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상담

가족상담의 역사

728x90

1. 가족상담의 발달


- 1950년대 이전 : 준비단계 

- 1950년대 이륙단계
- 1960년대 도약단계(확대기)
- 1970년대 혁신적 기법 및 자체검증 단계(가족치료 정립 및 혁신기) 

- 1980년대 성장 및 전문화 단계
- 1990년대 가족치료의 통합단계 

 

1) 가족상담의 배경


- 2차 세계대전 등으로 사회가 황폐화, 늦은 결혼과 베이비붐 등으로 가족문제의 대두
- 정신분석적 입장의 개인의 문제가 가족의 문제로 확대 

- 일반체계이론의 발전과 도입
- 정신분열증의 가족의 역할
- 아동지도상담 및 부부상담의 발달 

- 집단치료와 같은 임상기법의 발달

2) 부부상담 / 아동지도 상담


- 1920년대 : 부부상담소개설(아브라함과 스톤, 뉴욕) 

- 1930년대 : 미국가족관계연구소 창설(LA)
- 1960년대 : 부부상담 활성화 안됨
- 1970년대 : 개인보다 부부관계와 가족간 관계에 초점 

● 가족치료와 부부상담이 통합적으로 발전 시작


(1) 아동지도 상담


- 아동의 문제를 치료하는 것이 성인의 정서적 장애 예방에 최선책이라는 신념 

- 프로이드와 아들러의 이론 기반으로 아동지도
- 아동의 문제는 증상이 아니라 가족내의 긴장이 근원 

- 부모의 정신병리와 어머니의 과잉보호에 초점


3) 정신분열증 연구


- Freud의 정신분석학의 발달이 오히려 가족의 사정과 치료에 방해 

- 1950년대에 와서 가족을 하나의 집단으로 치료적으로 간주하기 시작 

- Ackerman에 의해 가족연구에 정신분석적 이론 적용
- Adler의 형제, 가계도 등을 통해 영향 

- Jackson등이 Sullivan의 영향을 받음


(1) Palo Alto 그룹


- Gregory Bateson의 정신분열증 연구팀 

- Jay Haley, John Weakland, Don Jackson
- 정신분열증이 병리적인 가족 의사소통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음을 발견
- 정신분열증 환자들 무의미한 행동도 가족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음
- Bateson은 모든 의사소통은 내용과 방법의 두가지 수준의 기능으로 보고 모자 관계에초점
- Weakland의 이중구속이론
- 헤일리는이중구속의 동기가 통제를 위함
- Jackson과 Satir는 정신건강연구소(MRI)를 설립

(2) Theodore Lidz 그룹


- 예일대학에서 정신분열증환자의 가족역동을 연구하여 전통적 정신분석이론과 가족 체계이론을 연결
- 부부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결혼(부부)분열과 결혼(부부)왜곡으로 부부 문제를 접근
- 결혼분열은 서로를 깍아내림으로 자녀의 충성심을 위해 경쟁 

- 결혼왜곡은 한편이 다른 편을 지배함으로 영향력을 과시


(3) Lyman Wynne 그룹


- 거짓상호성(Pseudomutuality), 가성적대감(Pseudohostility) : 가족속에실제하는 가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 감정
- 고무담장(rubber fences) :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으려는 가족의 울타리
- 가족의 의사소통문제나 사고장애가 연속선상에 있으며 정신분열증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전체의 문제라고 주장


(4) 보웬 그룹


- 50년대 초부터 정신분열증연구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치료
- 부부치료 개발
- 부부간의 관계성에 대한 정의와 명료화
- 탈 삼각관계 유지하기
- 정서체계의 기능 교육하기
- 나 입장취하기를 통한 분화 시험 보이기
- 가족안에서 상호작용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과 용어 발전
- 역기능적 의사소통, 이중구속, 항상성, 역설, 공생, 융합, 삼각관계, 경계 등


4) 가족치료 도약기(확대기)


- 1960년대 가족치료에 대한 관심고조, 치료방법으로 인정 받기 시작하고 전 가족을 치료
- IP가 희생양임을 인정하지만, 개인치료선호
- 가족치료자들은 치료 초점을 가족구조나 상호작용에 두고 대상도 점차 확대 

- 정신분열증에서 비행, 부부갈등 등 확대
- 교육과 훈련에 관심, 대학, 치료기관확대

5) 가족치료 정립 및 혁신기


- 1970년대 체계이론에입각한 가족치료 호응
-  체계이론을  토대로  구조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보웬의다세대가족치료,  밀란의 체계적 모델 등
-  MRI에서는  우울증,  부부갈등,  성문제,  약물중독  등  문제를  단기간에  해결하고 증상을 경감시키는 단기 전략적 가족치료를 발달시켰고, 해결중심 단기모형을 발달


6) 가족치료의 성장과 전문화기


- 1980년대 다양한 가족치료 접근법들이 발달하고 보급됨 

- 해결중심 치료를 중심으로 통합의 움직임이 일어남 

- 많은 학회 및 저널이 발행

 
7) 가족치료의 통합기


- 1990년대 관계맥락에서 문제를 다루고 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일치 

- 가족과 개인속에 감춰진 힘이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 즉, 인간에 대한 이해는 자신과 체계를 이해하는 것
- 치료자들이정신과 의사에서 심리학자, 가족학자, 상담가, 사회사업가 등으로 확대
- 미국에서 세계로 활발하게 보급

 


2. 우리나라의 가족상담


- 80년대 이전 미국의 가족치료 이론을 소개하고 보급 

- 80년대 초 사회복지, 가족학과에 이론중심으로 보급 

- 80년대 후반부터 임상으로 시작
- 1988년 정신과의사, 사회복지사, 심리학자, 간호사 중심의 한국가족치료학회결성 

- 90년대 초 민간차원의 가족상담전문기관이 세워지고 보급됨


학습정리 
1) 가족상담의 배경
- 2차대전후 사회의 황폐화, 베이비붐 등으로 가족문제 심각 

- 개인의 문제가 가족문제로 확대
- 일반체계이론의 발전
2) 가족상담의 발달과정
- 부부상담, 

- 아동지도, 

- 정신분열증 연구 

- 도약기, 

- 정립기, 

- 성장기, 

- 통합기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역동가족상담(2)  (0) 2022.07.11
정신역동가족상담(1)  (0) 2022.07.11
가족상담의 기초이론  (0) 2022.07.11
철학, 신학, 심리학  (0) 2022.07.11
가족상담의 개관(3)  (0) 2022.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