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사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역사적 배경
1) 조사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역사적 배경
가. 뉘른베르크 강령 제정
- 2차 세계대전 중 전쟁포로에게 실시된 나치의 의학실험
나. 1932년 Tuskegee 매독 연구
- 조사윤리위원회 설립
- 연구승인 후 연구 진행
다. 스탠리 밀그램
- 속임수에 대한 윤리적 고민
2. 윤리적인 조사를 위한 일반적 지침
1) 자발적 참여
- 조사대상자에게 조사 참여가 강요되어서는 안됨. 자발적으로 참여를 결정하며,본인이 중단하고 싶으면 중단할 수 있어야 함.
- 자발적 참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조사자가 충분히 조사에 대해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대한 동의서를 받아야 함.
2) 충분한 정보 제공
- 조사의 목적, 참여기간, 보상 등의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조사에 참여함으로써 받을 수 있는 불이익, 예상되는 부작용 등을 충분히 설명해야 함. 잠재적인 위험이라도 충분히 논의되고 확인되어야 함
- 연구자는 조사에 대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가 충분히 이해되고 질문과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함
3) 대상자 피해 방지
- 조사에 참여하는 대상자들에게 피해가 될 수 있는 부분은 연구자로서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함
- 진행과정에서도 예의 주시해야 함
4) 대상자 정보 보호
- 대상자의 자료를 코드화하는 과정에서 대상자에 대한 정부가 부적절하게 노출되는 것은 연구 참여로 인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음. 익명처리, 신상정보에 대한 기본적 내용 코드화
3. 조사에서 잠재적 윤리문제
1) 속임수
- 타당도를 높이기위한 속임수 vs 연구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
- 속임수 없이 응답자가 너무 당황해하고 부끄러워하거나 방어적이어서 정직하게 응답할 수 없을 경우 제한적으로 사용
- 특별한 역할이나 환경에 있다고 상상하도록 하고 실제인것처럼 응답하게 하는 시뮬레이션 이용
2) 통제집단
- 서비스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임의로 제공하지 않는 상태는 비윤리적임
3) 연구 참여에 대한 보상
- 보상이 지나치게 과도한 경우 조사대상자를 조정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
4) 자료의 해석
- 연구자가 연구를 진행하다 보면 연구의 성격에 따라서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압박이 생길 수 있음
- 유연성이 너무 강조될 경우 문제가 됨
학습정리
1. 조사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역사적 배경
- 뉘른베르크 강령
- Tuskegee 매독연구
- 스탠리 밀그램
2. 윤리적 조사를 위한 일반적 지침
- 자발적 참여의 원칙
- 조사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
- 조사참여로 인한 피해 방지
- 민감한 정보의 보호
3. 조사에서 잠재적 윤리
- 속임수
- 통제집단
- 연구 참여에 대한 보상
- 자료의 해석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일사례조사의 결과 분석 / 장단점 (0) | 2022.06.21 |
---|---|
조사연구계획서 작성 (0) | 2022.06.21 |
조사보고서 작성 (0) | 2022.06.21 |
질적 자료의 분석 (0) | 2022.06.21 |
기록 정리와 자료의 조직화 (0) | 2022.06.21 |