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구조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3) 일탈행위론
가. 위르켐(E.Durekheim)의 아노미론
- 아노미: 사회적 분업과정에서의 병리현상들(부분들 간의 부조화, 사회연대성의 약화, 계급갈등 등), 사회해체의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규제하는 공통의 규칙 이 붕괴된 상태
- 자살론 : 자살 연구를 통하여 일탈행위와 사회통합 사이에 관계가 존재함을 증명하려고 노력(카톨릭국가<개신교국가 : 종교의 사회통합 기능에 대한 영향력 설명)
- 자살의 유형
① 이타적 자살 : 사회통합이 높은 경우
② 이기적 자설 : 사회통합이 낮을 경우
③ 아노미적 자살 : 규범이 붕괴되어 행위의 준칙을 상실했을 때, 갑작스런 지위 변화
나. 머튼(R.Merton)의 아노미론
- 일탈행위의 발생 : 문화적 목표(경제적 성공)와 제도적 수단(합법적 성공경로 - 교육과 취업)사이의 괴리
- 제도적 수단과 문화적 목표 간의 관계를 통해 개인의 적응 양식 제시
적응양식 | 문화적 목표 | 제도적 수단 | 예 |
쇄신형 | 수용 | 부정 | 조직범죄,화이트칼라 범죄 |
의식형 | 거부 | 수용 | 소시민들 |
도피형 | 거부 | 부정 | 마약, 알코올 |
저항형 | 수용 또는 거부 | 수용 또는 부정 | 사회운동가, 혁명가 |
다. 일탈행위론의 사회문제
- 개념 : 규범적 기대의 저촉, 규범에 벗어난 행위 또는 상황
- 원인 : 부적절한 사회화 (일차적 집단관계의 맥락에서 일어남)
- 조건 : 학습의 제한적 기회, 일탈적 학습방법, 합법적 목표 성취의 제한적 기회, 잘못된 보호방법에의 접근 등
- 결과 : 소비적(비합법적 회사 설립)
- 해결 : 재사회화(합법적 행위유형과의 접촉 증대, 비합법적 집단과의 접촉 감소)
4) 하위문화론
가. 코헨(Cohen)의 비행하위문화론
- 비행하위문화 : 중간계급 문화 지배 사회구조하에서 하층계급 소년들이 지위 좌절을 집단적으로 해소하려는 반동 형성의 소산
- 중간계급 문화 : W.A.S.P(White, Anglo-Sexon, Protestant)
- 문제의 원인 : 계급갈등과 인종차별 등의 사회구조로부터 발생(인정하지 못하는 집단의 집단적 반응)
- 청소년비행문화의 특성 : 비공리성, 악의성, 부정성, 순간적 쾌락주의
※ 하위문화 : 어떤 집단 내의 전통적 가치, 규범 및 행위패턴
나. 클로워드와 올린(Cloward & Ohlin)의 비행기회구조론
- 차별적 기회 : 모든 계층에게 동일한 기회가 주어지지 않음(기회의 횟수와 내용의 차이)
- 본인에게 주어지는 기회가 차별적이라고 생각하면 비정상적 방법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
- 슬럼지역과 도시 하층계급에서 나타나는 세가지 하위문화
① 범죄적 하위문화 : 전통문화와 범죄문화의 통합적 접촉을 통해 범죄의 가치와 기술 학습
② 갈등적 하위문화 : 억압된 분노, 욕구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폭력행사(청소년)
③ 도피적 하위문화 : 마약 등 약물사용(이중 실패자)
5) 문화전달론
가. 비행지대론
- 지역 자체의 일탈 : 인종, 피부색, 국적이 아닌
- 도심을 에워싼 전이지대에 비행발생률 높음
- 전이지대 : 인구이동이 높고, 빈민가와 우범지대 형태로 나타남
- 전이지대의 인구특성 : 저소득층, 이민, 이농, 부랑자 및 범법자로 구성 – 사회 해체지대
※ 문화의 가장 큰 속성은 학습되어 전승된다는 점에 착안
나. 접촉차이론(서들랜드-E. Sutherland)
- 일탈이 발생할 수 있는 사회화 과정에 관심
- 인간은 일탈된 행위와 접촉함으로써 배움
- 왜 사람이 일탈행위의 유형을 배우는가를 설명
학습정리
2. 구조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 이론
- 일탈행위론 : 듀르켐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 급격한 사회변화와 규범의 약화
- 하위문화론 : 비행하위문화론, 비행기회구조론, 일탈(집단이 향유하는 특정한 하위문화로 설명)
- 문화전달론 : 비행지대론, 접촉차이론, 학습되고 전승되는 문화의 속성에 관심( 범죄, 비행의 문화적 특징)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문제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문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곤의 개념과 빈곤을 설명하는 이론 (0) | 2022.07.10 |
---|---|
갈등주의·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관점 (0) | 2022.07.10 |
구조기능주의 관점(1) (0) | 2022.07.10 |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와 관점 비교 (0) | 2022.07.10 |
구조주의와 갈등주의 관점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