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주요이론
- 절대 유일의 심리학은 없다
- 인간의 복잡성 & 다양성 & 역동성
- 완전한 인간 이해 불가능
- 학자의 환경 & 성격 & 관심의 방향 & 문화에 따라 상이
- 심리학 : 인간의 성격구조, 심리작용에 초점
- 성격이론 : 심리학 +신경증, 정신증 pt, 증상형성, 치료 포함
<주요 성격이론>
1) 정신역동이론 : 프로이드, 에릭슨, 아들러, 융
2) 인지이론 : 피아제, 콜버그, 벡
3) 행동주의이론 : 파블로프 & 스키너, 반두라
4) 인본주의이론 : 매슬로우, 로저스
2. 정신분석이론 (Sigmund Freud)
- why, 인간의 행동
: ‘정신 내의 운동과 상호작용’ 에 초점 두기 때문!
- 정신이 행동을 어떻게 자극하는지~
- 개인의 사회환경과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지 강조
but, 각 이론 : 주요초점 & 병리의 출발점 차이 있으나 …
- Sigmund Freud (1856-1939)
· 오스트리아 모라비아(Moravia) 출생, 4세, 비엔나로 이사
· 1873 비엔나 대학 의학부 입학, 1881 의학박사, 신경과 의사
· 1885, 샤르코(Charcot), 브로이어(J, Breuer) : 신경증환자 ‘최면요법’ 관심. but, 비효과적 발견
1) 프로이드(Sigmund Freud)의 생애 : 1856~1939
- 자유연상(free association)기법 개발
· 1895년 ‘히스테리아 연구’ 발간, 1900년 ‘꿈의 분석’ 발간
· 1901년 정신분석학회 창립
· 독일 나찌정권 : 오스트리아 점령, 그의 모든 서적 방화, 재산 몰수
· 1938년 3월 영국 망명, 1939년 9월 23일 사망
2) 인간관과 주요개념
가. 인간관
- 수동적 인간관 : 무의식적 본능 지배
- 행동, 사고, 감정 : 무의식적 성적 본능, 공격적 본능 결정
즉, 인간의 행동 : 성장 & 자아실현 보다는 무의식적 본능에 의해 야기된 긴장 상태 해소 위해 행동
- 인간 : 자유의지, 책임감, 자발성, 자기결정, 선택 불인정
나. 정신결정론 : psychic determinism
- 우연히 일어나는 일은 없다.
- 우연히 일어난 것처럼 보이는 사건이더라도 ….
예) 분실 & 신호
- ct 현재의 문제 : 지나온 과거의 발달과정에서 경험에 의해 결정
- 성격구조 : 아동기(5~6세) 이전에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에 따라 결정. 성인 이후 변하지 않고 지속
다. 지형학적 모형 : topographical model
- 의식
· consciousness
· 현재의 모든 경험, 감각
· 정신생활의 극히 일부분
- 전의식
· pre-consciousness
· 현재 의식되지 않지만 주의 집중하면 의식
· 무의식, 의식의 연결 교량
- 무의식
· unconsciousness
· 현재 의식되지 않으나, 인간행동 결정하는 주된 원인
· 사고, 감정, 본능, 욕구, 동기, 갈등 저장 예) 실수, 최면
라. 구조적 모형 : Structural Model
- 원초아(id) / 본능
- 본능적 충동(욕구충족), 출생 시부터, 외부세계 단절, 현실 무관
- 전체적 성격발달 근원, 정신에너지 저장소
① 일차적 사고과정(primary thought process)
- 신체적 긴장 감소 대상 즉시 못 구할 경우, 이미지 만들어 긴장 해소
예) 목마를 때 물 마시는 상상, 현실에서 이루지 못할 때 꿈에서...
