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대상자 선정 및 접근
1) 연구대상자 선정 및 접근
가. 질적 연구에서 연구대상자 확보 방법
- 눈덩이 표집
- 모집광고를 내는 방법
- 전문가집단이나 전문기관에 소개를 부탁하는 방법
예1)
출처 : 김진숙, 이혁구(2012). 신빈곤층 개인의 빈곤고착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예2)
출처 : 고문정(2016). 상담자의 공감나누기 체험에 대한 질적연구.
2. 질적 자료의 수집
1) 면접
가. 개념
-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사전에 계획하고 이를 구체화한 것으로 조사자가 직접 관찰을 할 수 없는 것을 발견하기 위해 활용
- 사전에 체계적으로 준비하며 일반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을 사용함
- 연구자가 주도하며 관찰과 병행함
나. 언제 사용하면 좋은가?
- 사람들의 행동, 감정, 주변 세계에 대한 해석 방법 등을 알아보기 위한 경우
- 반복하기 불가능한 과거 사건들에 관심이 있을 경우
-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에서 모두 사용되는 자료 수집방법
다. 종류
- 구조화된 면접(structured interview)
① 조사자가 조사 대상자에게 동일한 질문을 하는 방법
② 질문의 표준화, 질문방법의 표준화, 면접의 표준화
- 반구조화된 면접(semi-structured interview) : 주요 질문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상황에 따라 질문 수정 또는 변경
- 비구조화된 면접(unstructured interview)
① 면접에 대한 간단한 주제 목록만 가지고 질문
② 가장 자유롭고 개방적인 형태의 면접
2) 관찰(observations)
가. 종류
- 구조화된 관찰(structured observation) : 관찰내용과 범주를 사전에 결정해 놓고 관찰하는 방법
- 비구조화된 관찰(unstructured observation) : 관찰 대상, 방법 등에 대해 분명히 규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찰하는 방법
※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 비구조화된 관찰의 대표적인 것으로 연구자가 관찰 대상 집단의 내부에 스며들어가 그 구성원의 하나가 되어 그들과 함께 생활하거나 활동하면서 관찰하는 것
3) 일정 기록과 일지
- 일정기록(logs) : 사건이나 행위 등의 단순한 내용을 시간대(일정)별로 정리
- 일지(journals) : 어떤 행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
- 일기(diary) : 기록물을 행위별 또는 날짜별로 정리
질적 조사의 중요한 일차자료로, 조사 자료들이 풍부하게 묘사된 현장기록의 형태 |
4) 문헌 및 기록물 검토
- 전기, 일기, 편지, 역사적 기록, 필름, 사진, 비디오테이프 등의 서류와 문서 등의 문헌 및 기록물 검토
- 개개인의 삶, 사회기관의 역사, 사회적인 경향 등에 관한 중요한 정보 제공
+ 포커스 그룹
학습정리
1. 연구대상자 선정 및 접근
- 눈덩이 표집
- 모집광고
- 전문가집단이나 전문기관에 소개 부탁
2. 질적 자료의 수집
- 면접
- 관찰
- 일정 기록과 일지
- 문헌 및 기록물 검토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적 자료의 분석 (0) | 2022.06.21 |
---|---|
기록 정리와 자료의 조직화 (0) | 2022.06.21 |
추론통계와 가설검증 (0) | 2022.06.21 |
기술통계와 분석, 가설 검증 (0) | 2022.06.21 |
통계 분석의 분류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