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2-3지역사회 복지론

영국의 역사적 배경

728x90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의 발달 과정의 개요


◆ 영국은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기원이 되는 엘리자베스 빈민법(1601) 이래 지역사회 복지의 법제화를 이끌어 옴


◆ 19세기 후반 현대적 의미의 전문화된 지역사회복지의 시작인 자선조직협회(COS: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운동과 인보관운동(Settlement Movement)이 최초로  전개됨

 


2. 자선조직협회


◆ 당시의 영국 상황 : 산업혁명과 산업화로 경제적 풍요를 누렸지만, 계급갈등, 빈곤, 주거 환경 악화 등 도시문제 만연


1) 자선조직협회의 성립과 관련된 시대 배경


① 빈민법당국과 민간자선사업 간의 협력관계의 결여


② 다양한 자선기관 간의 성격의 차이로 협력의 결여 


③ 개인의 자선활동에 관한 정보의 부족 


④ 구제의 중복과 낭비 및 무책임한 자선활동 성행
→ 1869년 최초의 자선조직협회 조직 : 러스킨 주도, 런던

 


2) 자선조직협회의 특징

 

- 적자생존의 논리에 기반을 둔 사회진화론의 영향 받음


- 구호 신청자의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기 위해 호별방문(friendly visit) 실시 

 

- 구호 받을 자격이 있는 빈민과 그렇지 않은 빈민 구별


- 자신들은 시혜자요 빈민은 수혜자라는 의식 철저 


- 중복구호를 방지하기 위한 자선활동 조정과 환경조사와 적절한 원조 제공

 

- 후에 전문사회사업의 효시가 됨 → 오늘날의 지역사회복지, 개별사회사업,자원봉사활동으로 발전


- 공공구제의 확대에는 반대의 입장, 빈민에 대한 공공지출의 삭감을 지지 

 

- 한계 : 빈곤은 개인의 도덕적 책임, 빈곤발생의 사회적 기반을 경시

 


3. 인보관운동

 


◆ 데니슨(Edward Denison) 목사 주축(1854) → 캠브리지 대학과 옥스퍼드 대학 학생들과 슬럼가의 노동자들을 결합시킴으로써 빈곤문제 해결하려는 일종의 사회이상주의운동으로 시작


◆ 바네트(Samuel Barnett) 목사 계승 발전 


① 빈민가에의 생활체험 통해 빈곤은 경제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정신적인 문제
② 교육을 통해 빈민이 자신을 스스로 변화시켜야만 가난에서 궁극적으로 벗어날 수 있다는 확신을 얻게 됨


◆ 대학생들이 빈민가에 거주하면서 가난한 노동자와 가족에게 문화와 교양을 깨우쳐  줌으로써 빈민의 인간적 성장을 돕도록 적극 권장  


◆ 최초의 인보관 설립 : 1884년 런던 동부 빈민지역에 토인비 홀 설립 

 

1) 인보관 운동의 특성


- 사회환경이라는 요인이 사회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인식 

 

- 빈민지역에 들어가 그들과 함께 생활


- 빈민들과 교육받은 계층 간의 상호교류를 증진시키는 일, 이러한 공동활동과 연구를 통해서 서로 문화 공유


- 인보관 프로그램 : 빈민 자조 조직의 결성을 돕는 일, 지역 노동자들과 함께 노사문제를 상담∙협의하는 일, 주민들에게 글과 예술을 가르치는 일 등


- 인보관 활동가들은 빈민과의 개별적 관계를 중시, 이웃과 동료로 접근 

 

- 사회개혁운동에 동참할 것을 호소


- 토인비 홀의 영향으로 영국 전역에 100여 개의 인보관 확산 설립 

 

- 국가가 사회복지 책임지면서 영향력 줄어들게 됨

 


4. 제도적 보호에서 지역사회보호로의 전환

 

 

①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의 수년간 사회개혁이 집중적으로 실시


- 비버리지 보고서(Beveridge Report)(1942)와 1945~1948년간 노동당을 통하여 근대 복지국가 수립 시도 나타남


- 1950년대 : 수용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지역사회보호 개념 등장


- 1960년대 : 국민보건 서비스의 재정적인 과제로 지역사회보호 정책이 보수당 정권하에서 강력하게 제안

 


② 시봄보고서(1968) 


- 지방정부에 사회서비스국 창설, 보건부 수행 홈헬퍼 서비스 사회서비스국으로 이전


-  이  개혁에  의거,  대인사회복지서비스를  추진하는  임무를  지방자치단체의 의무로서 명시


-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제공되는 홈헬퍼 서비스가 임의에서 의무로 전환 →   사회보호정책의 중요한 전진 이룸

 


③ 1970년대


- 1972년 : 지방자치단체 사회서비스 10개년 발전계획 수립, 석유파동, 경제  불황으로 1974년 중단


- 1979년 : 보수당 대처정권, 공공재정 지출의 축소라는 정책적 목표 하에 기존의 지역사회보호정책 결과 비판

 


④ 그리피스 보고서(1988) : 지역사회보호의 일차적 책임 지방당국이 가짐. 

 

- 지방당국은 대인사회서비스의 직접적인 제공자가 아닌 계획, 조정, 구매자로서의 역할을 수행, 주거보호에 대한 욕구는 지방당국에 의하여 사정됨


- 1990년 : ‘국민보건서비스 및 지역사회보호법’ 제정, 지방당국보다 가족 등의 비공식부문, 민간조직부문, 자원부문의 역할 강조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역사적 배경  (0) 2022.07.08
미국의 역사적 배경  (0) 2022.07.08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의  (0) 2022.07.08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0) 2022.07.08
지역사회의 이해  (0) 2022.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