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1095)
2022_20_1-2-43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3.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할당표집(quota sampling)은 무작위 표집을 전제로 한다. ②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은 확률표집이다. ③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은 모집단의 규모를 알아야만 사용할 수 있다. ④단순무작위표집(simple random sampling)은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알 수 있다. ⑤임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은 모집단의 대표성이 높은 표본을 추출한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설문조사유형과 표본추출 ①할당표집(quota sampling)은 무작위 표집을 전제로 한다.(X) 할당표집 - 임의로 만든 할당표본 틀을 이용하여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 - 층화표집과 유사하..
2022_20_1-2-42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2.다음 사례의 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00명의 명단에서 80명의 표본을 선정하는 경우, 그 명단에서 최초의 다섯 사람 중에서 무작위로 한 사람을 뽑는다. 그 후 표집간격 만큼을 더한 번호에 해당하는 사람을 표본으로 선택한다. ①단순무작위 표집이다. ②표집틀이 있어야 한다. ③모집단의 배열에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④비확률표집법을 사용하였다. ⑤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이 부족하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설문조사유형과 표본추출 ①단순무작위 표집이다.(X) 체계적 표집이다. - 특징 : 무작위표집의 장점을 살리면서 모집단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예 : 모든 학생에게 일련번호를 주어 난수표에서 출발점을 찾아서 시작(6번, 16..
2022_20_1-2-41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1.다른 조건이 같다면, 확률표집에서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표준오차(standard error)가 커지면 표집오차도 커진다. ②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을 높이면 표집오차가 감소한다. ③표본의 수가 증가하면 표집오차가 감소한다. ④이질적인 모집단 보다 동질적인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표집오차가 작다. ⑤층화를 통해 단순무작위추출의 표집오차를 줄일 수 있다. ②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을 높이면 표집오차가 감소한다. (X) 표본의 크기는 조사의 목적, 예산 및 인적자원,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와 관련 있음. - 오차의 폭 : 조사 결과의 정확도 - 신뢰수준 : 설문조사가 반복되었을 때 얼마나 자주 똑같거나 비슷..
2022_20_1-2-40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0.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재검사법, 반분법은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ㄴ.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충분조건이다. ㄷ. 측정할 때마다 실제보다 5g 더 높게 측정되는 저울은 신뢰도가 있다. ①ㄱ ②ㄴ ③ㄱ, ㄴ ④ㄱ, ㄷ ⑤ㄱ, ㄴ, ㄷ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타당도와 척도 ㄴ.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충분조건이다. (X) - 필요조건 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님. - 신뢰도와 타당도는 항상 정의 관계를 갖는 것은 아님 - 신뢰도가 있다 하더라도 타당도는 결여될 수 있음 - 타당도가 있다면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있다고 볼 수 있음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63
2022_20_1-2-39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39.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측정 항목 수를 가능한 줄여야 한다. ②유사한 질문을 2회 이상 하지 않는다. ③측정자에게 측정도구에 대한 교육을 사후에 실시한다. ④측정자들이 측정방식을 대상자에 맞게 유연하게 바꾸어야 한다. ⑤조사대상자가 알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측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측정오류 / 신뢰도 ①측정 항목 수를 가능한 줄여야 한다.(X) - 측정항목(하위변수)을 늘리고 항목의 선택범위(값)을 넓혀야 함. 측정항목이 많거나 선택범위가 넓을수록 신뢰도는 증가하고 반대로 항목 수가 적거나 선택 범위가 좁을수록 신뢰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 ②유사한 질문을 2회 이상 하지 않는다.(X) - 응답자가 측정도구의..
2022_20_1-2-38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38.척도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①하나의 개념을 측정하는 개별 항목들 간의 일관성 ②이론적으로 관련성이 없는 두 개념을 측정한 두 척도 간의 상관관계 ③어떤 척도와 기준이 되는 척도 간의 상관관계 ④개념 안에 포함된 포괄적인 의미를 척도가 포함하는 정도 ⑤개별 항목들이 연구자가 의도한 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모이는 정도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측정오류 / 신뢰도 ①하나의 개념을 측정하는 개별 항목들 간의 일관성 = 신뢰도 신뢰도란? - 어떤 측정도구를 사용하려면 그 측정도구는 측정의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함. - 표준화된 검사 개발 원리 :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집단에게 행하였을 때는 비슷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음..
2022_20_1-2-37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37.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측정은 연구대상에 대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②지표는 개념 속에 내재된 속성들이 표출되어 나타난 결과를 말한다. ③측정의 체계적 오류는 타당도와 관련이 없다. ④리커트척도는 각 항목의 단순합산을 통해 서열성을 산출한다. ⑤조작적 정의는 실질적으로 측정하게 되는 연구대상의 세부적 속성이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타당도와 척도 타당도는 측정의 체계적 오류를 해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음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63
2022_20_1-2-36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36.척도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리커트척도(Likert scale)는 문항 간 내적 일관성이 중요하다. ②거트만척도(Guttman scale)는 누적 척도이다. ③서스톤척도(Thurstone scale)의 장점은 개발의 용이성이다. ④보가더스척도(Borgadus scale)는 사회집단 간의 심리적 거리감을 측정하는 데 적절하다. ⑤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의 문항은 한 쌍의 대조되는 형용사를 사용한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측정과 측정도구 서스톤척도 구성 : 측정의 양 극단을 동일한 간격으로 만들어 수치 부여 - 척도개발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 리커드척도 구성 : 각 항목의 단순 합산을 통해 서열성을 산출(보통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