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에 대한 이해
1) 가족이란?
가족에 대한 개념 정의 | |
학자 | 개념 정의 |
Murdock (1945) |
• 핵가족으로서의 개념이 강함 • 공동의 주거, 생식, 경제적 협력을 하는 사회집단으로 부부와출산자녀 및 입양자녀로 구성 |
Hartman & Laird (1983) |
• 가족의 기능이나 관계의 질적인 측면 강조 • 둘 이상의 사람들이 친숙한 한 가족이라고 여기고 밀접한 감정적 유대와 가정이라는 생활공간, 생물학적,사회적,심리적 요구의 충족에 필요한 역할과 과제를 공유하는 집단 |
Giddens (1992) |
• 근대적 경향 반영 • 정서적이고 물질적인 지지에 기반을 둔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상호 간에 기대를 가지고 그들의 삶의 유형과 관계없이 상호 친밀감과 지속적인 보호를 주고받는 구성체 |
• 가족이란?
“ 그들 스스로 가족으로 정의하고 지속적으로 서로에게 가족체계의 핵심적 요소로서 간주되는 의무감을 주는 둘 이상의 개인으로 구성된 집단 ”
• 가족에 대한 개념 정의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
(1) 기본 속성
① 가족은 인위적으로 형성된 집단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형성된 사회집단임
② 가족은 생활해 가는 가운데 일련의 생활유형 또는 규칙을 발전시킴
③ 가족의 각 구성원들에게는 나름대로 할당되고 부여된 역할들이 있음
④ 가족은 나름대로의 권력구조를 가지고 있음
⑤ 가족은 공공연하거나 은밀하면서도 복잡한 형태의 의사소통형태를 갖고 있음
⑥ 가족은 나름대로 문제를 해결하고 타협하는 방법들을 가지고 있음
⑦ 가족은 역사, 세상에 대한 관점, 목적의식 등을 공유하고 있음
⑧ 한 번 구성원은 영원한 구성원으로 남아있음
2) 현대사회와 가족
(1)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
가족의 변화가 자녀양육, 가사노동분담, 자녀 과보호, 자녀의 정서불안정 등 많은 가족문제를 발생시킴으로써 가족문제 및 욕구의 다양화가 나타나게 됨
① 가족 개념, 구조, 규모의 변화
• 가족 개념의 변화
• 다양한 형태의 가족 유형 증가
• 가족 구조의 단순화
• 가족 규모의 축소
• 부부 가족의 일반화
② 가족 기능의 변화
• 자녀 양육과 사회화, 가족 보호 기능 등 전통적 가족 기능이 전문사회기관으로 이전
• 전통적 가족 기능의 축소 및 약화
- 통제 기능
- 사회화 및 정서적 지지 기능
- 보호 및 부양 기능
③ 가족 주기상의 변화
• 가족생활주기 진입하기 이전 기간 길어지고 있음
• 결혼연령 높아지고 자녀 출산 완료까지의 기간 단축되고 있음
• 빈둥지 기간이 길어지고 있음
• 고령화 영향으로 한쪽 배우자 사망에서 남은 배우자 사망까지의 기간이 길어지고 있음
빈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
- 자녀들이 성장해 취직, 결혼 등의 이유로 부모의 곁을 떠난 시기에 일상 생활의 중심이 되었던 자녀가 떠남으로써 중년 부모가 느끼는 허전한 심리
- 이를 잘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부체계로서의 친밀한 협력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함
④ 가족의 문제와 욕구 변화
• 기혼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 등으로 남성의 가장으로서의 권위 저하
• 전통가족의 긍정적 요소인 일체성, 연대성 약화
• 이혼율 증가
학습정리
1. 가족에 대한 이해
1) 가족의 정의
• 그들 스스로 가족으로 정의하고 지속적으로 서로에게 가족체계의 핵심적 요소
로 간주되는 의무감을 주는 둘 이상의 개인으로 구성된 집단
2) 가족의 기능
• 친밀한 관계의 근원을 제공
• 경제적 협조 단위로서 기능
• 자녀 출산과 사회화시킴
• 가족 구성원에게 지위와 사회적 역할 부여
3) 현대 가족의 변화와 가족문제
• 가족의 개념, 규모의 축소와 단순화
• 가족에 대한 가치체계의 다양화로 인한 가족형태의 다양화
• 가족기능의 축소와 변화
• 가족생활주기의 변화
• 가족성원 권력구조의 평등화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2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사정 (0) | 2022.06.22 |
---|---|
가족체계이론 (0) | 2022.06.22 |
위기개입모델의 개입과정 (0) | 2022.06.22 |
위기의 발달단계 (0) | 2022.06.22 |
위기개입모델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