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관의 정의 및 기능
- 기 원 : 영국과 미국의 인보관 운동 (1880년대)
1) 사회복지관의 정의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추고 지역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사회복지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
① 지역을 근거(시설, 전문인력)
② 지역의 자원 활용
③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제공
④ 지역문제 예방 및 해결
2) 사회복지관의 기능
(1)딜릭(Dillick)
- 지역의 다양한 욕구 충족 위해 통합된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중복, 누락 방지 위해 서비스 간의 조정
- 지역주민이 문제해결 위해 공동 노력할 수 있도록 집단 구성
- 주민집단이 사회적 목표 수정, 신규 목표 수립 하도록 지원
2. 사회복지관의 역사
3. 사회복지관의 목표 및 운영의 기본 원칙
1) 사회복지관의 법적 근거
①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
② 사회복지사업법시행규칙 제21조 및 제22조
2) 사회복지관의 목표
- 지역주민에게 보호서비스, 재가복지서비스, 자립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훈련 등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 제공
- 각종 지역사회문제를 예방 ∙ 치료하는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전달기구 ⇒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중심적 역할을 수행
3) 운영의 기본 원칙
① 지역성의 원칙 : 지역사회 특성, 지역주민의 욕구 파악
지역사회문제 해결, 지역주민 참여 유도
② 전문성의 원칙 : 전문 프로그램, 전문 인력 재교육 등 통해 전문성 증진
③ 책임성의 원칙 : 욕구 충족의 효과성 극대화 노력
지역문제해결, 사업 효과성에 책임
④ 자율성의 원칙 : 능력과 전문성 최대한 발휘
운영의 자율성 확보
⑤ 통합성의 원칙 : 지역 내 공공 및 민간복지기관 간 연계성과 통합성 강화
대상자별, 문제영역별 연계와 통합
⑥ 자원활용의 원칙 :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 최대한 동원∙ 활용
지역의 자생력 강화 위해 노력
⑦ 중립성의 원칙 : 정치, 영리, 종교 등 중립성 유지
클라이언트 차별대우 하지 않음
⑧ 투명성의 원칙 : 운영과정의 투명성 유지
예산 수립, 사용의 투명성, 개방성
학습정리
1. 사회복지관의 정의
- 지역 근거(시설, 전문인력) / 지역 자원 활용 / 전문적 서비스 제공 / 지역문제 예방 및 해결
2. 사회복지관의 기능
- 통합된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조정 / 문제해결 집단 구성 / 주민집단 지원
3. 사회복지관 운영 기본 원칙
- 지역성 / 전문성 / 책임성 / 자율성 / 통합성 / 자원활용 / 중립성 / 투명성의 원칙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관의 사업(2) (0) | 2022.08.10 |
---|---|
사회복지관의 사업 (0) | 2022.08.10 |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원칙과 수립(2) (0) | 2022.07.08 |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원칙과 수립(1) (0) | 2022.07.08 |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과 필요성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