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긴급복지 지원제도
1. 대상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층으로 아래 위기사유와 소득·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
구분 | 지원대상 |
위기 사유 | ①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 수용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②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③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 또는 유기되거나 학대 등을 당한 경우 ④ 가족폭력을 당하여 가구구성원과 함께 원만한 가정 생활을 하기 곤란하거나 가구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경우 ⑤ 화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한 경우 ⑥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휴업, 폐업 또는 사업장의 화재 등으로 영업이 곤란 하게 된 경우 ⑦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실직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⑧ 지자체 조례로 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 소득활동 미미(가구원 간호,간병,양육), 기초수급 중지, 미결정, 수도·가스 중단, 사회보험료·주택임차료 체납 등 ⑨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 이혼, 단전, 교정시설 출소, 노숙, 복지사각지대 발굴대상자·통합사례관리대상자· 자살고위험군으로 생계가 어렵다고 추천을 받은 경우, (한시) 코로나19로 무급 휴직자, 자영업자,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또는 프리랜서인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소득이 급격히 감소하여 생계가 어려운 경우 |
소득 | 기준 중위소득 75%(1인 기준 145만 8,609원, 4인 기준 384만 810원) 이하 |
재산 | • 대도시 2억 4,100만 원 이하, 중소도시 1억 5,200만 원 이하, 농어촌 1억 3,000만 원 이하 • 금융재산 : 600만 원 이하(단, 주거지원은 800만 원 이하) |
2. 내용
구분 | 지원내용 | 지원금액 | 지원횟수 | |
주 지 원 |
생계 | 1개월 생계유지비 (식료품비, 의복비 등) 지원 | 가구원 수에 따른 차등 지급 (4인 기준) 130만 4,900원 |
최대 6회 |
의료 | 각종 검사, 치료 등 의료서비스 지원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 |
300만 원 이내 | 최대 2회 | |
주거 | 임시거주 할 수 있는 주거제공, 주거비용 지원 | 지역, 가구원 수에 따른 차등지급 (대도시, 4인 기준) 64만 3,200원 이내 |
최대 12회 | |
사회복지 시설 이용 |
사회복지시설 입소 또는 이용서비스 제공 |
가구원 수에 따른 차등 지급 (4인 기준) 145만 500원 이내 |
최대 6회 |
구분 | 지원내용 | 지원금액 | 지원횟수 | |
부 가 지 원 |
교육 | 초중고의 수업료 지원 | 초등학생 12만 4,100원 중학생 17만 4,700원 고등학생 20만 7,700원 및 수업료·입학금 |
최대 2회 (4회*) |
연료비 | 동절기(10월~3월) 연료비 지원 |
월 10만 6,700원 | 최대 6회 | |
해산비 | 출산 지원 | 70만 원 (쌍둥이 출산 시 140만 원) |
1회 | |
장제비 | 장례비 지원 | 80만 원 | 1회 | |
전기 요금 |
단전 시 연체된 전기료 지원 |
50만 원 이내 | 1회 | |
민간 기관· 단체 등 연계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한적십자사 등 민간 프로그램과 연계해 상담 등 기타 지원 |
횟수제한 없음 |
* 주거지원 가구의 교육지원은 최대 4회
3. 방법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및 보건복지상담센터(☎129)에 신청
4. 문의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및 보건복지상담센터(☎129)
2022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재산기준 상향
- 표준공시지가 상승률을 감안하여 전년도 대비 약 28% 상향
- 특례시는 대도시 기준을 적용(2022.1.13. 이후부터 적용)
▷금융재산기준 상향
- 물가상승률, 기준중위소득 인상 등을 감안하여 기준액 일괄 100만 원 상향
▷지원액 조정
-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생계지원, 연료비지원 상승
자주 하는 질문
긴급복지지원을 받으려면 신청서를 가지고 직접 시군구청을 방문해야 하나요?
- 긴급복지지원은 별도의 신청서가 없습니다.
- 본인, 가족, 친족, 그 밖의 관계인이 구술 또는 서면 등으로 시군구청이나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지원 요청을 하면 됩니다.
- 그 밖에 궁금한 사항은 보건복지상담센터(☎129)로 문의하세요.
728x90
반응형
'복지정보 > 기초수급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급여 학습특별지원금 (0) | 2022.07.18 |
---|---|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사업 (0) | 2022.07.03 |
기초생활수급자를 위한 요금감면제도 (0) | 2022.07.03 |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2022년) (0) | 2022.07.03 |
기본 용어 정리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