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구조의 변화
1) 인구구조의 변화
-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유소년인구 급감, 고령인구 증가
*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 7%
고령사회(aged society) :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 14%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 :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 20%
- 17.8월 말 14%대에 진입, 25년 20%대에 진입 전망,
- 2060년 생산가능인구 10명이 10명(노인8명, 어린이 2명) 부양 전망
2) 가족구조의 축소화와 단순화
- 4인가구 → 1인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유형
* 50대 이상의 1인가구 비율 증가
- 혈연가구 중 1세대 가구는 증가, 2세대 가구 감소 추세
2. 가족가치관의 변화
* 가족 가치관
- 가족원을 하나로 연결하는 신념·태도에서 나타나는 것
- 가족의 목표와 행동 방향 제시
1) 결혼에 대한 태도
(1) 결혼의 만혼화 : 결혼가치의 하락으로 초혼연령이 점차 증가
- 자아실현과 삶의 질을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관의 변화
- 경제적인 이유
(2) 결혼에 대한 견해 : 결혼가치의 하락으로 초혼연령의 지연과 자녀 출산연령의 고령화 등 가족 변화의 핵심이 되고 있음
- 결혼을 ‘해야 한다’로 생각하는 비율 2010년 64.7%->2018년 48.1%
2) 자녀출산과 자녀 양육관
(1) 초혼연령의 증가 → 자녀 출산율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
-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돈다는 것은 한 세대가 지나면 출생아 수가 지금의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는 의미
(2) 자녀에 대한 태도 변화
-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13세 이상 인구)는 견해에 대한 응답률 중 ‘전적 으로 동의’ 11.0%
- 미혼 남녀(20~44세)들의 안정된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자녀가 있는 것이 좋다는 견해에 대한 응답률 중 ‘전적으로 찬성’이 남성 19.5%, 여성 13.5%
3) 노부모부양관
- 며느리 중심의 부양지원체계에서 친자녀 중심의 부양지원체계로 바뀌고 있음
- 부모-자녀 간 경제적 지원이나 돌봄지원이 동거중심만이 아닌 비동거형태로도 이루어지고 있음
- 현대사회에서 부모부양의 지원체계는 과거의 전통적 직계가족규범에서 벗어나고 있음
4) 이혼에 대한 태도
(1) 절대적인 수치 면에서의 이혼 증가
- 2003년 16만 6천여 건으로 절정에 달했다가 최근 다소 감소하였다가 상승하는 경향
(2) 조이혼율 감소 추세
- 2000년 2.5건, 2010년 2.5건, 2018년 2.1건으로 최근 감소하는 경향
- 중 장년층, 장기간 동거부부에게로 확대되어 전 연령대의 이혼경향이 증가
3. 가족기능의 변화
1) 재생산기능의 약화
- 이혼 증가, 한부모가족 증가, 미혼부(모) 증가 등으로 약화
- 가족구조,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자녀에 대한 태도변화 → 초혼연령 증가,저출산 현상 → 가족의 재생산기능 약화
2) 자녀양육기능의 사회화
- 가족원의 정서적 신체적 부양기능과 자녀양육기능이 점차 약화
- 돌봄서비스의 사회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음
3) 정서적 지지의 강화
- 현대사회에서 한국 가족의 기능이 축소, 사회화
- 주요기능은 ‘정서적 지지’ 제공에 국한
- 가족생활 전반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가 과거에 비해 증가
- 가족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관계에 대해 만족도 상승
- 결혼,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학습정리
1. 가족구조의 변화
- 인구구조의 변화, 가족구조의 축소화와 단순화
2. 가족가치관의 변화
- 결혼에 대한 태도, 자녀출산과 자녀양육관, 노부모부양관, 이혼에 대한 태도
3. 가족기능의 변화
- 재생산기능의 약화, 자녀양육기능의 사회화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의 개념 (0) | 2022.07.11 |
---|---|
한국 가족의 위기 (0) | 2022.07.11 |
가족의 개념과 기능 (0) | 2022.07.11 |
건강가정사 - 자격요건 (0) | 2022.06.10 |
해결중심 가족치료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