② 쾌락원칙(pleasure principle)
- 고통 최소화, 만족 극대화 위해 즉각적으로 만족 얻으려는 것
- 자아(ego) / 현실거래
- 원초아, 충동 지연, 현실 고려 / 학습 / 생후 1년경 발달
① 이차적 사고(secondary thought process)
- 현실적 계획 시까지 만족 지연하는 사고과정
배고플 때 음식의 이미지 떠올리는 것(1차적 사고)으로 즉각적, 일시적 긴장 해소 후,
자신의 경제적 사정에 맞는 식당 찾아 음식 사먹는 것(2차 과정)
② 현실원리(reality principle)
- 본능적 충동 충족 위해, 긴장 참고 사회가 수용 가능한 형태로 만족 얻음
- 초자아(superego) / 양심, 자아이상
- 양육자가 아이에게 전달하는 사회의 가치, 관습
- 3세~5세(남근기) 발달
① 양심(conscience) : 처벌
② 자아이상(ego ideal) : 보상
마. 방어기제 : Defense mechanism
- 갈등 : conflict
특히 사회적, 도덕적 미용납 시 (성적 충동, 공격욕, 미움 원한 등)
- 갈등 → 불안
자아(ego) : 불안 제거 & 마음 평정 위한 노력(무의식적) : 방어기제
- 대부분 한 가지 이상, 방어기제 동원하여 불안제거
- 결과 : 욕구충족 & 사회적응
- 어떠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느냐? → 성격특성
- 과도한 사용시… 현실왜곡
① 억압
- 불안에 대한 일차적 방어기제 & 가장 흔히 사용
- 의식에서 용납하기 힘든 생각, 욕망, 충동 들을 무의식 속으로 넣어 버리는 것
예) 죄의식, 창피, 자손심의 손상시키는 고통스러운 경험
- 성공 시 사회적, 도덕적 잘 순응 예) 하기 싫은 과제를 …
② 억제
- 의식 or 반의식적으로 잊으려고 노력하는 것 예) 실연당한 젊은이가…. 화 났을 때 ….
③ 퇴행
- 발달과정에서 심한 좌절 경험 시 현재보다 유치했던 과거수준으로 후퇴하는 것 예) 동생이 태어나자 형이 ….
④ 반동형성
- 용납할 수 없는 감정, 충동, 상황과 정반대로 행동 하게 되는 정신기제 예) 미운 아이…
⑤ 투사
- 용납할 수 없는 자기 자신 내부의 문제, 결점이 자기 외부에 있는 것으로 생각 예) 남을 탓 & 안되면 ….
⑥ 합리화
-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충동, 행동, ‘그럴듯한 설명, 이유’ 대는 것
- 빈번히 사용, 무의식적 기제, 본인 인식 못함. 체면유지, 거짓말과 차이(의식적)
신포도형 (Sour Grapes) | 어떤 목표를 달성하려고 했으나 실패한 사람 : 자신은 처음부터 그것을 원치 않았다고 변명 예) 이솝우화 : ‘저 포도는 시어서 먹지 않겠다’ |
달콤한 레몬형 (Sweet Lemon) | 자기가 현재 갖고 있는 것, 그가 원하던 것이라 스스로 믿는 것 , ‘내가 현재 가진 것이 좋은 것이다.’ 예) 대체로 종교에서 많이 사용 - 부자가 되고 싶지만 그렇게 되지 못했을 경우, → 청렴과 도덕성이 … |
⑦ 승화
- 용납되지 않는 충동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형태로 욕구 만족 하는 것..
- 가장 건강한 형태의 방어기제
예) 어릴 때 싸움을 일삼던 말썽꾸러기가 커서…
⑧ 취소
- 스스로 용납할 수 없는 또는 죄책감을 불러일으키는 생각, 사고, 감정을 무효화 하는 것
예) 어린아이가 동생을 때리고 난 뒤 … 노벨평화상
⑨ 부정
- 무의식적으로 현실 거부 & 현실과 관련된 고통을 잊으려는 것
- 현실에서의 왜곡 초래 , 부적응 원인
예) 남편과 사별했음에도…
⑩ 보상
- 자신 약점 보완하기 위해 → 긍정적 부분 강화 하는 것
예) 작은 고추가 … 못 배운 부모가 자식들의 공부에 …. 나폴레옹 콤플렉스
⑪ 격리
- 특정 대상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기억(경험)과 감정을 분리하는 것
예) 자신의 운전 중 부주의로 가족사망사고시 ….
