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강가정지원센터 추진체계
2. 여성가족부
- 건강가정지원센터 기본운영계획 수립
- 건강가정기본법 관련 법규 제정 및 정비
-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계획 수립 및 지원
- 사업비의 교부 및 정산, 평가
-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관리·감독 및 지도
3. 시도 및 시군구
- 중앙정부, 시・군・구 간 및 시・군・구 내 연계(시・도, 시・군・구)
- 건강가정기본법 관련 조례 등 제정 및 정비
- 시・도 및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및 지원
- 시・도 및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비의 교부 및 정산
- 건강가정지원사업의 운영현황 및 사업결과 보고
-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관리・감독 및 지도
4. 사업지원기관(한국건강가정진흥원)
1)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역할
- 2015년 1월 여성가족부 산하 특수법인으로 출범
- 가족지원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 주요 가족정책 관련 시범사업 실시
- 직원 전문성 및 역량강화 교육
- 시・도 및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지원 및 평가업무 지원
- 통합정보시스템 관리・운영
- 관련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홍보사업
2)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주요사업
주요사업 | 사업내용 | |
가족 서비스 지원 사업 | 가족서비스 운영기관 지원 | •지역센터 중앙관리(사업관리, 특성화사업관리, 가족서비스 성과관리, 한부모가족사업) •아이돌봄서비스 관리(기관 지원, 교육교재 개발, 교육 기관 관리) •이혼전후상담 우수기관 지정사업 •가족서비스컨설팅 사업 |
가족서비스 전문인력 교육 | •종사자 역량강화교육 •다문화전문인력 양성 및 역량강화교육 •온라인 교육센터 운영 |
|
가족 서비스 지원 사업 | 가족친화 지원사업 | •기업인증지원 가족친화 경영 컨설팅 •가족친화 직장교육 •가족친화협력사업 •가족친화경영 실천포럼 및 홍보사업 |
지속가능 가족사업 연구 및 확산 | •생활 SOC 가족센터 운영기반 구축 •사회적재난 및 위기대응 시범사업 •지속가능 가족사업 구축 연구 |
|
양육비 이행 지원 사업 | 서비스소개 및 이용안내 | •서비스 소개 및 이용안내 •대상자 안내 •상담신청 및 제출서류 안내 |
양육비이행 지원 안내 | •이행개선 •한시적 양육비 긴급지원 •양육비 모니터링 및 면접교섭 •법률지원 •추심지원 •조사지원 및 제재조치 |
|
가족 다양성 수용 증진 사업 | 다양한 가족 수용성 증진 교육 | •다양한 가족 수용성 증진 교육 •다문화이해교육 및 결혼중개업 교육 |
인식개선 홍보 및 정보제공 | •다양한 가족편견해소 모니터링 •다양한 가족인식개선 사업 •다양한 가족 정보제공 |
5. 시도 및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1) 시·도 건강가정지원센터
- 한국건강가정진흥원과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연계
- 시・도별 특성에 맞는 가족지원프로그램 개발・보급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지원 및 관리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직원 역량강화 교육
- 시・도 가족관련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보급
2)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 지역사회 내 가족구성원을 위한 1차적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 지역단위 가족생활 교육・상담・문화・돌봄사업 실시
-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 지역사회 가족구성원을 위한 가족생활 관련 정보제공
- 시・도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개발한 특성화사업 수행
학습정리
1. 건강가정지원센터 추진체계의 역할
- 여성가족부 : 건강가정지원센터 기본운영계획 수립
- 시‧도 및 시‧군‧구(지방자치단체) : 여성가족부와 연계 역할
- 한국건강가정진흥원 :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 총괄‧평가
- 시‧도 건강가정지원센터 : 진흥원과 시‧군‧구 센터 연계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 지원 서비스 직접 제공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이해 (0) | 2022.07.11 |
---|---|
건강가정사업의 이해 (0) | 2022.07.11 |
다문화가족지원법 (0) | 2022.07.11 |
건강가정기본법 (0) | 2022.07.11 |
건강가정정책의 이해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