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관의 사업 대상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차상위계층
- 장애인, 노인, 한부모가족 및 다문화가족
- 직업 및 취업알선이 필요한 주민
- 보호와 교육이 필요한 유아∙아동 및 청소년
-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가지고 있는 지역 주민
2. 사회복지관의 주요 사업
1) 사회복지관의 주요 사업
- 기능별 3대 사업 분야
- 주요 사업
.지역사회 특성과 주민 욕구 바탕으로 사업내용 자율적 결정
.3대 사업 분야 : 사례관리 / 서비스 제공 / 지역 조직화
.사회복지관의 실정에 적합한 프로그램 선정, 수행
.사업 분야별로 각 1개 이상을 포함하여 사업 진행
2) 주요 사업의 내용
(1) 사례관리 기능
① 사례발굴 : 지역 내 보호가 필요한 대상자 및 위기개입 대상자 발굴 서비스 개입 계획 수립
② 사례개입 : 클라이언트 문제와 욕구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서비스 진행 관리
③ 서비스 연계 : 민간 및 공공의 가용자원과 서비스 정보 제공
자원 및 서비스 연계, 의뢰
2) 서비스 제공기능
(1) 가족기능강화사업
- 가족관계 증진 사업
- 가족기능 보완 사업
- 가정문제 해결∙치료 사업
- 부양가족 지원 사업
- 다문화가정, 북한이탈주민 등 지역 내 이용자 특성을 반영한 사업
(2) 지역사회보호사업
- 급식서비스
- 보건의료서비스
- 경제적 지원
- 일상생활 지원
- 정서서비스
- 일시보호서비스
- 재가복지봉사서비스
(3) 교육문화사업
- 아동∙청소년 사회교육
- 성인 기능교실
- 노인 여가∙문화
- 문화복지사업
(4) 자활지원 등 기타 사업
- 직업기능훈련
- 취업알선
- 직업능력 개발
- 그 밖의 특화사업
3) 지역조직화 기능
(1) 복지네트워크 구축
- 지역 내 기관, 시설들과 네트워크 구축
- 지역사회복지 중심 역할 수행
- 세부 사업
.지역사회 연계 사업
.지역욕구조사
.실습지도
(2) 주민조직화
- 주민조직 육성 지원
- 주민협력 강화 위한 주민의식 고취 교육 실시
- 세부 사업
.주민복지 증진 사업
.주민 조직화 사업
.주민교육
(3) 자원개발 및 관리
- 욕구 충족 및 문제해결 위한 자원 발굴
- 인적∙물적 자원 연계 및 지원
- 세부 사업
.자원봉사자 개발∙관리
.후원자 개발∙관리
학습정리
1. 사회복지관의 우선 사업 대상자
-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노인, 다문화, 한부모, 아동, 청소년 및 지역주민
2. 사회복지관 주요 사업
- 기능별 3대 사업 :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지역 조직화
- 사례관리 기능 : 사례발굴, 사례개입, 서비스 연계
- 서비스 제공 기능 : 가족기능강화사업, 지역사회보호사업, 교육∙문화사업, 자활지원 등 기타 사업
- 지역사회 조직화 기능 : 복지 네트워크 구축, 주민 조직화, 자원 개발 및 관리, 의뢰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가복지의 등장배경과 개념 (0) | 2022.08.10 |
---|---|
사회복지관의 사업(2) (0) | 2022.08.10 |
사회복지관의 정의 및 운영원칙 (0) | 2022.08.10 |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원칙과 수립(2) (0) | 2022.07.08 |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원칙과 수립(1)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