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과 제도(사회복지법제론) |
64.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국외에 체류하는 외국인도 수급권자가 된다.
② 기준 중위소득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고시한다.
③ 주거급여는 여성가족부소관으로 한다.
④ 보장기관은 차상위자가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는 없다.
⑤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수급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3년마다 소관별로 기초생활보장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
① 국외에 체류하는 외국인도 수급권자가 된다. →
제5조의2(외국인에 대한 특례)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중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하여 본인 또는 배우자가 임신 중이거나 대한민국 국적의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고 있거나 배우자의 대한민국 국적인 직계존속(直系尊屬)과 생계나 주거를 같이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이 이 법에 따른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가진 경우에는 수급권자가 된다. [개정 2014.12.30] [[시행일 2015.7.1]] [전문개정 2012.2.1]
② 기준 중위소득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고시한다. →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제20조제2항에 따른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말한다.
③ 주거급여는 여성가족부소관으로 한다. → 주거급여는 국토교통부 소관
④ 보장기관은 차상위자가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는 없다. → 있다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401
국민기초생활보장법
1.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개관 (1) 의의 -공공부조 수급권의 법적권리를 명확히(수급자와 수급권자) -최저생계보장에 대한 국가책임 강조 -종합적 빈곤대책 -인구학적
ocsc.tistory.com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약칭 : 기초생활보장법 법률 제18607호 일부개정 2021. 12. 21. 제1장 총칙 [개정 2012.2.1] 제1조(목적) 이 법은 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필요한 급여를 실시하여 이들의
ocsc.tistory.com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18년 16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_16_3-3-66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16 |
---|---|
2018_16_3-3-65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16 |
2018_16_3-3-63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16 |
2018_16_3-3-62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16 |
2018_16_3-3-61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