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역사회의 개념
◆ community : 'commune', ‘친하게 교제한다’는 어미에 ~ity를 붙여, 공동체 및 공동사회라는 뜻으로 명사화됨
◆ 지역사회의 네 가지 의미
① 지역, 지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사회
② 의식과 뜻을 같이 하는 지역사회
③ 각종 기관, 시설, 단체를 하나의 지역사회로 구분하는 방법
④ 21세기 새로운 커뮤니티로 부상하고 있는 가상공동체
◆ 워렌(Warren) : 지역적 적합성을 가지는 주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적 단위 및 체계의 결합
◆ 매키버(Maciver) : 공동생활권(area of common life)
⇒ 지역사회 : 일정한 지리적 공간인 생활권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통된 이해관계, 문화, 규범 등을 형성하여 공통의 경험과 공동생활을 향유하는 인간집단
◆ 힐러리(Hillery) : 지역사회의 정의에 세가지 중요 요소 포함
→ 지리적 영역,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의 유대
◆ 로스(Rose) : 지리적 의미와 기능적 의미의 지역사회로 구분
① 지리적 지역사회 - 지리적 분포를 강조(행정단위, 시,도,군,구 등)
② 기능적 지역사회 - 공통적인 관심과 이해관계로 형성된 공동체 의미 (사회복지계, 의료계, 향우회 등)
2. 지역사회의 기능
◆ 생산∙분배∙소비 : 재화(goods) 및 서비스를 생산∙분배∙소비하는 과정
◆ 사회화 : 공유하는 지식, 가치, 행동양식 등을 전달하는 과정
◆ 사회통제 : 법, 도덕, 규칙 등의 규범을 준수하도록 하는 강제력
◆ 사회통합 : 스스로 규범을 준수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하도록 하는 제도
◆ 상호부조 : 기존 사회제도에 의해 기본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경우 강조되는 사회적 기능
◆ 방어 : 지역사회가 그 구성원을 보호하고 지키는 기능
◆ 의사소통 : 공통의 언어 및 상징(symbols)으로 사람들을 결속시키는 접착제적인 역할을 하는 기능
3. 지역사회의 유형
◆ 인구구조 : 가장 기본적인 지역사회의 유형, 인구의 크기, 인구구성의 특성에 따라 지역사회 구분
◆ 산업구조 : 도시회와 농촌지역사회, 도시와 농촌의 혼합상태의 지역사회 등
◆ 기 능 : 동일한 목표달성을 위해서 규칙을 지키고 자금을 모으면서 동일 업종의 공동사업을 전개하고 활동하는 각종 사회단체 → 이익집단, 직장단위의 지역 사회 등
4. 지역사회에 대한 이론적 배경
◆ 기능주의적 관점 : 다양한 사회적 제도로 구성되어 있는 하나의 체계로 파악, 각 부분은 합의된 가치와 규범에 따라 변화됨. 균형 또는 안정을 강조
◆ 갈등주의적 관점 : 경제적 자원, 권력, 권위 등이 불평등한 배분관계에 의해 갈등이 발생, 갈등관계를 통해 지역사회 변동 초래
◆ 통합주의적 관점 : 갈등은 사회를 재통합시킴.
사회갈등의 제도화, 즉 입법과 정책수립을 통하여 갈등을 수용할 것을 주장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역사적 배경 (0) | 2022.07.08 |
---|---|
미국의 역사적 배경 (0) | 2022.07.08 |
영국의 역사적 배경 (0) | 2022.07.08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의 (0) | 2022.07.08 |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