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욕구의 개념
① Kahn(1969) : 인간의 생존과 성장, 발전을 위해 필요하여 구하는 것
② Roth(1990) : 현재의 상태와 바라는 상태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
바라는 상태 – 현재의 상태 = 욕구
③ Scriven & Roth(1990)
- 사람들이 만족스러운 상태에 이르기 위해 가져야 하는 것
- 경제∙정치∙문화적 수준 등에 따라 차이
.도시 중심 : 공원
.외곽 지역 : 도로 건설 희망
④ 사회복지적 관점 : 욕구는 개인이나 집단이 인간의 생존과 성장∙발전을 위해 필요하여 구하는 것
2. 욕구의 유형
1) Maslow : 욕구 5단계
욕구 단계 | 욕구 내용 | |
성장 욕구 | 자아실현의 욕구 | ㆍ가장 상위 차원의 욕구,4가지 욕구가 충족된 후 일어남 ㆍ인간의 잠재적인 능력에 대한 실현의 욕구 |
결핍 욕구 | 자아존중의 욕구 | ㆍ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고 존중받고 싶어 하는 욕구 ㆍ충족되면 자신감이 생기지만 결핍되면 열등감이 생김 |
소속∙사랑의 욕구 | ㆍ정서적인 만족을 얻고 싶어 하는 욕구 ㆍ집단에 소속되어 관계를 맺어 사랑받고 싶어 하는 욕구 |
|
안전의 욕구 | ㆍ신체적으로 안정을 유지하려는 욕구 ㆍ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보호받으려는 욕구 |
|
생리적 욕구 | ㆍ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욕구 ㆍ의∙식∙주와 관련된 생존의 욕구 |
2) Alderfer의 ERG 이론
욕구 단계 | 정의 | 성격 |
성장 (growth) | 자기 자신 또는 자신이 속 한 환경에 창의적이거나 생 산적인 영향을 주고자 하는 욕구 |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통해 욕구를 만족시킴:인간으로서 총체성과 풍만성에 대한 더 큰 감성을 만들어 갈 때 |
관계 (relatedness) |
중요한 타인과 관계를 형성 하고자 하는 욕구 | 상호 의존적으로 생각과 감정을 공유함으로써 욕구를 만족시킴: 수용, 확인, 이해, 영향 등이 주요 한 요소임 |
존재 (existence) | 물질적·심리적 영역에서의 다양한 욕망을 포함 | 자원이 제한되어 있을때 자원의 획득은 바로 그러한 자원에 대한 다른 사람의 상실을 의미함 |
3) Bradshaw의 욕구 구분
(1) 규범적 욕구
- 전문가 판단에 의해 규정된 욕구
- 규범 : 특정의 기준을 의미
- 욕구 : 일정한 기준 정하여 이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
.어린이집의 영양기준
.정부의 절대빈곤 수준
.최저임금 수준
.아동 급식비 기준 등
(2) 인지적 욕구
- 욕구가 있는 당사자가 스스로 인지하여 정하는 욕구
- 클라이언트가 욕구충족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욕구
- 설문조사, 지역사회 서베이 등에서 응답한 욕구
- 진정한 욕구로 추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3) 표현적 욕구
- 욕구를 갖는 당사자가 실제로 욕구충족의 행위를 하여 나타난 욕구
- 서비스의 수요에 기초한 욕구
- 의료 및 건강의 욕구 파악에 많이 이용 : 대기자 명단 통해 파악
- 진정한 욕구라 할 수 있음
(4) 비교적 욕구
- 다른 사람이나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된 욕구
- 집단 간 상대적 수준의 차이를 고려함
- 전문가 등에 의해 규정됨
- 기존에 파악된 각종 사회지표 통해 파악
학습정리
1. 욕구의 개념
- Kahn : 인간의 생존과 성장 발달 필요한 것
- Roth : 바라는 상태 – 현재의 상태 = 욕구
- Scriven & Roth : 만족스러운 상태에 이르기 위해 가져야 하는 것
- 사회복지적 관점 : 개인이나 집단이 인간의 생존과 성장∙발전을 위해 필요하여 구하는 것
2. 욕구의 유형
- Maslow : 욕구 5단계 :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소속과 사랑의 욕구, 자아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 Alderfer의 ERG 이론 : 존재욕구(existence needs), 관계욕구(relatedness needs), 성장욕구(growth needs)
- Bradshaw의 욕구 : 규범적 욕구, 인지적 욕구, 표현적 욕구, 비교적 욕구
부산디지털대학교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구조사의 자료수집 방법 (0) | 2022.07.12 |
---|---|
욕구조사의 개념과 내용 (0) | 2022.07.12 |
사회문제 분석 지침 및 단계 (0) | 2022.07.12 |
사회문제 규정 및 분석방법 (0) | 2022.07.12 |
사회복지서비스 개입이론(3)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