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1) 사회복지실천 관계
º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결통로
º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간의 감정과 태도 및 정서적 유대를 중시하는 개념으로 인식
º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환경에 보다 나은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매개체
º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 Biestek )
º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태도와 감정의 역동적 상호작용 클라이언트가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가짐
▶ 사회복지실천 관계 → 실천개입의 핵심이며, 주요 결정요인
º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Bisman)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믿음에 기초한 유대”
- 믿음 : 사회복지사의 능력에 대한 믿음, 클라이언트의 능력에 대한 믿음, 클라이언트의 가치(존엄성)에 대한 믿음
2)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특성(Perlman, 1979)
º 의도적인 목적성 : 서로 합의한 목적이 있음
º 시간 제한성 : 목적 달성, 클라이언트의 동기, 능력, 원조자의자원이 허용하는 한도에 도달하면 종결됨
º 클라이언트에 대한 헌신 : 클라이언트의 욕구 중심
º 권위성 : 특수한 지식과 기술, 전문직 윤리강령에서 비롯된 권위를 지니며, 이에 수반되는 책임이 있음
º 통제적 관계 :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원조방법에 대해 통제함
3)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기본 요소
▶ 원조관계(helping relationship)란?
º 도움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사람들 간의 상호적 친화와 결속 상태 및 그런 상태를 이루기 위한 과정 (siporin, 1975)
▶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기본 요소
º 이해, 권한 및 권한, 헌신과 의무, 수용과 기대, 대응, 직면, 존중과 보살핌, 구체성, 진실성과 일치성, 감정이입, 세심한 배려, 자아노출
2. 사회복지사의 관계 맺기
º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민감성 및 이해와 수용
º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가치와 윤리에 대한 이해와 수용
º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타 분야 전문가들과의 관계 맺기
◈ 원조관계 수립의 핵심 조건 :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공감, 일치성
[‘관계맺기’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자질]
학습정리
1.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º 사회복지실천 관계란?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태도와 감정의 역동적 상호작용으로, 클라이언트가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하도록 돕는 과정
º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특성
- 의도적인 목적성
- 시간제한성
- 클라이언트에 대한 헌신
- 권위성
- 통제적 관계
º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기본 요소
- 이해, 존중과 보살핌, 구체성, 진실성과 일치성, 직면, 권위 및 권한, 헌신과 의무, 수용과 기대, 감정이입, 세심한 배려, 자아노출 등
2. 사회복지사의 관계 맺기
º 관계 맺기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자질
- 자기관찰 능력, 타인에 대한 관심, 공감하기, 도우려는 열망, 용기, 민감성, 따뜻함, 인간적 자질 등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실천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1사회복지 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원칙(2) (0) | 2022.08.09 |
---|---|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원칙(1) (0) | 2022.08.09 |
통합적 접근모델(2) (0) | 2022.07.08 |
통합적 접근모델(1) (0) | 2022.07.08 |
강점관점(2)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