없는  빈민은  빈민법의  구제대상에서  제외시킴


-  작업장  수용의  원칙


-  '열등처우의  원칙(Principle  of  Less  Eligibility)':  자력으로  돈벌이를  하는  노동자의  최저임금보다  낮은  수준으로  구제하는  것을  의미


-  작업장  조사  또는  작업장  심사원칙


-  균일  처우의  원칙

 

 


나.  제도적  복지국가의  생성과  발전:  복지국가의  팽창기(1945~  1970년대  중반)

-  복지국가의  발전은  복지혜택의  종류  또는  포괄성,  복지헤택의  적용범위,  복지혜택의  적절성,  복지혜택의  결과에  따른  재분배  효과라는  4가지  요인을  기준으로살펴봄

-  제도적·재정적·  수혜자  범위  측면에서  정착된  복지국가와  뉴딜이나  사회계약,역사적  타협을  통해  ‘국가-자본-노동’간의  화해적  정치구조가  지속되어  복지국가의  황금기로  불리는  팽창의  시기임

-  복지국가  정착기  동안  구축된  다양한  복지제도들이  나라마다  빠르게  확산하여  발달하였고  제반  복지제도를  갖추었으며,  개인적  사회서비스와  공공부조는  더욱  확충됨.  복지는  시민의  권리(citizenship)로  인정받게  되었고,  사회문제의  해결을  넘어서  다양한  욕구  충족시키기  위한  제도로  만들어감

-  복지제도의  포괄성,  복지수혜자의  보편성,  복지혜택의  절정기로  볼  수  있다.
완전고용의  증대와  높은  수준의  사회복지서비스  실시,  소득재분배를  특징으로하는  복지국가와  혼합경제의  확산은  자본주의  체제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20세기의  중요한  사건임

-  독일,  영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은  사회보험의  혜택을  노동자  집단에서  화이트칼라와  자영업자  집단까지  확대하고,  소득보장은  물론  보건의료,  주택,  교육등   여러  가지  부문의  서비스를  국가가  보편적으로  보장함

-  서구유럽에서  복지국가의  황금기를  이룬  정치·경제적인  바탕은  사회민주주의체계  임.  2차  세계대전이후  유럽에서  널리  퍼졌으며,  19세기  말  이래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을  비판하고  수정한  결과  등장함.  노동자  계급의  현실타협과  의회진출이라는  큰  줄기를  가진  사회민주주의는  서구  노동자들에게  복지와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고  자본주의를  안정화시키는데  공헌하였으나,  1970년대  초  자본주의  경제의  위기로  인한  복지국가의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를  태동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함

 

 


다.  복지국가의  정체  및  재편:  1970년대  중반 ~  현대


(1)  신자유주의의  등장

-  오일쇼크 →  물가·실업률의  상승 →  영국(대처의  보수당),  미국(레이건의  공화당):복지축소, 신보수주의  등장 →  변화  :  수급요건의  강화,  급여수준  하향조정,  급여기간의  단축,  공공부조를  받기  위한  각종  조건  부과

-  1973년  오일쇼크는  2차  세계대전이후  30년간  지속되어온  복지국가의  안정체제를  뒤흔드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음.  경제성장률은  떨어지고,  물가상승,  실업률  상승으로  인한  국가-자본-노동  간의  화해적  정치구조는  치명적인  균열을  가져옴

-  신자유주의는  복지국가는  개인의  자유  침해,  지나치게  비용소모적,  국가독점체제  유지,  시장의  순기능을  해체며, 개인과  가족의 책임약화, 근로윤리  손상, 지역  공동체의  책임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적으로도  악으로  봄

-  기업가를  우선하는  공급  측면의  경제정책인  낙리정책임

-  그러나,  세계경제의  구조적  불황의  원인을  노동자와  국민에게  전가,  사회구성원들의  경쟁과  업적중심의  사회체제하에  종속시키는  결과  초래

 


(2)  제3의  길로의  재편

-  제3의  길은  사회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를  초월하는  사고와  정책형성의  틀임


-  제3의  길을  추구하는  복지국가  형태 :  영국  블레어리즘(블레어노믹스)  독일  슈레더  수상의  ‘새로운  중도’도  제3의  길로  평가됨

 

 

 


학습정리
1. 복지국가의 개념 및 기원
1)  복지국가의  개념
-  복지국가: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복지  향상을  도모하는  국가
2)  복지국가의  기원과  전개과정
-  윌렌스키와 르보(WiLensky & Lebeaux): 잔여적 복지제도, 제도적 복지제도로 구분
- 복지국가 탄생 이전의 복지: 구빈법, 정주법, 길버트법, 스핀햄랜드법, 신구빈법
- 제도적 복지국가의 생성과 발전: 복지국가의 팽창기
- 복지국가의 정체 및 재편: 신자유주의의 등장, 제3의 길로의 재편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정책론 강의정리 : 최유미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