⑫ 동일시
- 자신이 이상화하는 중요한 사람(부모, 유명인 등)과 태도, 행동을 닮는 것
- 건전한 자아성장(ego, superego)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정신기제
예) Oedipus Complex , 적대적 동일시…
⑬ 전이
- 즉, 어릴 때(과거) 중요했던 인물 대한 감정 → 현재 대상에게 동일한 감정 느끼는 것
예) 까닭 없이 누군가를 좋아하던지 싫어하는 경우
⑭ 상환
- 무의식에 있는 죄책감 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서 고생하는 것 즉, 상환행위를 통해 죄책감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기제
예) 평생 단칸 셋방살이를 하면서 돈이 조금만 생기면 몽땅 자선사업에 …
바. 심리성적발달 5단계
단계 | 연령 | |
1단계 | 구강기 | 출생 ~ 18개월 |
2단계 | 항문기 | 18개월 ~ 3세 |
3단계 | 남근기 | 3세 ~ 6세 |
4단계 | 잠재기 | 6세 ~ 12세 |
5단계 | 생식기 | 12세 이후 |
- 1단계 : 구강기(oral stage) : 출생 ~ 18개월
· 생존 위해 타인에게 전적 의존
· 리비도(Libido) : 입 집중 : 젖 먹는 것, 빨고 삼키고, 깨무는 행위 쾌감
전기 | 6개월 이전 | 빠는 행위 쾌감 | - 자신, 대상(object) 구분 不 |
후기 | 6개월 이후 | 깨무는 행위 쾌감, 공격성 발달 | - 자신, 대상(object) 구분(분리개별화) 대상 보이지 않거나 or 이유 : 욕구불만 발생 & 최초의 양가감정 |
· 구강기 고착성격
심리적 갈등 시, 구강기 쾌감 위해 퇴행
→ 음식 집착 & 물어뜯기(연필, 사물) & 음주 & 흡연 몰두
- 2단계 : 항문기(anal stage) : 18개월 ~ 3세
· 리비도 : 항문 집중 ; 배변 조절(괄약근 발달)
- 배변훈련(toilet training)
: 쾌감, 최초의 외부로부터 통제 경험
쾌락 지연방법 훈련, 양육자(사회)와 갈등
- 본능 : 외부 간섭, 통제 싫음, 저항, 분노 느끼나 분노 대신 철저한 복종(반동형성)
항문공격(폭발)적 성격 | - 일부로 더 어지럽히거나 지저분하게... |
항문보유적 성격 | - 대변 방출 않고 가지고 있음으로 양육자 애태우는 방법 : 지나치게 깨끗하고 질서정연, 인색 |
- 3단계 : 남근기(phallic stage) : 3세 ~ 6세
· 리비도 : 성기집중,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 & 동일시 (identification)
- 父 가치체계 내면화, 역할 습득 과정 통해 초자아의 분화 시작
·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 남근선망(penis envy) : 비판
- 4단계 : 잠복기(latency period) : 6세 ~ 12세(사춘기 이전)
· 리비도 : 성적 에너지 무의식으로 잠복
· 에너지, 신체 발육과 성장, 학습, 동성친구와의 우정, 취미 집중
· 동일시 대상 : 동성친구, 사회화 기술 발달 / 자아 & 초자아 강해짐
- 5단계 : 생식기(genital stage) : 12세(사춘기) 이후
· 리비도 : 신체 성숙, 억압되었던 성적 에너지 이성에게 표현, 충족
· 억압되었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의식화 : 부모 앞 불안, 떨어져 있어야 편안
· 과제 : 부모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독립 but, 고통. 일, 사랑
단계 | 연령 | 주요 과업 | |
1단계 | 구강기 | 출생~18개월 | 분리개별화 |
2단계 | 항문기 | 8개월~3세 | 배변훈련(최초의 외부통제 경험) |
