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분석이론과 가족상담의 접목
- 이것의 결합이 가능한가?
- 결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나, 다양한 용어로 대치
- 정신분석을 근간으로 하는 가족상담의 의미로 이해
2. 정신분석적 대상관계 가족상담
- Freud의 정신분석을 근간으로 가족치료이론을 접목시켜 정신분석이론을 확대 / 발전시킨 이론
- 어머니를 비롯한 주요타자가 영유아의 성격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가정
- 정신분석이론이 개인내적 역동에 초점을 둔 반면 대상관계이론은 관계중심적인 점을 강조
3. 대상관계이론이란
- 정신역동적가족상담의다른 이름
- 관계의 문제에 집중, 프로이드이론 중 새로운 심리내적구조물인 “대상관계”를가 정
- 유아와 주요 타자(주로 부모)와의 관계에 기초
- 전통적인 정신분석학으로부터발전된 이론으로 “관점전환의시도”
- 대상이란 욕구 충족을 위한 도구가 아닌 “사람”을의미
4. 대상관계이론의 논점
1) Freud의 전통적인 이론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느냐
- 기본적으로 Freud의 본능이론을 자신들의 이론과 결합시킨 학자들이 한 축
- 대상개념에서의 핵심은 대상을 실제 물건이나 사람이 될 수도 있지만, 그에 대한 정신적 표상에 공격적 또는 성적 에너지가 부착된 것으로 봄
- Fairbairn이나 Sullivan의 이론에 근거한 현대적 대인관계 정신분석 개념들 본능이론과 대상관계 이론이 서로 결합될 수 없는 것으로 봄
- 전통적인 정신분석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본능의 개념이 인간동기의 핵심이라는 대전제를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
- 자아와 자아 내부에 내재하고 있는 대상과의 관계 연구
5. 대상관계이론의 발전
- Freud의 대상이라는 개념에서 출발
- Klein : 대상관계이론을 만드는데 기초개념들과 핵심모형을 제공
- 환상의 역할 강조. 원욕에 의한 충동들이 환상을 통해서 대상과 관계하는 과정 에서 발생된다고 보았음
→ 대상과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현상들을 개념화하였음
- Fairbairn : 대상관계이론의 확고한 틀을 만드는데 기여
-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 동기를 원욕에 의한 충동(Freud)이기보다는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발달의 힘으로 보았는데, 발달의 힘은 대상과 관련을 맺으려 는 본능이라고 정의하였음
- 정신분석을 두 사람 심리학으로 발전
6. 정신역동가족상담의 학자들
1) 멜라니 클레인(Melanie Klein)
- 영국 대상관계이론의 가장 중심적
- Freud의 추동본능 견해 수용
- 모든 관계의 근원은 모자관계
- 대상관계이론의 기본 개념들을 확립
- 투사, 내사, 분열, 투사적 동일시
2) 도널드 위니컷(Donald Winnicott)
- Klein의 관점에 동조
- 자기-대상 이론을 발전시킴
- 인간은 자기개념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태어남(이 욕구는 어머니- 유아)
- 어머니의 자녀생각 공감, 신속한 반응이 자녀의 건강한 발달에 필수요인
- 대상과의 상호작용에 초점
- Good enough mother – 독립성, 창조성
3) 로널드 페어번(Ronald Fairbairn)
- 타자와의 관계형성을 인간 행동의 근본 동기
- 어린 시절 내면화된 초기 대상관계 중요
- 현실 세계의 타인과 과거의 고통스러운 관계 유형을 반복하는 것이 정신병리
4) 하인츠 코헛(Heinz Kohut)
- 자기애적 환자 주로 연구
- 자기애 욕구 : 양육자의 민감한 양육, 공감 통해 충족
- 양육자가 자기대상(self object)
- 역할 자기대상이란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의 응집성, 항상성, 탄력성을 느낄 수 있게 도와주는 타인
- 양육자 통해 외부세계에 대해 안전감
→ 양육자의 기능적 특성을 내면화
→ 좌절과 실망을 견딤
→ 자신의 내적 구조를 형성
5) 마가렛 말러(Margaret Mahler)
- 분리 개별화(Separation Individualization) 과정
→ 아기는 출생 초기 주위 환경과 자신을 구분하지 못함
→ 발달하면서 자기 이외에 다른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
→ 점차 자기 주위의 것들과 자신을 구분
→ 자신을 독립된 개체로 인식
7. 정신역동가족상담의 기초개념
1) 대상
- 감정이 실린 것
- 사람, 사물, 생각, 환상 등
- 최초의 대상은 어머니
- 대상이 사람인 경우 타자(other)
2) 대상관계
- 자기와 대상간의 상호작용으로 구성
- 자기에 따라 대상이 구성, 그 대상이 자기에게 영향
- 자기, 대상의 구별이 모호할 경우 “자기-대상”이라고 함
- 미분화된 자기-대상을 공생
3) 자아
- 대상관계이론의 핵심개념
- Freud는 자아를 자기로부터의 자아, 조직자와 조직체로서의 자아로 정의
- Klein은 자아를 자기와 동의어
4) 자기
- 자아(Ego)와 구별
- 나와 관련된 의식적, 무의식적 생각, 느낌 환상
학습정리
1) 대상관계이론
- 정신분석의 본질상 정신내적이론과 가족치료의 체계이론의 결합
- 정신분석을 근간으로 하는 가족상담
- 대상은 실제 물건이나 사람의 정신적 표상에 에너지가 부착된 것
2) 대상관계 이론가들
- 멜라니 클레인(Melani Klein)
- 도널드 위니컷(Donald Winnicott)
- 로널드 페어번(Ronald Fairbairn)
- 하인츠 코헛(Heinz Kohut)
- 마가렛 말러(Margaret Mahler)
3) 정신역동가족상담 기초개념
- 대상
- 대상관계
- 자아
- 자기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역동가족상담(3) (0) | 2022.07.11 |
---|---|
정신역동가족상담(2) (0) | 2022.07.11 |
가족상담의 역사 (0) | 2022.07.11 |
가족상담의 기초이론 (0) | 2022.07.11 |
철학, 신학, 심리학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