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개요
1)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의 목적
- 가족의 유형별로 이원화 되어 있는 가족지원서비스를 가족의 유형에 상관없이 한 곳에서 다양한 가족에 대한 보편적이고 포괄적 서비스 제공
• 수혜자 중심의 서비스 확대 및 접근성 제고
• 지역여건 및 정책 수요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 강화
• 모든 가족에 대한 가족의 안정성 강화 및 가족관계 증진에 기여
-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가족 및 자녀 교육・상담, 통・번역 및 정보제공, 역량강화지원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문화가족의 한국사회 조기적응 및 사회・경제적 자립지원 도모
• 다문화가족의 정착단계 및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제공
• 다문화가족 대상 통합교육 및 부모교육, 사회참여 지원 확대
•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지원 및 글로벌 인재 육성
• 결혼이민자 맞춤형 일자리 참여 확대 등 사회경제적 자립 지원
2) 통합서비스의 추진경과
- ’14년도 ~ ’15년도 : 통합서비스 시범사업(22개소)
- 연도별 통합서비스 운영기관 확대
’16년(78개소) → ’17년(101개소) → ’18년(152개소) → ’19년(183개소) → ’20년(196개소)
3)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 운영기관 설치 현황
2.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 운영기관의 주요사업
1) 통합서비스 운영기관의 사업 방향
- 지역사회 가족지원서비스 대상자 확대 및 가족문제 대응력 강화
• 가족의 안정성 강화 및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가족지원서비스 확대
- 다양한 가족의 특성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강화
- 일・가정 생활의 이중고에 지친 워킹맘과 워킹대디의 고충해소, 자녀육아 등 가정에서의 부모 역할 강화 및 역할 갈등해소 지원
- 다문화가족의 학령기 자녀에 대한 부모・자녀관계향상, 사회성 발달 및 미래설계지원 등 다문화가족 자녀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 다문화가족과 한부모(미혼모등)・조손가족 등에 대한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족들의 역량강화 및 안정적 가족생활과 사회통합지원
- 가족단위 여가 프로그램 제공 등을 통한 이용자 참여 확대 및 가족친화지역문화조성
- 다양한 가족지원, 이용자 참여 확대를 통한 가족기능 지원 강화 및 지역사회 가용자원과 연계한 토털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역사회 다양한 유관기관과 연계및 협력 지원 강화
- 문화사업영역에서 유사사업 통합(나눔봉사단 및 가족봉사단, 공동육아나눔터 상시프로그램 등)을 통한 가족융합 및 사회인식개선
• 다문화가족 및 한부모가족 등 다양한 가족유형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 및교류 활성화를 통해 가족포용성 향상 도모
- 통합서비스는 수요자의 특성 및 수요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다양하게 운영하며, 아빠의 육아참여 지원프로그램 강화 및 찾아가는 교육 활성화 등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가족관계 개선 도모
- 다문화 / 비다문화 통합 시 비언어적 프로그램의 확대 통해 다양한 참여자의진입 장벽 개선
- 다문화가족, 한부모가족, 워킹맘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가로의 유도를 통해 시민의식 고취 및 가족편견해소를 위한 가족친화문화사업 강화
-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가족, 한부모가족대상 가족기능강화를 위한 별도 집단상담 프로그램 활성화
2) 통합서비스 운영기관의 사업내용
※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 패키지 프로그램
- 목적: 결혼이민자의 자립 역량 강화 지원서비스 체계를 확립하여 결혼이민자 스스로 정착과정을 설계하고 관련 서비스 탐색, 실행계획 수립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 사업의 대상: 한국거주 3~5년 이상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교육 3단계 이상자 등 한국생활의 초기정착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결혼이민자
⁕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사회통합영역선택사업, 건가・다가 통합서비스 운영기관은 공통 필수 사업으로 추진
※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 패키지 프로그램
- 미래설계 프로그램(미래찾기)
• 향후 한국생활 예측 및 서비스 점검
• 현재 생활에 대한 점검 및 비전, 미래설계
- 관심분야별 세부계획 수립 프로그램(길찾기)
• 당당한 학부모를 향한 길찾기
• 괜찮은 일자리를 향한 길찾기
• 폭넓은 사회활동을 향한 길찾기
- 정착지원 서비스 정보체계 탐색(지역정보알기)
• 지역사회 서비스 분야 탐색
<요약>
1.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 운영기관 목적
- 가족의 유형별로 이원화 되어 있는 가족지원서비스를 가족의 유형에 상관없이 한 곳에서 다양한 가족에 대한 보편적이고 포괄적 서비스 제공
2.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 운영기관 연혁
- ’14년도 ~ ’15년도 통합서비스 시범사업(22개소)
- 연도별 통합서비스 운영기관 확대
’16년(78개소) → ’17년(101개소) → ’18년(152개소) → ’19년(183개소) → ’20년(196개소)
3.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 운영기관 주요사업
- 가족관계, 가족돌봄, 가족생활, 가족과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4개 영역의 사업수행
- 다문화가족이중언어환경 조성, 다문화가족자녀성장지원,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 패키지 사업의 3개 사업은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프로그램임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 사정 방법 (0) | 2022.06.10 |
---|---|
건강가정사 - 현장실습 (0) | 2022.06.10 |
건강가정사 (0) | 2022.06.10 |
다문화가족 특성화사업 (0) | 2022.06.10 |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