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록의 정리와 자료의 조직화
1) 기록 정리
가. 현장 기록의 의의
- 현장 관찰과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과업 중 하나
- 분석을 위한 중요한 자료
- 면접이나 관찰을 끝내고 곧바로 현장기록을 작성함
나. 무엇을 기록할 것인가?
- 물리적 공간, 행위자, 행위, 상호작용, 관계, 느낌이나 감정 표현 등
※ 기록을 할 때는 가급적 많은 것을 기록한다.
다. 현장의 기록과 기록 관리를 위한 기본 규칙(Bernard,1994)
- 길게 작성하지 말고 가능한 짧은 기록을 수집할 것
- 각 장소에서 기록한 내용들을 서로 분리하여 보관할 것
- 언제라도 기록할 준비를 하며, 기억에 의존하지 말 것
- 현장 메모를 할 때는 사람들이 불편해할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기록하는 것에 대해 미리 양해를 구할 것
- 가능하면 그 날 현장 기록은 정리할 시간을 마련하여 그 날 정리할 것
라. 현장기록의 내용별 분류
- 현장 메모 : 현장에서 즉시 그냥 받아 기록한 정리되지 않은 메모
- 현장 노트 : 현장 메모를 정리한 것
- 현장 일지 : 현장에서 특정한 날짜에 경험한 것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기록한것
- 현장 일기 : 현장에서 경험한 기록을 일자별로 정리한 것
- 현장 일정기록 : 현장에서 시간대별 계획이나 실제 진행한 일에 대한 기록
2) 자료의 조직화
가. 개념 및 목적
- 필요한 자료를 가장 효율적으로 끄집어내고 분석할 수 있도록 자료를 관리하고 조직화 하는 것
- 관찰이나 면접에서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설득력 있는 설명이나 주장을 어떻게 구성하고 제시할 것인가에 대한 것임
나. 방법
- 현장기록이 이루어진 뒤에는 주요한 기록사항이나 초안 형태의 기록을 다시 정리할 것
- 복사본을 만들어 둘 것
- 매번 기록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날짜와 시간, 장소를 반드시 기록할 것
- 유형별로 구분하여 자료를 관리할 것
다. 자료 폴더의 유형
- 기본자료 폴더 : 조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기록, 대부분의 기록이 이 폴더에 포함
- 방법론 폴더 : 자료 수집방법에 대한 기록 : 면접, 녹음, 관찰 등의 모음집
- 신상 관련 폴더 : 인테이크, 방문 등 조사 대상자에 대한 개인적 신상 항목에 대한 정보 모음집
- 문헌 폴더 : 조사하고 있는 문헌, 이론 등에 대한 정보 모음집
- 분석방법 폴더 :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어떻게 하였는가 등의 분석에 관련된 정보 모음집
2. 코딩
1) 코딩
가. 개념
- 현장 기록을 정리할 때 기록을 분류할 수 있는 코드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것
나. 방법
- 각 페이지의 머리 부분이나 가장자리에 숫자나 부호로 기록
- 코드북을 만들어 두는 것이 필요함
다. 예
불법 이민자들이 이 나라에 설 땅은 없소이다. 불법 이민자들을 전부 모아 범죄자들의 국가로 보내야 하오. |
설 땅은 없다 |
불법 이민자들이 이 나라에 설 땅은 없소이다. 불법 이민자들을 전부 모아 범죄자들의 국가로 보내야 하오. |
이민문제 |
불법 이민자들이 이 나라에 설 땅은 없소이다. 불법 이민자들을 전부 모아 범죄자들의 국가로 보내야 하오. |
외국인을 싫어함 |
3. 데이터에서 갭의 발견
1) 데이터에서 갭의 발견
- 기록된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발견하고 이를 보완해야 함
학습정리
1. 기록 정리와 자료의 조직화
- 기록정리 : 현장 기록의 의의, 기록해야 하는 것, 기록관리를 위한 기본 규칙, 현장기록의 내용별 분류
- 자료의 조직화
2. 코딩
- 개념
- 방법
3. 데이터에서 갭의 발견
- 기록된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발견하고 보완해야 함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사보고서 작성 (0) | 2022.06.21 |
---|---|
질적 자료의 분석 (0) | 2022.06.21 |
질적 자료의 수집 (0) | 2022.06.21 |
추론통계와 가설검증 (0) | 2022.06.21 |
기술통계와 분석, 가설 검증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