3단계 | 남근기 | 3세~6세 | 외디푸스 콤플렉스(거세불안 & 동일시) – 초자아 발달 시작 엘렉트라 콤플렉스(남근선망) |
4단계 | 잠재기 | 6세~12세 | 동성과의 경쟁 및 사회화 |
5단계 | 생식기 | 12세이후 | 정신적 & 신체적 성숙, 일 & 사랑 |
2. 정신분석이론의 평가
1) 공헌점
- 성격발달에 관한 최초의 포괄적 & 과학적 이론
- 발달이론을 형성하여 인간행동 사정(assessment)에 많은 도움
- 심리적 문제 가진 사람에 대한 인식 증가
- 인간의 심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상담기법에 지대한 공헌
2) 제한점
① 지나치게 결정론적 & 수동적 인간관
- 성적 욕망, 과거 경험, 무의식에 의해 지배
- 인간 학습 & 자유의지 부정 & 대인관계적 및 사회적 요인 무시
② 사회의 여성 편견
예) 여성 : 남근선망 有, 남성보다 초자아의 발달 부족(여권주의자들 강한 비판)
③ 과학성에 대한 비판 : 개인의 견해일 뿐,
과학적 이론 : 정신병리(신경증) 가진 성인들의 기억 & 환상 & 꿈 통해
→ 보편적 아동발달 이론 정립? 개인 견해일 뿐
④ 습득에 오랜 시간 소요
3) 사회복지실천에의 영향
· 1920년 전후의 사회복지 전문직에 기여
- 개인의 과거 경험을 중심으로 ct 개별적인 접근 강조 및 중요성 인식
- 진단주의학파(진단 & 사정 & 개입), 개별사회사업에 영향
- 행동 결정요인 무의식, 인간행동
: 심층적 & 체계적 분석 & 과학적 기반 → 개인 역기능 이해 기여
· 사회복지영역에서의 전통적인 환경의 중요성 약화
- 정신 내적 현상에 치중, 사회복지실천에서 불균형 초래
- 20세기 후반 새롭고 다양한 이론, 모델로 영향력 감소
학습정리
1.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주요이론
구분 | 주요성격이론 |
정신역동이론 | ① 정신분석이론 - 프로이드(Sigmund Freud) ② 심리사회이론 - 에릭슨(Eric, Erikson) ③ 개인심리이론 - 아들러(Alfred, Adler) ④ 분석심리이론 - 융(Carl Gustav Jung) |
인지이론 | ① 인지발달이론(도덕발달이론 포함) - 피아제(Piaget) / 콜버그(Kohlberg) ② 인지치료이론 - 벡(Aaron Beck) |
행동주의이론 | ① 학습이론 : 고전적 조건화 - 파블로프(Pavlov) & 조작적 조건화 - 스키너(Skinner) ② 사회학습이론 - 반두라(Bandura) |
인본주의이론 | ① 욕구위계이론 - 매슬로우(A, Maslow) ② 현상학이론 - 로저스(C, Rogers) |
2. 정신분석이론 (G, Freud )
1) 프로이드의 생애
2) 인간관과 주요개념
(1) 인간관 : 수동적 & 무의식적 본능의 지배
(2) 정신결정론 : 세상에 우연히 일어나는 일은 없다.
(3) 지형학적 모형 : ① 의식 ② 전의식 ③ 무의식
(4) 구조적 모형 : ① 원초아(id) ② 자아(ego) ③ 초자아(superego)
(5) 방어기제
① 억압 ② 억제 ③ 퇴행 ④ 반동형성 ⑤ 투사
⑥ 합리화 ⑦ 승화 ⑧ 취소 ⑨ 부정 ⑩ 보상
⑪ 격리 ⑫ 동일시 ⑬ 전이 ⑭ 상환
(6) 심리성적발달 5단계
3. 정신분석이론의 평가
1) 공헌점 2) 제한점 3) 사회복지실천에의 영향
부산디지털대학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1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역동이론 - 분석심리이론 (2) | 2022.09.01 |
---|---|
정신역동이론 - 개인심리이론 (1) | 2022.09.01 |
정신역동이론 - 심리사회이론 (1) | 2022.09.01 |
인간발달의 원리 (0) | 2022.09.01 |
인간행동의 이해 (0) | 2022.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