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어려움
1) 알코올 중독자 부인
■ 공동의존(codependency)
- 가족을 ‘준알코올 중독자’와 ‘공동 알코올 중독자’로 지칭하면서 사용된 은유적 표현
· 초기 : 알코올 중독자의 부인을 지칭
· 최근 : 자체를 하나의 질병으로 봄
- 알코올 중독자를 배우자로 가진 사람이 배우자의 지배에 민감하고 복종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
- 공동의존상태에 있는 사람은 실패한 관계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마음이 끌려 가까운 관계를 맺는 사람이라고 봄
- 어린 시절 부모와의 애착관계에서 양가감정을 경험한 사람이 결핍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려고 애쓰는 경향 있음
- 알코올 중독가족은 알코올 중독자와의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건강하지 못한 삶의 방식을 발달시켜 나감
- 인성관점에 근거하고 있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알코올 중독자 부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 활용되고 있음
■ 공동의존자 ‘Cemark’
- 정체감이 덜 발달되어 있고, 배우자나 가족, 외모, 일, 규칙 등의 외적인 자원에 의존적인 애착을 가짐으로써 허위 정체감을 가지는 사람
■ 공동의존 상태에 있는 사람의 특성(Cemark)
- 항상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려고 함
- 다른 사람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책임을 느낌
-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음
- 충동적임
- 방어적이어서 문제를 부인하는 경향 있음
■ 페미니즘 관점
- 공동의존이 알코올 중독자 부인에게 낙인을 부가하였다고 비판
- 공동의존 현상이 병리적이기보다 과도하게 책임감이 있는 것으로 개념을 재구성함
- 공동의존 개념의 취약성을 설명하는 인성관점이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봄
⇨알코올 중독자 가족 모두에게 일반화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기에 역기능적으로 반응하는 부인에게만 적용해야 한다고 봄
2) 알코올 중독자 자녀
■ 알코올 중독자 자녀 연구 : Cork의 연구
- 가족의 문제에 너무 깊게 관여함으로써 문제해결 능력이나 나이에 적합한 자연스러운 책임감 개발의 어려움
- 부모 역할의 변화와 전도에 따른 정서적 혼란 및 감정 표현의 어려움
■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특성 연구
- 비일관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태도에 대한 반응으로 정서적 박탈감 경험
- 부모에 대한 양가감정 등 강한 방어기제 형성
- 대인관계와 사회관계의 고립으로 인한 장애
- 성 역할관이 왜곡되거나 부재하여 자녀가 부모 역할을 함
- 일관성 없는 훈육으로 세상사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올바른 인식 결여
- 가족규칙이 명확하지 않고 가변적임
- 모든 이들에 대한 분노 가짐
- 부모 모두 술을 마실 경우 부모로부터의 유기감 느낌
- 부모에 대한 분노와 원망이 반항적인 행동으로 나타남
- 청소년기 자녀는 자신의 삶을 통제하거나 책임감을 가질 수 있는 경험을 하지 못함
- 부모가 술을 끊었을 때에도 자녀는 여전히 문제를 지님
■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가 아닌 가정과의 비교
- 우울증, 불안, 비행, 신체질환, 악물남용 등의 문제
- 학습이나 직장생활 적응의 어려움
■ 알코올 중독자 자녀가 보이는 문제
- 아동기
· 친구문제, 잦은 싸움, 학교문제, 비행, 친구관계 형성의 어려움
- 초중등 학교
· 행동과 학습문제, 우울, 불안, 비행, 행동상의 부적응, 신체적인 문제, 술과 다른 약물남용, 학교 중도탈락 등
- 성인기
· 청소년기의 정서중심 대처기제 사용 영향
→ 우울증, 불안, 낮은 자존감, 부정적 자기 인식 등
■ 알코올 중독자 성인 자녀가 경험한 문제
- 아동기
· 신체증상적인 문제, 친구문제, 주변 다른 가정환경과의 갈등 경험
- 성인기
· 낮은 자존감, 불만족, 부정적인 자기인식, 불안, 우울증 등의 적응문제
- Cork의 연구
· 음주에 따른 부부갈등으로 인한 자녀의 알코올 중독 경험 높음
· 알코올 중독의 세대 간 전승 가능성 높음
· 대인관계나 대인관계의 특성에 영향 미침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복지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에 대한 이해 (0) | 2022.08.14 |
---|---|
알코올 중독자 가족에 대한 서비스 (0) | 2022.07.16 |
알콜중독자 가족의 이해(1) (0) | 2022.07.16 |
아내학대 가족에 대한 서비스 및 대책 (0) | 2022.07.16 |
아내학대에 대한 이론적 접근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