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갈등주의 관점
1) 신맑스주의
가. 개관
- 고전적 맑스주의의 계급 사상 + 후기 산업사회의 변화
- 국가의 역할이나 법과 제도에 대한 설득력 있는 분석이 이루어짐
- 문제의 원인보다 문제로 규정되는 과정에 관심을 가짐 : 범죄통제 메커니즘의 정치경제학적 본질
나. 퀴니(R.Quonney)의 분석
① 형법 : 국가와 지배계급이 기존의 사회경제적 질서를 유지하고 영구화시키기 위한 도구
② 자본주의 사회의 범죄통제는 법 이외에도 이데올로기의의 제도와 기관(교육, 종교, 메스컴 등)을 통해 수행
③ 피지배계급에 대한 억압은 계속되면 생산관계는 유지됨
④ 문제의 해결 : 자본주의 사회의 붕괴와 사회주의 원칙에 기초한 새로운 사회의 건설에 의해 범죄문제 해결
⑤ 유전무죄, 무전유죄?
⑥ 체제에 기능적인 범죄 : 기존의 체제를 위협하는 범죄
⑦ 한계 : 사법제도, 형사정책 등 형법 제도를 개선하여 개인의 인권과 자유, 평등의식을 향상시킨 정치세력이 집권한 국가는 설명불가
2) 가치갈등론
가. 맑스주의 가치갈등론
- 사회는 계급별, 인종별, 성별로 구분 : 이해관계와 가치가 상이한 다양한 집단
이 존재함
- 사회문제의 발생 : 어떤 행위에 대한 가치가 다른 집단들이 자기들의 가치가 더욱 선호되도록 하는 투쟁을 벌여 우위를 점하게 되면 그 행위는 사회문제 로 정의됨
- 사회문제의 종류
① 물리적인 것 :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문제
② 개선을 요하는 것 : 빈곤, 범죄 등
③ 도덕적 문제 : 도박, 임신 중절 등
나. 비맑스주의 가치갈등론
- 사회문제의 해결책
① 갈등관계에 있는 집단, 즉 계급이 협상과 타협을 통해 차이를 드러냄
② 서로의 견해를 잘 이해하도록 만들기
③ 동의와 비동의 간 차이를 극복하게 만드는 것
- 이상적인 해결책 : 양쪽 모두 윈윈(win-win)하는 전략
- 다원주의 사회의 사회문제 설명에 적합
- 단점 : 인종문제 등의 갈등처럼 타협하기 어려운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움, 권력이 가치갈등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수도 있음
2.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1) 낙인이론(Labeling)
가. 개념
- 일탈은 상황에 문제가 있다고 낙인하는 조건, 즉 문제를 규정하는 사람에 관심
- 낙인이론 : 일탈의 사회적 규정을 검토하고, 사람들이 어떻게 문제의 상황・과정 또는 사건을 규정하는 가에 관심을 가짐
- 사회문제의 객관적 규정보다 주관적 규정을 관찰함
나. 레머트(E.Lemert) : 사회병리학
- 일탈의 종류
① 일차적 일탈 : 최초의 일탈행위, 다른 사람들이 일탈로 간주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
② 이차적 일탈 : 자신도, 타인과 사회도 범법행위라고 반응한 결과
※ 일탈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규정
- 사회문제를 설명하는 특징
① 개념 : 규칙 또는 기대와 연관되어 있는 혐의자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규정(조건에 관심)
② 원인 : 공적 또는 사회통제기관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주의
③ 조건 : 일탈자라고 낙인찍을 때, 낙인자는 낙인을 확정지움으로써 자기 입장을 취함
④ 결과 : 낙인찍힌 자의 생활기회 제한, 일탈적 역할기대
⑤ 해결 : 개념규정 변화(낙인중지), 낙인에서 이윤을 얻을 수 있도록
다. 베커(H. Becker): 아웃사이더
- 규정하고 낙인 찍는 사회적 지위에 주목
① 일탈 : 한 사람이 저지른 행위의 질적 요소가 아니라 한 위반자에게 다른 사람들이 규칙과 제재를 적용한 결과
② 일탈자 : 낙인이 성공적으로 적용된 사람
③ 일탈행위 : 사람들에게 낙인 찍는 행동
- 일탈행위로 규정하거나 낙인 찍는 것은 사회적 지위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남
- 사회적 지위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과 유형에 영향을 미침
라. 낙인이론의 사회문제 해결책
- 개념규정을 변화시키는 것
- 낙인행위로 얻어지는 이득을 제거하는 것 : 일탈자가 아닌 새로운 의미를 부여 하여 행동의 변화를 추구
학습정리
1. 갈등주의 관점
- 신맑스주의 :고전적 맑스주의 계급사상 + 후기 산업사회의 변화수용
- 가치갈등론 : 사회를 계급별 뿐 아니라 인종별, 성별로 구분, 다양한 집단의 존재 인정
2.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관점
- 래머트(사회병리학) : 일탈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규정
- 베커(아웃사이더) : 규정하고 낙인 찍는 사회적 지위에 주목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문제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문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곤의 이해 (0) | 2022.07.10 |
---|---|
빈곤의 개념과 빈곤을 설명하는 이론 (0) | 2022.07.10 |
구조기능주의 관점(2) (0) | 2022.07.10 |
구조기능주의 관점(1) (0) | 2022.07.10 |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와 관점 비교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