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1095)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2_20_2-1-5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5.접수단계의 주요 과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관계형성을 통한 클라이언트의 참여 유도 ②클라이언트의 드러난 문제 확인 ③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 측정 ④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동의 확인 ⑤클라이언트의 문제가 기관의 자원과 정책에 부합되는지 판단 ③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 측정은 평가 및 종결단계에 해당이 된다.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11 2022_20_2-1-4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4.로웬버그와 돌고프(F. Loewenberg & R. Dolgoff)의 윤리적 원칙 심사표에서 ‘도움을 요청해 온 클라이언트의 의사를 존중해 주는 것’에 해당하는 윤리적 원칙은? ①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②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③최소 손실의 원칙 ④사생활과 비밀보장의 원칙 ⑤진실성과 정보개방의 원칙 [ 윤리적 원칙 심사표(EPS: Ethical Principles Screen) ] 윤리원칙 1 생명보호의 원칙 - 인간의 생명보호가 다른 모든 것에 우선한다. 윤리원칙 2 평등과 불평등 의 원칙 - 능력이나 권력이 같은 사람이 ‘똑같이 취급받을 권리’ 가 있고, 능력이나 권력이 다른 사람은 ‘다르게 취급받을 권리’가 있다. 윤리원칙 3 자율과 자유의 원칙 - 클라이언트의 자율성과.. 2022_20_2-1-3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3.자선조직협회 우애방문자의 활동에 해당하는 사회복지실천의 이념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인도주의 ㄴ. 이타주의 ㄷ. 사회개혁 ㄹ. 사회진화론 ①ㄱ ②ㄴ, ㄷ ③ㄷ, ㄹ ④ㄱ, ㄴ, ㄹ ⑤ㄱ, ㄴ, ㄷ, ㄹ 사회개혁은 인보관 운동의 활동 방향임. ③ C.O.S의 성격 및 활동 · 사회진화론을 구빈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음 - 도덕적 실패가 빈곤과 고통의 원인이라고 가정 · 빈곤관: 게으르고 나태한 개인의 성격적 결함에서 찾는 개인주의적 빈곤관 취함 · ‘가치있는(구제받을 만한 자) 사례’와 ‘가치없는(구제받을 만한 자격이 없는) 사례’ 에 대한 차별 ♤ 윤리적 가치판단을 함 : 빈곤의 성격과 인간성에 대한 도덕적 판단 - 빈곤을 개인의 탓이자개인의 도덕적 결함의 결과로만 간주함.. 2022_20_2-1-2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2.기능주의학파(functional school)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개인의 의지 강조 ②인간의 성장가능성 중시 ③‘지금-이곳’에 초점 ④인간과 환경의 관계 분석 ⑤과거경험 중심적 접근 ▶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갈등 - 1930년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중심으로 한 ‘진단주의 학파’ 와 랭크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 ‘기능주의 학파’ 사이에 논쟁이 일어남 - 고든 해밀튼, 홀리스, 메리 리치몬드의 진단주의는 사회환경에 대한 퍼스널리티의 적응력을 강화하는 것을 실천의 과제로 삼음 - 타프트, 로빈슨, 스몰리의 기능주의는 개인의 ‘의지’의 힘을 강조, 개인의 현재의 경험과 위커가 속한 기관의 기능을 자유롭게 활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실천의 중심과제로 함 - C.. 2022_20_2-1-1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1.인보관운동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빈민을 통제하는 사회통제적 기능을 담당함 ②인보관에서 일하는 사람은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면서 활동함 ③지역사회 문제에 관한 연구와 조사를 실시함 ④빈민지역의 주택 개선, 공중보건 향상 등에 관심을 둠 ⑤사회문제에 대한 집합적이고 개혁적인 해결을 강조함 ①빈민을 통제하는 사회통제적 기능을 담당함 → 자선조직협회 3) 자선조직협회 VS 인보관운동 구분 자선조직협회 인보관운동 공통의 목적 빈민구제 빈민구제 주도인물 로취, 옥타비아힐 바네트, 토인비 주된 활동층 신흥자본가, 사회중산층 엘리트 청년 빈곤관 개인 책임 사회구조적 책임 활동방향 개인의 변화 사회의 개혁 목적 ① 중복구제방지를 위한 자선활동의조정 ② 환경조사(사례조사)와 적.. 20회_3-3_사회복지 법제론 정답 표시 있는 문제풀기 바로가기 사회복지정책과 제도(사회복지법제론) 51. 헌법 규정의 사회적 기본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가는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한다. ② 국가는 여자의 복지와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③ 국가는 모든 공무원인 근로자의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④ 국가는 평생교육을 진흥하여야 한다. ⑤ 국가는 모성의 보호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52.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법원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대통령령 ㄴ. 조례 ㄷ.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 ㄹ. 규칙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ㄴ, ㄹ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53. 법률의 제정연도가 가장 빠른 것은? ① 사회.. 20회_3-2_사회복지 행정론 정답 표시 있는 문제풀기 바로가기 사회복지정책과 제도(사회복지행정론) 26. 사회복지행정가가 가져야 할 능력이 아닌 것은? ① 배타적 사고 ② 대안모색 ③ 조직이론 이해 ④ 우선순위 결정 ⑤ 권한위임과 권한실행 27. 사회복지행정의 실행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과업 평가 ㄴ. 과업 촉진 ㄷ. 과업 조직화 ㄹ. 과업 기획 ㅁ. 환류 ① ㄱ - ㄷ - ㄹ - ㅁ - ㄴ ② ㄷ - ㄱ - ㄹ - ㄴ - ㅁ ③ ㄷ - ㄹ - ㅁ - ㄴ - ㄱ ④ ㄹ - ㄴ - ㄷ - ㄱ - ㅁ ⑤ ㄹ - ㄷ - ㄴ - ㄱ - ㅁ 28.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테일러(F. W. Taylor)가 개발한 과학적 관리론은 ( ㄱ )에게만 조직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 ㄴ )을 부여하기 때문에 ( .. 20회_3-1_사회복지 정책론 정답 표시 있는 문제풀기 바로가기 사회복지정책과 제도(사회복지정책론) 1. 조지와 윌딩(V. George & P. Wilding, 1976; 1994)의 사회복지모형에서 복지국가의 확대를 가장 지지하는 이념은? ① 신우파 ② 반집합주의 ③ 마르크스주의 ④ 페이비언 사회주의 ⑤ 녹색주의 2. 사회복지정책의 가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극적 자유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자유를 강조한다. ② 평등을 추구하는 사회복지정책은 선택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비판이 있다. ③ 형평성이 신빈민법의 열등처우원칙에 적용되었다. ④ 적절성은 일정한 수준의 신체적⋅정신적 복리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⑤ 기회의 평등의 예로 사회적으로 취약한 아동을 위한 적극적 교육 지원을 들 수 있다. 3. 국민연금의.. 이전 1 ···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