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학습이론의 특징
- 행동주의 제 요소 + 인지요인 포함 : 인간의 능동성 강조
1) 다른 사람을 보며 스스로 학습 가능 : 관찰학습(인지요소)
2) 더 나은 행동 할 수 있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
- 자기효능감 & 자기효율성 토대로 스스로 길들여지는 존재 (자기조정 & 강화)
1. 사회학습이론 (society learning theory)
1) 반두라의 생애 (A, Bandura) 1925~ 2021
- 캐나다 출생, 밀 농부의 아들, 교사 2명과 20여명의 고교생이 있는 학교에서 수업
- 벤쿠버 브리티쉬컬럼비아 대학교 졸업
미국 아이오아 대학교에서 석사, 박사 학위 취득(1952년)
- 스텐퍼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재직
- 인간행동 이해 : 사회인지적 접근 개발에 헌신 : 행동수정의 개척자
- 인간행동 : 사회적 요소(환경) + 인지적 요소
- 1972년 미국 심리학회 우수과학자상 수상
2) 인간관과 주요개념
가. 인간관
(1) 능동적 인간관
- 무의식적 정서의 영향 받으나... 극복할 ‘인지적 능력’ 중시 (스키너와 차이)
- 환경적 영향 받으나 스스로 사회적 환경 조정 ‘자기 통제’ 가능
(2) 사회적 요소 중시
- 대부분의 학습 : 타인 행동의 관찰 & 모방한 결과
(3) 상호결정론
- 인간의 성격 : 개인적 & 행동적 & 환경 요인 상호작용하여 발달
나. 주요개념
(1) 모델링(Modeling, 모방)
- 타인 행동 관찰한 후 그 행동 학습하여 따라 하는 것
: 실질적 행동 반드시 수행하지 않아도 & 즉각적 보상 or 처벌 없어도 행동 가능
- 모델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 모델과 관찰자의 유사성 / 모델의 지위, 신분 or 전문성 / 모델의 수
(2) 관찰학습
-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 학습... 환경 자극(보상 & 처벌) Ⅹ
- Bobo doll experiment(보보인형실험)
- 관찰학습의 4단계
① 주의집중과정 | - 무엇을 관찰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 관심 갖고 모델 행동 정확한 지각을 위해 노력 |
② 보존과정 | - 모방한 행동을 상징적 형태로 기억 속에 보관 - 파지 or 기억과정이라 함 |
③ 운동재생과정 | - 보존된 심상을 외형적 행동으로 전환 - 신체적 능력 전제 |
④ 동기과정 | - 학습한 행동 수행 여부 결정(인지요인) |
(3) 인지
- 학습된 반응 수행 의지 : 인지 통제 아래 : 사회적 학습은 인지적 대리학습
- 인지 : 자신 행동 통제 & 결과 예측 → 불필요한 실수 감소 가능
(4) 자기조정 & 자기강화
- 자기 자신의 행동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
- 외부 (보상 & 처벌) 보다 스스로 정한 내적 기준 에 따라 행동 규제
→ 내적 기준 이상 행동 시 : 스스로 보상 예) 자부심
내적 기준 이하 행동 시 : 스스로 처벌 예) 수치심 & 평가절하
(5) 자기효율성(self-efficacy ; 자기효능감)
- 자신이 바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어떤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 : 스스로에 대한 믿음
- 인간의 사고, 동기, 행위에 주요 역할
- 행동주의 : 인간 행동 → 보상 & 처벌(외적 영향)
- 사회학습이론 : 인간 행동 → 외적 영향 + 자기강화 통해 형성 why??? : 인간… 자기 통제(감정, 사고, 행동) 능력 有
(6) 상호결정론
- 인간 성격 : 개인적 & 행동적 & 환경적 요인 상호작용하며 발달
※ 환경 조절(조성) 통해 → 인간 행동 변화 및 수정 가능
(7) 학습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비교
· 공통점
- 인간행동의 원인 : 환경의 자극
- 초점 : 관찰 가능한 행동 : 과학적 연구 통해 인간의 본성 설명 가능하다 봄
- 가변적 : 인간 행동은 변화할 수 있음
· 차이점
구분 | 스키너 | 반두라 |
기본입장 | • 기계론적 결정론 | • 상호결정론 (개인적 + 행동적 + 환경적) |
강조점 | • 객관적 자극 - 반응 관계만 강조 • 직접적인 강화 & 처벌 통한 행동학습만 강조 |
• 인지 와 같은 주관적 요소 강조 • 직접적 강화 & 처벌 통한 행동학습 + 관찰학습 & 자기강화 통한 행동학습 강조 |
인간의 자기통제력 | • 행동에 대한 통제력無 | • 자기효율성을 성취하는 방향으로 행동 통제력有 |
인간관점 | • 인간 내면세계 무관심 • 인간본성 논의 자체 거부 (합리적 & 비합리적 논의 거부) |
• 인지능력 활용하여 합리적 행동할 수 있는 합리적 존재 |
행동의 학습 | • 외적 강화 & 보상 없이는 행동 학습 or 수정 불가능 | • 외적 강화 & 보상 없이도 행동 학습 가능 |
(1) 인간관 : 능동적 인간관 / 사회적 요소 중시 / 상호결정론
(2) 성격 : 보상 & 처벌 + 관찰학습 + 자기효능감 + 자기강화
(3) 모델링 / 관찰학습 / 인지 / 자기 조정 & 강화 / 자기 효율성 / 상호결정론
(4) 행동주의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비교
다. 사회학습이론의 평가
(1) 공헌점
- 외부 사회적 환경 & 관찰학습의 중요성 인식
- 관찰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소
(자기조정 & 자기강화 & 자기효능감) 중요성 강조
- 인간행동 : 자극 - 반응 관점 넘어 '복합적(개인적 & 행동적 & 환경적) 상호작용 결과’ 중요성 강조
(2) 제한점
- 외부환경의 중요성 강조 but 내적, 자발적 과소평가
- 관찰학습 쉽게 학습할 수 있으나, 다양 & 복잡한 행동 or 의사결정 & 판단시 설명 한계
- 연령별 학습과 관련된 인지수준 고려 X
(3) 사회복지실천에의 영향
- ct의 행동 : 환경적 요인과의 관련성 파악 도움
- 새로운 행동 학습 방법 제시 : 관찰학습
- 문제행동 시 수정 & 제거 기법 제시 (관찰 & 모방 활용)
학습정리
· 사회학습이론(A, Bandura)
1) 반두라의 생애
2) 인간관과 주요개념
(1) 모델링
(2) 관찰학습
(3) 인지
(4) 자기조정 & 자기강화
(5) 자기효율성(자기효능감)
(6) 상호결정론
(7) 학습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비교
3) 학습이론의 평가
(1) 공헌점
(2) 제한점
(3) 사회복지실천에의 영향
부산디지털대학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1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본주의이론 - 현상학적이론 (3) | 2022.09.02 |
---|---|
인본주의이론 - 욕구위계이론 (0) | 2022.09.02 |
행동주의이론 - 학습이론 (1) | 2022.09.02 |
인지이론 (0) | 2022.09.01 |
정신역동이론 - 분석심리이론 (2) | 2022.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